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서울대학교 산업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학 박사를 마쳤다. 현재 특허청에서 행정사무관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디자인』 『디자인전쟁』 등의 저서와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국 디자인 역사 및 브랜드와 디자인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논문을 다수 발표하고 여러 매체에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글을 쓴다.
-
제임스 크레이그
쿠퍼유니언에서 학사를, 예일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25년이 넘게 왓슨겁틸 출판사의 자인 디렉터였으며, 1979년도부터 쿠퍼유니언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책을 쓰고 강의를 하는 것과 더불어, 크레이그는 유명한 웹사이트 www.designingwithtype.com을 만드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타입디렉터스클럽, 뉴욕아트디렉터스클럽, 타이포필, 국제타이포그래피어소시에이션의 회원이다. -
최경화
『포르투갈, 시간이 머무는 곳』 『스페인 미술관 산책』을 썼고 프라도미술관 등 스페인의 미술관과 유적지의 한국어 가이드를 번역했다. 현재 포르투갈에서 산다. -
양성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수학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사랑을 배우다』 『도시를 읽다』 『처세』 『노자에게 유연함을 배우다』 『내 편이 아니라도 적을 만들지 마라 』 『결정적 순간에 써먹는 선택의 기술』 『채근담 上, 下』 『맹자 경영학』 『와신상담 1부, 5부』 『칭짱철도 여행』 『대국굴기』 『역사를 뒤흔든 대이동 7가지』 『역사를 결정한 대정복 8장면 』 등이 있다. -
김주성
홍익대학교와 같은 학교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그라픽센터 연구원, 타이포하우스와 인터그라픽 크리에이티브디렉터, (주)푸른감성 제작이사,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부회장,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부회장, 한국기초조형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타이포잔치를 비롯한 국내외의 크고 작은 전시에 참여했다. 현재 명지전문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강의하고 있다. -
김경철
중앙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다. 졸업 이후 브랜드 디자인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하며 브랜딩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했다. 2009년 디자인 스튜디오 ‘핸드프린트’를 거쳐서 2013년부터 동료들과 함께 ‘일상의실천’을 운영해 오고 있다. 특히 UX/UI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웹사이트 개발을 주요 작업 영역으로 삼고 있으며, 디자인이 사회와 연결되는 방식을 탐구하며 웹 기반의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해 왔다. 2022년 〈제1회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주제전시: 길몸삶터〉 큐레이터, 2021년 〈제20회서울디자인페스티벌〉 아트디렉터를 맡았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UX/UI 디자인과 개발을 가르치고 있다.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건축의 영역을 기술에서 철학으로 확장한 세계적인 건축가다.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200채 이상의 건축물을 설계하고 지었으며, 이 가운데 상당수가 건축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화학, 물리학, 수학을 공부했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수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건축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에서 전산학, 교통이론을 연구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인지과학을 연구했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1967년 환경구조센터(Center for Environmental Structure)를 설립해 지금까지 그 회사의 … -
황성원
번역가이자 재생산 노동자. 글을 읽고 사색하는 시간만큼 손끝으로 필요한 물건들을 직접 만드는 시간과 그 시간의 고요를 좋아한다. 봄이면 씨앗을 뿌리고 인간이 감지하지 못하는 환경이 변화를 그들로부터 배운다. 옮긴 책으로는 『염소가 된 인간』 『기후카지노』 『쫓겨난 사람들』 『혼자 살아가기』 『행복산업』 등이 있다. -
던과 라비
던과 라비는 디자인을 매개체로 삼아 디자이너와 산업계, 대중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하거나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의 사회적, 문화적, 윤리적 의미에 대한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이들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과 파리 퐁피두센터, 런던 디자인뮤지엄에 전시되었으며 뉴욕 현대미술관, 빅토리아앤드앨버트박물관, 프락일드프랑스, 프낙, 빈 응용미술관의 영구 컬렉션과 여러 개인의 소장품 목록에 올랐다. 던과 라비는 2015년에 제1회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미디어랩상을 수상하고, 2016년에 프린스필립디자이너상 후보에 올랐으며, 2021년에는 영국 왕립예술협회가 임명하는 왕립 산업 디자이너로 선정되었다. 앤서니 던 피오나 라비 -
문수민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을 전공했으며, 글밥 아카데미 수료 뒤 바른번역 소속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디자이너 브랜드 시작하기』 『얼굴과 손 그리기』 『리스크 판단력』 『인생의 끝에서 다시 만난 것들』 『독한 충고』 『마우이 섬으로 가는 길』 『1분 협상수업』 『초콜릿 초콜릿』 『워런 버핏의 위대한 유산』 『왜 회사에서는 이상한 사람이 승진할까?』 『면접이 막막할 때마다 꺼내 읽는 책』와 《킨포크》 등이 있다. -
에이드리언 조지
영국정부아트컬렉션(UK Government Art Collection)의 부관장 겸 선임 큐레이터. 교육, 해설, 공공 프로그램에서 전문적인 예술 행사에 이르는 다양한 출판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부서를 이끌고 있으며, 큐레이팅과 현대미술품 커미셔닝 관련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벨기에, 필리핀, 카타르, 스페인, 영국, 예멘에서 장소특정적 작품을 커미셔닝했으며, 홍콩, 더블린, 런던, 스코페, 뉴욕, 타이베이 등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뉴뮤지엄(New Museum)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
아이디알
아이디알의 전보림, 이승환은 서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각각 건축사사무소 M.A.R.U.와 아뜰리에 17에서 실무를 익혔다. 2009년 런던으로 이주해 런던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MA(Master of Arts) 과정을 마치고 2014년 귀국해 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했다. 2017년 첫 준공작인 ‹매곡도서관›으로 ‘신진건축사대상 대상’ ‘건축문화대상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각각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설계 스튜디오와 디지털 텍토닉 수업을 담당하며, 서울시 공공건축가와 행복도시공공건축가로 활동한다. 사용자와 일상을 매개하는 배경으로서 건축의 역할에 관심이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 공공 건축과 건축 설계 현실에 대한 글쓰기를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