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미국 드렉셀대학교(Drexel University)에서 실내디자인 석사학위를, 경북대학교 공과대학원에서 건축계획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김용철
1949년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홍익대학박물관 등 17여 곳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저서로는 『드로잉과 회화의 표현 방법』을 비롯해 『스무살이 선택하는 학문의 길: 미술편』(정운찬 공저), 『초등학교 미술 5–6』(정일외 공저), 『KIM, YONG CHUL: WORKS 1966–1991』(정운찬 외 49인 공저)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트스쿨 200 프로젝트』 등이 있다. -
무라마쓰 신
1954년 출생. 건축역사가. 아시아 도시·건축·공간 역사, 아시아 근대 건축 및 지역의 보존과 재생을 연구하고 있다. 종합지구 환경학 연구소, 도쿄 대학 생산기술 연구소 교수, 차세대에 전하고 싶은 건축물을 위한 국제 나카나카 유산위원회 공동대표. 어린이 건축학교에서는 2011년부터 강사를 담당하고 있다. -
플로렌시아 콜롬보
스위스에 거주하는 건축가 플로렌시아 콜롬보는 창의적인 방향으로 문화 프로젝트를 기획한다. 건축, 현대미술,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국제 기관을 위한 융합적인 학술 전시와 서적을 개발한다. -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과에서 「서비스 디자인의 법적 보호를 위한 전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3년 현재 한국특허정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
서유경
변호사, 변리사이자 리걸 디자이너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과 정보문화학을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지적재산권법을 전공하여 「가상물품의 형태 보호를 위한 지적재산권법 체계에 관한 연구」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법률사무소 아티스를 운영하며 서울문화재단 예술청의 예술인 법률 상담 고문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디자인분쟁조정위원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만화진흥위원회 법률 분야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에서 법률 관련 수업을 맡고 있다. 법의 관점에서 디자인을 연구하는 동시에,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리걸 디자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김민영
타이포그래피 컨설턴트.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전공을 거쳐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석사 논문에서는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근현대 섞어 짜기 샘플 연구를 기반으로 CJK-Latin 다국어 섞어 짜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했다. 일본 타입 파운더리인 모리사와와 폰트웍스를 거쳐, 현재 일본 도쿄에서 타이포그래피 스튜디오 Em Dash를 설립했다. 한/미/일 3개국 문자와 언어를 구사하며 얻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 어도비 등과 함께 폰트 개발, 타이포그래피에 기반한 UI/UX 컨설팅, 관련 서적 집필 등 다방면으로 활동 중이다. -
민구홍
중앙대학교에서 문학과 언어학을, 미국 시적연산학교(School for Poetic Computation, SFPC) 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하지만 ‘좁은 의미의 문학과 언어학’ 또는 ‘시적 연산’으로 부르기를 좋아한다.)을 공부했다. 안그라픽스와 워크룸에서 편집자,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으로 일했다. 1인 회사 민구홍 매뉴팩처링(Min Guhong Manufacturing) 을 운영하며 미술 및 디자인계 안팎에서 활동하는 한편, ‘현대인을 위한 교양 강좌’를 표방하는 ‘새로운 질서’ 를 통해 스튜디오 파이·취미가,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홍익대학교 등과 어깨동무하며 ‘개념적이고 실용적인 글쓰기’의 관점에서 코딩을 이야기하고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새로운 질서』가, 옮긴 책으로 『이제껏 배운 그래픽 디자인 규칙은 다 잊어라. 이 책에 실린 것까지.』 『세상은 무슨 색일까요?』가 있다. 2022년 2월 22일부터 안그라픽스 랩(약칭 및 통칭 ‘AG 랩’) … -
장디페이
건축가. 칭화대학교(清華大學)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퉁지대학교(同济大学)에서 도시설계, 베이징대학교(北京大学)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난대학교(中南大学) 건축예술대학 학장이자 베이징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후난성건축협회와 후난성건축예술가협회의 부회장으로 있으며 중국건축학회 이사이자 홍콩건축학회 회원이다. 건축 잡지 《중외건축(中外建築)》의 편집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
오병근
정보와 지식 전달을 위한 시각화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인간과 정보, 인간과 미디어, 인간과 공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위해 디자인 중심의 융합적 접근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 학사와 박사, 뉴욕대학교 예술대학원에서 석사 공부를 하고 현재 연세대학교 디자인예술학부 시각디자인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역서로 『지식의 시각화』(2013), 『디자이너를 위한 시각언어』(2011), 『에코 문화 디자인을 말하다』(2010), 『공공 디자인 강좌』(2009), 『정보 디자인 교과서』(2008), 『웹저작』(2005) 등이 있다. -
에도 스미츠하위전
정부와 기업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다수의 중요한 대규모 아이덴티티 및 사이니지 프로젝트에서 디자인 책임자로 일했다. 그의 디자인 작업은 네덜란드 그래픽 디자인의 독특한 위상 정립에 일조한 바 있다. 저자가 개발한 기능별 종합 사이니지 패널 시스템은 디자인 클래식으로 자리 잡았고 지난 23년간 전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교수이며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건축과 선(禪)의 철학을 전공했다. 한국 전통과 선(禪)의 사상으로부터 현대 미학을 가로지르는 생각으로 건축 설계와 디자인, 회화와 글 쓰는 작업을 해왔다. 「명묵의 건축」 「노자와 공간조형사상」 등 동양의 건축 미학에 관한 저서와 현대 건축의 미학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대표 건축으로는 〈이함캠퍼스〉 〈경주 동국대학교 선센터〉 〈한칸집〉 〈국민대학교 명원박물관〉 〈건명원〉 등이 있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한국건축가협회상, 대한민국 디자인 대상, 문화관광부 선정 올해의 우수도서상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