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프랑스 리옹시립응용예술대학에서 실내디자인을 전공하고, LG화학 인테리어디자이너로 일했다. 지금은 대구한의대학교 실내건축학과에서 학생들과 함께 건축공간을 사유 중이다.
-
민경욱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전문 번역가로 활동한다. 일본문화포털 ‘ 일본으로 가는 길 ’을 운영했으며, 그것이 인연이 되어 전문 번역가의 길을 걷고 있다. 주요 역서로 신카이 마코토의 『날씨의 아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브루투스의 심장』 『백마산장 살인사건』 『아름다운 흉기』 『몽환화』, 요시다 슈이치의 『여자는 두 번 떠난다』, 이케이도 준의 『은행원 니시키 씨의 행방』, 야쿠마루 가쿠의 『데스 미션』, 히가시야마 아키라의 『내가 죽인 사람 나를 죽인 사람』, 고바야시 야스미의 『분리된 기억의 세계』 등이 있다. -
바스 판 아벌
바그(Waag)소사이어티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오픈 디자인 원칙 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일에 집중한다. 바그소사이어티 팹랩과 인스트럭터블스 레스토랑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도 전 세계 개인제작자 및 디지털 제작 커뮤니티의 일원으로 활발히 활동한다. -
엄소영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국내 자동차 기업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과 서비스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
엘런 럽턴
메릴랜드인스티튜트칼리지오브아트(MICA)의 베티 쿡과 윌리엄 O. 스타인메츠 디자인 석좌교수이며, 쿠퍼휴잇 스미스소니언 디자인박물관의 동시대 디자인 시니어 큐레이터다. 저서로 『타이포그래피 들여다보기(Thinking with Type)』 『헤르베르트 바이어: 디자인 영감과 과정(Herbert Bayer: Inspiration and Process in Design)』 『감각들: 시각 너머의 디자인(The Senses: Design Beyond Vision)』 등이 있다. -
컬리나 세일스
테네시주립대학교 그래픽 디자인 교수. AIGA 디자인 교육자 커뮤니티(AIGA DEC) 운영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AIGA 내슈빌의 다양성과 포용성 책임자다. 그의 글은 흑인 문화와 아울러 정체성과 미학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다. -
레나테 레케
독일의 어린이책 작가이자 아동문학 평론가다. IBBY 독일 지부의 회장과 부회장을 역임했고, 지금은 IBBY 유럽 지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 BIB, 볼로냐 아동도서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독일아동청소년문학상, 트로이스도르프 그림책상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
한재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문자추상’ 작업을 계기로 한글의 또 다른 가능성과 현실의 문제를 알게 되었고, 점차 사회적 관점의 연구와 활동으로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1988–1995년에는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인 공병우 박사에게 한글 디자인의 기본을 배웠고, 1989년 이후 〈공한〉 〈한〉 등의 활자꼴을 개발해 실용화했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수로 재직한다. -
윤희수
홍익대학교와 베를린종합예술대학(Hochschule der Kuenste, Berlin)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교수이며, 디자인과 시작적인 작업을 다양하게 시도해왔다. 쓰다 버려진 사물의 시공간 읽기를 꾸준히 하고 있다. 열 번의 개인전을 열었고 40여 회의 기획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 공저서 『기초 디자인』, 옮긴 책으로 『색채의 이해』 등이 있다. 요즘은 이 순간을 머물 자유 한 줌과 상상을 즐긴다. -
민성윤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시각 디자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대전엑스포 재생조형관 전시 〈동심 전시실〉 기획 연출에 참여하고 대전엑스포 재생조형관 전시 〈세계 아동 미술전〉을 기획했다. 아시아 문화교류 연구소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으며, 현재 한국전력공사 디자인 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송성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를 졸업하고 런던 미술대학교(University of Arts London), 캄버웰 칼리지(Camberwell College of Arts), 북아트 전공(MA Book Arts)을 거쳤다. 엘지애드 디자이너와 동아일보사 출판국 아트디렉터로 근무했으며 현재 호서대학교 예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초대 디자이너이며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타이포편집분과 부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아방가르드: 허브 루발린』 등이 있고 역서로는 『50인의 그래픽 디자인』 『북 디자인 교과서』 『타이포그래피와 언어』 등이 있다. -
김지현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고, 미국 이스턴미시간대학교(Eastern Michigan University) 대학원에서 타이포그래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한성대학교에서 디자인을 가르친다. 미국 시라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 연구 교수,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3대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기초조형학회 미래기획위원장과 논문편집위원, 아시아네트워크비욘드디자인(Asia Network Beyond Design)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그리드』 『타입과 타이포그래피』 『한글공감』 『타이포그래픽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텍스트와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해 『매거진 + 웹진 디자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