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홍익대학교에서 섬유미술을 전공하고 영국 브루넬대학교 디자인전략/혁신 과정 석사학위를 받았다. 의류 대기업 및 컨설팅 회사에서 패션 정보 기획, 트렌드 분석 리서처로 근무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며, 옮긴 책으로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특강』 『신발, 스타일의 문화사』가 있다.
-
이주연
건축평론가, 저널리스트, 건축 문화 기획가. 건축 디자인 잡지 《공간SPACE》 편집주간을 지내고 현재 건축 비평지 《와이드(WIDE AR)》 논설위원이다. 건축의 사회성과 공공성, 시민사회와 도시 공동체에 주목한다. -
김진섭
책 만드는 도구와 기계를 찾아 전국을 돌아 돌아다니는 순례자, 선배 장인이 손으로 만든 책을 모으는 수집가, 출판 및 인쇄업계 전문가와 네트워크가 연결된 커넥터, 한번 손에 들어온 것은 버리지 못하고 도토리처럼 여기저기 숨겨놓는 다람쥐 선생, 그렇게 하나둘 모인 물건들을 보며 행복을 찾지만 때로는 힘에 겨워 불면증으로 밤잠을 설치는 까칠한 아저씨, 그리고 이 책에 모인 도구의 주인. 2001년 책공방북아트센터를 설립한 뒤로 일반인에게 자기 손으로 만든 책에 자기 이야기를 담아보자고 외치고 있다.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에 내려와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한 곳에서 배울 수 있는 책 예술학교를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책 잘 만드는 책』 『디자이너를 완성하는 포트폴리오』 『책 만드는 버스』 『북 바인딩』 『책 잘 만드는 제책』 『한국 레터 프레스 100년 인쇄 도감』 등이 있다. ‘바로끈’ ‘책공방 장정’ ‘누드 양장’으로 실용신안등록을 … -
라슬로 모호이너지
20세기 디자인 교육의 가장 혁명적인 인물로, 바우하우스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주도했다. 회화 중심의 교육에 사진, 영화, 타이포그래피 등 신매체를 도입하며 인간 지각의 확장을 탐구했다. “예술과 기술—새로운 통합(Kunst und Technik — eine neue Einheit)”이라는 구호 아래 바우하우스를 단순한 예술학교를 넘어 산업사회와 조화하는 디자인 교육기관으로 이끌었다. 189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났고, 제1차 세계대전 시기에 청년기를 보냈다. 전후 서구에서 일어난 격렬한 문화적 격동과 모더니즘 속에서 포토그램, 포토몽타주, 영화, 키네틱 조각 등을 활용해 새로운 시각 실험을 펼쳤다. 발터 그로피우스, 마르셀 브로이어 등 동시대 예술가와 활발하게 협업했으며, 알바르 알토, 요제프 알베르스, 헤르베르트 바이어 등 많은 예술가에게 영향을 미쳤다. 예술평론가 피터 셸달은 그를 “끊임없이 실험하는 작가”라고 불렀다. 1937년 발터 … -
성상우
와세다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몇 곳의 설계 사무실을 거친 뒤 인생의 짝꿍과 2009년 a0100z space design을 세웠다. 현재 ‘문턱이 닳는 집’과 ‘함께’ 라는 시리즈의 집을 만들면서 용인의 용수마을에서 정추서당을 운영, 인문학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집은 뜻이다.’라는 인문학 건축강의를 하고 있다. -
김순녀
필명 김시아. 소르본누벨 파리 제3대학(Université Sorbonne Nouvelle, Paris-III) 프랑스 현대문학 박사과정에서 세르주 마르(Serge Martin)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그림책 비평 및 유럽 특수 교육 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
김주경
A lead researcher and type designer at AG Typography Institute , the designer has created typefaces such as AG Hunminjeongeum and AG Choteuktae Myeongjo . They have also directed, researched, and designed both AG original typefaces and custom corporate identity fonts, including Amorepacific’s “APHQ Hangul” , Projekt Produkt’s “PP Sans” , Hyundai Department Store’s “Happiness Sans” , and Jeju Air’s “Flight Sans.” -
아이린 코롤 스칼라
쿠퍼유니언에서 학사를 받았고 그곳에서 폴 랜드, 댄 프리드만, 밀튼 글레이저와 같은 교육자들과 함께 공부했다. 졸업 후 예루살렘의 베자렐예술디자인아카데미에서 공부를 마치고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 부티크 디자인 스튜디오인 작디자인에 합류하여 다양한 인쇄물과 웹 커뮤니케이션 작업을 했다. 타이포필의 회원으로, 제임스 크레이그와 함께 온라인 리소스를 만들고 있다. -
존 힐
건축에 관한 대중적인 글쓰기로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한 작가이자 저술가. 뉴욕에 거주하며 건축 블로그 ‘날마다 건축(A Daily Dose of Architecture)’을 운영한다. 또 월드아키텍츠닷컴(World-Architects.com)의 편집자로 일하며 미국 지부가 수여하는 올해의 건물상을 감독한다. 지은 책으로『뉴욕의 현대 건축 가이드(Guide to Contemporary New York City Architecture and 100 Years, 100 Buildings)』가 있다. -
김욱균
서강대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관광, 해운 분야에서 사회 활동을 하고 있다. 쉰 살이 넘어서 식물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식물, 사람, 환경의 상호관계에 관한 공부를 시작했고, 장미의 반복 개화 특성과 문화적 관계성에 흥미를 느끼면서 장미 분야로 활동 영역이 확장되었다. 현재 한국장미회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장미회는 2018년 세계장미회World Federation of Rose Societies의 국가 회원으로 승인을 받아 장미의 재배 교육, 장미 문화의 확산과 보급 그리고 한국자생장미 보존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장미회는 유엔이 제정한 국제평화의 날(9월 21일)을 기념하여 매년 ‘평화의 장미 정원Peace Rose Garden’을 조성, 기부하고 있다. 프랑스 바가텔 국제장미품평대회Concours International de Roses de Bagatelle 및 스페인 바르셀로나 국제장미품평대회Barcelona … -
오마가리 토시
영국 모노타입(Monotype)의 글꼴 디자이너다. 도쿄 무사시노미술대학에서 타이포그래피와 글꼴 디자인을 공부했고 2008년 졸업했다. 『아케이드 게임 타이포그래피』는 그의 첫 책이다. -
제랄딘 보리오
스위스 공인 건축가이자 연구원이며, 홍콩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이다. 독립 연구소이자 건축 사무소인 보리오 랩(Borio Lab)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홍콩에서 패럴렐 랩(Parallel Lab)을 공동 설립하고(2010-2015), 도쿄, 베이징, 홍콩의 주요 건축 회사들과 협업했다. 2007년부터 방콩, 홍콩, 서울 등 아시아 대도시에서 폭넓은 연구를 통해 도시환경의 공간적 모호성을 탐구해 왔다. 현장 관찰과 창의적인 건축 실무에 기반한 저자의 접근법은 사이 공간, 완충 지대 그리고 경계에 주목하며, 전통적인 건축적 경계를 도전적으로 탐색한다. 로테르담, 베이징, 서울, 취리히, 뉴욕의 비엔날레 및 행사와 더불어 독일 비트라박물관, 홍콩 M+ 박물관 등 권위 있는 기관에서 건축 작업과 연구가 소개된 바 있다. 스위스 EPFL에서 건축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호주 RMIT에서 건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은 책으로 『보이드를 찾아서: 아시아의 경계적 도시 공간에서 건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