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교수. 제품 인터랙션 디자인 및 디자인 방법론 분야를 강의하며, 기술을 인간 관점으로 해석하는 통찰에 기반한 다양한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디자인학회 Design Works 논문편집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산업디자인상, G-Mark, iF, Red Dot, Meta 공모전에서 수상한 바 있다.
-
길다 윌리엄스
1994–2005년까지 파이돈프레스(Phaidon Press)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현재 《아트포럼(Artforum)》의 런던 특파원이며 런던골드스미스대학교(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와 소더비인스티튜트오브아트(Sotheby’s Institute of Art)에서 강의를 맡고 있다. 《플래시아트 인터내셔널(Flash Art International)》의 편집장을 지냈으며, 《테이트 Etc.(Tate Etc.)》 《파케트(Parkett)》《아트 먼슬리(Art Monthly)》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 《타임아웃(Timeout)》 등 여러 매체에 기고했다. 화이트채플아트갤러리(Whitechapel Art Gallery),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Stedelijk Museum Amsterdam) 등의 전시회 카탈로그 제작에도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상한 날들(Strange Days: British … -
임지환
대한민국 건축사이고, 경계없는작업실 자문파트너이자 제로투엔의 대표이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울건축에서 건축 실무 경력을 쌓았고 경계없는작업실을 열었다. 경계없는작업실에서 공간개발과 기획-설계-시공의 통합가치 필요성을 느끼고 종합건설업을 가진 제로투엔을 창업해 공간의 가치를 늘리는 다양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김난주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쇼와여자대학(昭和女子大学)에서 일본 근대 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 문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냉정과 열정 사이: 로소(冷靜と情熱のあいだ: Rosso)』 『키친(キッチン)』 『박사가 사랑한 수식(博士の愛した數式)』 『겐지 이야기(源氏物語)』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별을 담은 배(ほしぼしのふね)』 『신참자(新參者)』 등이 있다. -
김주경
AG타이포그라피연구소 책임연구원이자 글꼴 디자이너. ‘AG 훈민정음’ ‘AG 초특태명조’ 등을 제작했으며 아모레퍼시픽 ‘APHQ 한글’, Projekt Produkt ‘PP Sans’, 현대백화점 ‘해피니스 산스’, 제주항공 ‘플라이트 산스’ 등 AG 글꼴과 기업 아이덴티티 글꼴을 기획, 연구 및 디자인하고 있다. -
가시와기 히로시
무사시노미술대학에서 디자인사를 전공했다. 동경예술대학 교수를 지냈다. 2005년 현재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디자인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초상에 숨겨진 권력』 『예술의 복제기술시대』 『일용품의 문화지』 『20세기의 디자인』 『디자인과 유토피아 – 모던 디자인은 무엇을 꿈꾸었나』 『모던 디자인 비판』 등이 있다. -
고현선
토스의 그래픽 디자이너. 토스의 모든 비주얼 영역을 기획하고 제작한다. 이모지 폰트인 ‘토스 페이스’를 기준으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확산하여 토스 그래픽의 시각적 일관성에 집중하고 있다. -
표현명
KT 사장. 2004년 KTF 마케팅 부사장 재직 당시 국내 최초로 서비스디자인을 기업 경영과 마케팅 활동에 도입한 주역이다. Have a good time(2005), SHOW(2007), QOOK(2009)에 이어 최고의 감탄사 olleh(2010)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기업 경영자로서의 생생한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KT의 혁신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했고, 국내 디자인 발전에 큰 획을 그었다. 또한 국내 통신시장의 혁신적 성장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산업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공학박사 출신으로서 기술 개발뿐 아니라 마케팅, 경영에 이르기까지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쳐 입사 25년 만에 KT 사장이 되었다. 현재 트위터(@hmpyo)에서 6만 5,000명에 육박하는 팔로워와 소통하는 젊은 브레인이다. 지은 책으로 『서비스디자인 시대』가 있다. -
김선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를 졸업하고 프랫 인스티튜트 대학원 산업디자인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SADI(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기조과정 교수를 거쳐 1999년 이후 미국 뉴욕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Parsons School of Design)과 프랫 인스티튜트 산업디자인과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의 기초과정에서 입체조형을 강의하며, 로웨나 리드 코스텔로(RRK) 재단 워크숍 디렉터를 맡아 워크숍 진행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RRK 재단과 프랫 인스티튜트의 지원으로 기초조형 워크숍을 진행했다. 2011년 봄 학기에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과 객원교수로 초빙되었다. 지금까지 디자인 분야의 교수 워크숍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을 위한 체계적인 기초조형 교육 원리를 보급해왔다. -
김영선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대학원 미학과를 수료했다. 출판편집자, 양육자를 거쳐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진실의 죽음』 『처칠의 검은 개, 카프카의 쥐』 『자동화된 불평등』 『국경 없는 자본』 『투 더 레터』 『망각의 기술』 『왜 하이데거를 범죄화해서는 안 되는가』 등이 있다. -
김권진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고, 과내 사진 소모임 힙스(HIPS)를 통해 사진을 처음 접했다. 2007년 상업 사진가로 활동을 시작해 케라시스, 코웨이, SWBK 등 다수의 제품과 『지선아 사랑해』(문학동네), 『나를 위한 제철밥상』(판미동), 《그래픽》(프로파간다)의 사진을 촬영했다. 패션 브랜드 브라운브레스(Brownbreath)와 사무실을 공유하면서 패션 사진을 찍기 시작했고, 우연히 소개받은 씨와이초이(Cy Choi)와 인연이 되어 2009년 F/W부터 최근 2016 S/S까지 함께 사진 작업을 진행하면서 하이 패션 영역을 경험하기도 했다. 상업 사진 외에 개인 작업으로 2008년부터 한국의 스트리트 아트를 기록하고 있다. 이를 모아 2014년 『스트리트아트 서울』(프로파간다)을 출판했다. -
최성민
최슬기와 최성민은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2인조 그래픽 디자이너다. 슬기와 민이 함께 지은 책으로 『작품 설명』 『오프화이트 페이퍼, 브르노 비엔날레와 교육』 『불공평하고 불완전한 네덜란드 디자인 여행』 등이 있고, 최성민이 옮긴 책으로 『디자이너란 무엇인가』 『레트로 마니아』 『파울 레너』 『현대 타이포그래피』 등이 있다. 최성민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두 사람 모두 예일대학교 미술대학원 재학 당시 마이클 록에게 사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