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비주얼 스토리텔러, 프로젝트 관리자, 디자인 교육자. 다양한 기업 및 교육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전문 문제 해결사다. 팀 리소스와 비전을 결합해 지속적인 전문성 및 개인 개발을 장려하는 협업 환경에서 창의적인 경험을 공식화하는 입증된 능력을 갖추었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며 그래픽 디자인 실습과 교육 모두에 관심을 가졌다. 그래픽 디자이너와 아트 디렉터(전 세계 소매 및 B2B 고객을 위한 아이덴티티, 구매 시점 관리, 사이니지 시스템, 인쇄물)로 일한 후 고등 교육 분야로 관심을 전환했다. 그의 강의는 인쇄 및 웹 출판을 위한 구도, 타이포그래피 및 색상 이론에 중점을 두었다. 공저서로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타이포그래픽 워크북(A Typographic Workbook: A Primer to History, Techniques, and Artistry)』 등이 있다.
-
임대근
임대근은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동대학원 미술이론과를 졸업하고 멜버른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현재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멀티플/다이얼로그∞»(2009), «무제»(2015), «균열»(2018), «박이소: 기록과 기억»(2018), «MMCA 현대차 시리즈 2019: 박찬경-모임»(2019), «가면무도회»(2022) 등을 기획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전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
윤혜정
윤혜정은 1990년대부터 문화 예술의 최전선에서 동시대 예술가들의 작업과 철학, 그리고 삶에 대한 글을 써왔다. 영화 전문지 『필름 2.0』의 창간 멤버로 에디터 생활을 시작한 후 『하퍼스 바자』와 『보그』에서 피처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2009년에 패션과 예술의 공존을 조명하는 『바자 아트』를 창간했다. 저서로는 일상에서 경험하는 현대미술에 대한 『인생, 예술』(2022), 각 분야 예술가 19인과의 인터뷰를 담은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2020)이 있으며, 『김중업 서산부인과 의원: 근대를 뚫고 피어난 꽃』(2019)을 공저했다. 『보그』 『하퍼스 바자』 『바자 아트』 등의 필자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강연 자리에서 부지런히 독자 및 관람객들을 만나고 있다. 현재 작가이자 국제갤러리 이사로 재직 중이다. -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는 ㈜안그라픽스의 부설 연구소로 2012년 설립되었습니다. 심도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글꼴을 멋짓고 키우며, 새로운 글꼴 문화를 만들고자 합니다. -
안그라픽스
1985년 2월 8일 시각디자이너 안상수가 설립한 한국의 디자인 전문 출판사이자 회사다. 1990년 주식회사로 전환하고 현재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출판 네 개 부문을 아우르는 종합 디자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디자인 회사로서는 처음으로 DTP를 실무에 도입했으며, 글자에 중심을 둔 완성도 높은 편집 디자인을 통해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2015년으로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
다카오카 마사오
1957년 도쿄 출생으로 유한회사 가즈이공방 대표이사다. 고쿠가쿠인대학교 법률학과 졸업 후 아버지 다카오카 주조가 경영하는 가즈이공방(嘉瑞工房)에 입사해 1995년부터 현직에 있다. 아버지로부터 라틴알파벳 조판과 타이포그래피를 배웠다. 1999–2001년 인쇄박물관, 인쇄공방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라틴알파벳 조판, 타이포그래피, 기업 전용 서체에 관한 강의와 강연을 펼쳐왔다. 영국 왕립예술협회 회원(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Arts), 모노타입사 어드바이저, 2009년도 신주쿠 모노쓰쿠리 마이스터 ‘기술 명인’ 인정 도쿄도 신주쿠구 등으로도 활동했다. 활자 서체 부분을 담당한 공저 『인쇄박물관(印刷博物誌)』(2001), 공저 및 감수 『‘인쇄잡지’와 그 시대(「印刷雑誌」とその時代)』(2008), 그리고 『세계의 아름다운 유럽문 활자 견본장(世界の美しい欧文活字見本帳)』(2012) 등의 책을 썼다. -
김어진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실천 공동대표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산현대미술관, 녹색연합 등 다수의 문화·예술 기관 및 비영리단체와 협업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등에서 작가로 참여했으며, 2019 국제타이포그래피비엔날레 〈타이포잔치: 타이포그래피와 사물〉의 섹션 큐레이터를 담당했다. 2016년부터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에 출강 중이다. 저서로는 『작업으로 말하는 사람들』(지콜론북, 2015)이 있다. 현재 AGI(국제그래픽연맹) 회원이다. -
오타 히로시
1968년 출생. 건축가. 디자인 누브, 도쿄 피크닉 클럽을 공동 주재. 도쿄 대학 국제도시 재생연구 센터 연구원, 도쿄 대학 생산기술 연구소 강사로 전 세계의 도시재생 사례를 연구한다. 2011년부터 어린이 건축학교 강사로 있다. -
안성진
안성진은 1993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1992년부터 뮤지션들의 음반 재킷 사진을 촬영했고, 그동안 500여 개의 앨범 사진을 촬영했다. 삼성, LG, Motorola, 현대, 기아, SKT 등의 기업 광고는 물론, 푸마, 아디다스, 르까프 등의 스포츠 브랜드, 라네즈, 더페이스샵 등의 뷰티 브랜드 그리고 국내 캐주얼 패션 브랜드 대다수의 런칭 광고를 촬영했다. 현재까지도 광고 사진계 전반에서 폭넓은 인지도와 퀄리티로 오랫동안 각광받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포토그래퍼다. 《에스콰이어 코리아》(2005–2010)와 《누메로 코리아》(2009–2010)의 비주얼 디렉터로 활동했다. 〈월간 윤종신〉(2011–)의 재킷 사진과 모션 포스터를 꾸준히 촬영한다. -
디앤디코퍼레이션
이현도가 이끄는 회사로, 듀스에 관한 모든 작업을 관리하고 있다. 듀스의 기존 앨범을 바이닐로 재발매하고 데뷔 30주년을 맞아 반스와 협업 컬렉션을 여는 등 듀스를 브랜드화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앤드류 해슬램
1987년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을 졸업했다. 이후 런던에서 개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어린이용 과학, 역사, 지리 책을 만들었다. 1994년에 미국 물리학회상 과학저술부문상을 수상하고, 1997년에 그해 지리학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는 지리협회상을 수상했다. 스튜디오의 운영과 영국의 몇몇 대학에서 그래픽 및 타이포그래피 강의를 했으며, 최근에는 약 6년간 런던의 센트럴세인트마틴스칼리지(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아트&디자인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 대학원 과정의 학과장을 역임했다. 필 베인즈(Phil Baines)와 『타입&타이포그래피(Type & Typography)』를 함께 저술했다. -
박정준
서울대학교 서양학과를 졸업한 뒤 ‘LHOOQ’란 이름의 화실을 열고 드물게 작업을 했다. 우연히 글을 쓰기 시작해 2012학년도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공저했다. 미술기법 이론서와 함께 새로운 작업을 궁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