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노인력

老人力 全一冊

온라인 판매처

노망도 능력이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는 유쾌노화 방법

‘노인력’이란 무엇인가? 누구나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 건망증이 생기고, 비틀비틀 걷고, 시도 때도 없이 한숨을 쉬고, 눈이 침침해지고, 한 이야기를 또 하게 된다. 이런 노화의 징후를 통틀어 세간에서는 ‘노망났다’ ‘망령 들었다’ 같은 말로 비하하고 늙기를 기피해 왔다. 그러나 20세기 말 일본, 이 현상에 숨어 있는 가공할 미지의 힘이 발견되었다. 그것이 바로 ‘노인력’이다. 『초예술 토머슨』 『노상관찰학 입문』 등을 통해 기발한 개념과 유쾌한 필체를 선보인 아카세가와 겐페이가 이 책 『노인력』에서 다시 한번 발상의 전환을 통해 유쾌하게 나이 드는 방법을 전한다. 더 이상 나이 먹는 게 두렵지만은 않게 될 것이다. 어차피 피할 수도 없다.

편집자의 글

그거 좋네, 노인력.

건망증 이즈 뷰티풀.

1990년대,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도쿄신문》 문화란에 한 신조어에 관한 에세이를 기고했다. 그 에세이는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키며 잡지 《지쿠마》 연재로 이어졌고, 1998년 9월 에세이를 엮은 단행본이 나오자 출판사에는 ‘지금까지 상상도 한 적 없는’ 문의가 쇄도했으며, 일본에서 매년 연말 꼽는 ‘신어·유행어 대상’ 최종 10개 후보에 오르며 그 화제성을 입증했다. 이 신조어는 예상하시다시피 이 책 『노인력』의 제목과 같다.

처음 ‘노인력’이라는 말을 발안한 것은 ‘노상관찰학회’의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와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로, 이들의 발견에는 소재가 있다. 바로 아카세가와 겐페이 자체다. 후지모리 데루노부와 미나미 신보는 발견자,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발견(의 매개)물인 셈이다. “소재인 내 안의 어떤 무언가에서 이 두 사람이 노인력을 발견했다.” 여기서 어떤 무언가는 우리가 흔히 노망, 망령, 치매 같은 말로 불러온 것이다. 두 사람보다 나이가 많은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내가 먼저 노망 노인이 되는 게 당연하다.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며 “이런 호칭으로 불려도 별로 거부감은 없다.”라고 하지만, 정작 부르는 사람들은 마음에 걸리기 마련이다. 앞선 말들에는 노화의 성질을 비하한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나이를 먹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누구나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 발견자 두 사람도 나이를 먹으며 차차 노화의 성질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름이나 용건, 약속 따위를 잊어버리는 게 일상이 되고 몸 여기저기에 문제가 생겼다. 일본은 유교 국가가 아니지만 역시 윗사람을 노망 노인이라고 부르는 건 찜찜하기도 했다. 그런 이유로 찾아낸, 더 나은 표현이 ‘노인력’이다. “이렇게 해서 인류는 처음으로 노망을 하나의 능력으로 인지하게 되었다.”

위험해도 노인력

오용해도 노인력

책에서 꼽는 노인력의 특징으로는 건망증뿐 아니라 한숨도 있다. 어딘가에 앉을 때 “아고고고, 읏샤.” 하며, 앉고 나서는 “아-아.” 하고 한숨을 쉰다. “보통의 ‘읏샤’는 아직 힘쓰는 일이라는 의미가 있지만, 그 앞에 ‘아고고고’가 붙으면 노인력이라고 보아도 틀림없다.” 여기에 “아-아.”가 붙으면 더 적극적인 노인력이라고 설명한다. 식후 차 한 잔을 마시며, 하루의 끝에 맥주 한 잔을 마시며, 뜨거운 욕탕에 몸을 담그며, “아-아.” 하고 한숨을 쉬어서 피로를 내보낸다는 것이다. 첫 한숨은 무의식중에 나오더라도, 그 후에 다시 한번 한숨을 쉬면 일부러 피로를 내보내기 위해서다. “적극적인 조로의 힘이라고 할까. 거기에서 노인력에 대한 의욕 같은 게 느껴진다.”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장난스럽게 풀어내고 있지만, 노인력은 사실 위험하다. 증가할수록 죽음에 이르는 마이너스의 힘이다. 책에서 저자는 응급실에 실려 가는가 하면, 그의 동료들과 함께 건강검진을 받는 장면도 수차례 등장한다. 노인력이 높아질수록, 즉 노화가 진행될수록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중요한 법이다. 그런데 담당 의사는 “착실하게 노인력이 증가 중입니다.” “노망이 중간에 멈추는 일 없이 확실하게 유지될 겁니다.” 같은 말을 한다. 노인력은 결국 농담이다. 근래 주목받은 ‘실버 센류’에서 엿보인 것이 바로 노인력이다. 노인력은 스스로가 피할 수 없는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상기시키면서도, 그 사실을 무겁지 않게 알려준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노인력은 마이너스의 힘인데, ‘노인이 지닌 물리적 에너지의 양’으로 잘못 해석해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오용되곤 한다. ‘아직은 젊은 사람에게 지지 않는다.’ ‘아직은 이 정도 짐은 문제없다.’ ‘아직은 밤샘 따위 아무것도 아니다.’ ‘아직은 술 한 병이야 거뜬하다.’ 이는 노인이 자기를 쥐어짜 발휘한 플러스의 힘으로, 흔히 운운하는 노익장에 가깝다. 물론 나이를 먹어도 기력이 넘친다면 엄청난 일이지만, 이런 힘은 언젠가 약해진다. 인간뿐 아니라 모든 동물이 필연적으로 그렇다. “거기서 “약해질 수 없어!” 하면서 저항하는 대신 “이것은 약해지는 게 아니라 힘의 변화다.”라고 생각하는 게 노인력이다.” 다만 저자는 이런 오용 사례가 넘쳐나는 것조차, ‘그것이 말의 숙명’이라며 받아들인다. 이런 일에 하나하나 기를 쓰고 해명하기보다 가볍게 넘기는 것 또한 노인력이 만연해진 이의 일상일 것이다.

한국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노인력

한편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노인력이 일본의 독자적 힘이 아닌지 고찰한다. 서양에서 맥주를 마시며 한숨을 쉬는 건 보지 못했으니 말이다. 다만 이 부분에서 꼼꼼하고 끈기 있는 연구 보고를 기다린다고 했으니, 한국의 노인력을 찾아보았다. 같은 동북아라 그런지 한국도 곳곳에서 노인력이 발견된다. 성별을 막론하고 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누군가의 이름이 기억나지 않아 “그, 저 사람, 있잖아, 그 있잖아.” 하며 한참 헤매본 사람은 알 것이다. 종래에는 이름을 떠올리려는 노력조차 포기하고 심지어 “얘, 저기야.” “누구야.” 그냥 이렇게 대명사로 불러버리기도 한다. 노인력을 전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또 한국인 누구나 공감할 만한 노인력이라고 하면 역시 ‘물건 찾으며 노래 부르기’가 아닐까 싶다. 자잘한 잡화를 찾으며 ‘양말이 어디에 있나.’ ‘휴대폰을 어디다 뒀을까.’ 혼자 생각만 하는 게 아니라 듣는 사람도 없는데 입 밖으로 내 혼잣말을 한다는 것만으로도 노인력이 느껴지건만, 한술 더 떠 중얼거림에 곡조를 붙여버리는 것이다. 대체로 특별히 정해진 게 아닌 정체불명의 곡조다. 이러면 노래를 부르는 동안 즐거워지므로, 좋은 기분이 여운으로 남아 물건을 찾지 못해도 크게 개의치 않는다. 어딘가에는 있겠지, 언젠가 찾을 수 있겠지, 아무것도 급하지 않다는 듯이 못 찾은 채 둔다. 잊은 것도 노인력, 잊어버렸는데 여유 부릴 수 있는 것도 노인력이다.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프로야구에서 노인력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힘을 빼려면 힘을 뺄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노인이 되면 자연스럽게 노인력이 생겨 힘이 빠진다. 하지만 젊었을 때는 자연스럽게 힘을 뺄 수 없다. 의식해서 힘을 빼야 한다. 즉 의식적으로 노인력을 미리 발휘해야 한다.” 이때 한국의 동네 수영장도 좋은 예다. 힘을 빼야 물에 뜬다고 하지만 대부분 젊은이로 구성된 기초반 사람들은 도통 힘을 뺄 줄 모른다. 힘을 빼는 힘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숙련반은 거의 노인이 포진해 있다. 그들은 힘을 뺄 줄 안다. 노인력이 충만한 곳이다. 한국의 동네 수영장은 수영도 배울 수 있지만, 무엇보다 노인력을 배우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신체의 저속노화와 함께

정신의 저속노화를

이 책의 말미에 이르러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노인력이 예술임을 선언한다. 텔레비전 방송을 위해 노인력이 구현된 사물을 찾아다니며, 낡고 묘하고 좀스러운 물건을 발견할 때마다 웃다가 “이것은 예술이라고밖에 할 수 없네요.”라는 말을 하고 만 것이다. 노인력은 현역에서 벗어난 세상의 역학인데, 예술 또한 현역에서 벗어나 있다. 생산성이 없고 세상에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 하지만 또 다른 방면에서는 빠릿빠릿하다. “정·재계에서 본다면 예술은 노망스러움이나 휘청휘청이나 망령이나 배회노인 아닌가.” 예술이라고 하니 아카세가와 겐페이가 한 마을에서 발견한 “노인은 집의 수호신” 입간판의 존재도 떠오른다. 공항 반대 운동을 위해 준비한 입간판인데, 사용하기도 전에 반대 운동이 이기는 바람에 잔뜩 남은 입간판에 뭔가 의미 있는 문구를 적어서 마을에 세워두었다고 한다. 이 입간판은 쓸모없지만 잘 보존된, 일종의 ‘초예술 토머슨’ 아닌가 싶다.

“이렇게 노인력은 귀중하고 쉽게 손에 넣을 수 없는데도 의외로 모두가 싫어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불로불사를 향한 열망이 있었다. 수많은 사람이 늙는 것과 죽는 것을 두려워했다. 실버산업이 호황이라고는 해도 더 이상 생산할 수 없고 사회에 기여할 수 없는 노인의 존재는 사실상 소외되며, 노인 그 자신도 스스로를 쓸모없는 존재로 여긴다. 그러나 늙지 않는 사람은 없다. 다시금 강조하건대 누구나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 한편에서는 ‘저속노화’ 바람이 부는 세상, 신체의 노화를 늦추는 것은 물론 유의미하다. 하지만 노화 그 자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줄도 알아야 한다. 노인력의 개념은 유쾌하게 늙어가는 방법을 알려주고, 이는 곧 세대 사이의 간극을 줄이며 사회적으로 정신의 저속노화를 실현한다. 이를 통해 노인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다시 바라보게 되면, 언젠가 우리 모두가 노인이 되어 살아갈 세상을 더 낫게 만들어 갈 수도 있을 것이다.

책 속에서

조금씩 노망의 파도가 밀려왔다. 이름을 떠올리지 못하고, 용건을 떠올리지 못하고, 날짜를 떠올리지 못하는 일이 일상이 되었다. … 노망 노인이라고 하면 왠지 쓸모없는 인간처럼 들리지만, 노망도 하나의 새로운 능력이라 할 수 있으니 더 적극적으로 표현해 노인력은 어떨까. 그거 좋네, 노인력.
노인력.
이렇게 해서 인류는 처음으로 노망을 하나의 능력으로 인지하게 되었다.
건망증 이즈 뷰티풀.

13쪽

노인력은 절대로 우습게 여기면 안 된다.
힘을 빼는 일은 힘을 키우는 일보다 어렵다. 힘은 아무 생각 하지 않고 훈련을 거듭하면 누구나 키울 수 있다. 문제는 그 힘을 발휘할 때 더하기 이외에 빼기가 필요한데 그게 어렵다. 건망증이 까다로운 것과 원리는 같다. 잊고 싶어도 잊을 수 없는 일이 있다. 기억하고 싶은 일은 오히려 쉽게 잊는데 잊고 싶은 일은 좀처럼 잊을 수 없다. 인간의 머릿속은 늘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으니 도대체 어떻게 생겨 먹어서 그럴까.

24–25쪽

노인력에 속하는 것에는 한숨이 있다. 피곤할 때 의자에 “아고고고, 읏샤.” 하고 앉으면서 “아-아.” 하고 한숨을 쉰다. 그렇다. “아고고고, 읏샤.”도 노인력의 용솟음이다. 자신은 아직 젊다고 생각해도, 어느새 몸 안에 노인력이 출렁출렁 채워져 의자에 앉을 때 “아고고고, 읏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이 경우, 보통의 ‘읏샤’는 아직 힘쓰는 일이라는 의미가 있지만, 그 앞에 ‘아고고고’가 붙으면 노인력이라고 보아도 틀림없다.

37쪽

두 번이나 지갑을 두고 외출하자 마치 내가 위풍당당한 대大인물이 된 듯해 만족스러웠다. 소小인물은 늘 좀스럽게 하나라도 빼놓고 나가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대인물쯤 되면 지갑 정도는 깡그리 잊어버린다. 돈 따위 알 게 뭐야. 이런 논리의 정합성에 대해서는 이래저래 다른 의견도 있겠지만, 이러다가 열쇠나 수첩도 모조리 잊을지 모른다. 웃옷도 깡그리 잊고 바지도 깡그리 잊고 팬티도 깡그리 잊은 채 전철을 탄다면 엄청난 일이 될 것이다. 대인물은커녕 아예 인물을 초월한다.

47쪽

노인은 집의 수호신
페인트로 아주 크고 당당하게 쓰여 있었다. 이 말, 참 좋잖아. 작은 마을의 마을회관으로 보이는 건물 앞에 있었는데 왠지 살짝 감동했다. 보통 이런 길거리에는 인사를 잘하라든지 교통 규칙을 지키라든지 그런 흔해 빠진 표어가 쓰여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갑자기 “노인은 집의 수호신”이라는 입간판이 등장하다니 감동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문구도 문구인데 글자의 기세가 아주 훌륭했다. 하얗게 칠해진 양철 입간판에 아무래도 붓이 아닌 벽 도장용 솔로 쓴 듯한 굵고 가는 글씨가 쓰여 있었다. 글씨 굵기가 다 제각각이었다. 그런데도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아주 당당했다. 더군다나 페인트가 약간 흘러내린 상태였는데 그 또한 너무 딱딱하지 않고 대충대충이라는 느낌이라서 기분이 좋았다.

57–58쪽

도쿄돔야구장 표 두 장이라니, 나는 아직도 시건방진 애송이에 지나지 않는다. 나는 라이카 M6를 택시 안에 잃어버리고 내릴 수 있을까. 애초에 M6는 없지만, M3는 있다. 그리고 M2와 M4도. 그리고 CL도. 바르낙 스타일로는 라이카 Ⅲ f가 있다. 자랑할 때가 아니지만, 이 가운데 하나 정도 택시에 놓고 내려 보라고 하면 그건 어렵다.
“당신도 당당한 노인 아닌가. 노인력이 생겼다, 생겼다 하면서 좋아하니 라이카 한 대 정도 택시에 놓고 내릴 수 있겠지.”
이렇게 투서가 온다면 어떻게 하지. 그건 어렵다. 물론 허세로 잃어버린 척은 할 수 있지만, 역시 속상하다.

179쪽

젊은 사람들은 정보 사회에 젖어 있습니다. 정보 사회에서 사람들은 쩨쩨해집니다. 정보를 몽땅 끌어안으려고만 하고 깔끔하게 버리지 못하죠. 저도 본래는 쩨쩨한 편인데 노인력은 버리는 일이 얼마나 기분 좋은지 알려줍니다. 휙휙 잊어버리는 일의 재미죠.

208쪽

넘어져도 그냥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냥 일어나지 않는 힘이 노인력이지 않을까. 분명 노망이 들겠지만, 그 노망을 어떻게든 내 인생의 장점으로 만든다. 건망증도 당연히 생기는데 그것을 오히려 여유라면서 이용한다. 뭐, 방법이야 많을 테니 슈퍼 슬로모션처럼 천천히 넘어지면서 그 뒤쪽에서는 천천히 무언가를 쥐고 일어난다. 양손에 한가득 쥔 것은 사람마다 모두 다를 테니 무엇인지는 모른다.

238쪽

“북한은 사실 노인력의 나라 아닐까 생각했어요.”라고 해서 깜짝 놀랐다. … 우리 같은 사람이 보기에 북한 사람들은 언뜻 초라해 보이고 체제적으로도 압박되어 있을 거라고 상상하지만, 정작 그 나라 사람들은 의외로 느긋하게 생활한다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
그 기자는 진짜라고 했다. 애초에 북한은 유교 국가인데 유교는 노동을 경시해 빠릿빠릿하게 일하면 어리석다는 사고가 깔려 있으니 진짜 노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나는 깜짝 놀랐다. 유교 정신은 윗사람을 공경한다는 그런 내용이라고는 알았지만, 노동을 경시한다니. 나는 공부하지 않았으니 몰랐다. 그래도 왠지 알 듯도 했다. 역시 유교는 그렇구나.

266–267쪽

“이것은 예술이라고밖에 할 수 없네요.”
말하고 난 뒤에 정말 그렇다고 생각했다. 예술은 본래 현역에서 벗어나 있다. 생산성에서 벗어나 있다. 빠릿빠릿하게 일하는 세상 입장에서는 정말 도움이 안 된다. 그런데 어떻게 된 일인지 다른 방면에서 빠릿빠릿하게 하는 게 또 예술이다. 그렇다, 정말 그렇다. 정·재계에서 본다면 예술은 노망스러움이나 휘청휘청이나 망령이나 배회노인 아닌가.

300쪽

이 부근에서는 그 묘지의 명의를 가진 사람의 6촌까지 들어갈 수 있다고 했다. 육촌은 사촌보다 더 먼 촌수니 친척이라면 대부분 다 들어갈 수 있다. 그렇군, 그렇게 되는군. 당연히 그래야지. 뭔가 안심했다. 육촌까지 들어갈 수 있다고 하니 눈앞의 묫자리 부지가 아주 좁은데도 엄청 넓게 느껴졌다. 인간의 두뇌란 참 이상하다. 형수는 나중에 딸과 만나, 육촌까지 들어갈 수 있다니까 너도 들어가도 된다고 했더니 딸이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엄마, 목욕탕도 아니고 그게 뭐야.”
그 말도 일리가 있다.

380쪽

차례

1부
무슨 말씀하시려는지 잘 압니다
건망증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아’가 붙는 한숨
식후 차 한 잔의 한숨
노인은 집의 수호신
노인력으로 가득 찬 구급차
깊이 생각해 봐야 아무짝에도 소용없다
노인력 태동의 시기를 파헤치다
소련 붕괴와 취미의 관계
중고 카메라와 취미의 노동
아침 신문을 보며 생각했다
잠드는 힘을 파헤치다
도쿄돔의 공석
노인력은 물체에 작용한다
택시에 두고 내린 라이카
1년에 한 번 건강검진
하룻밤 지난 정보는 미련 없이 버린다
1부를 마치며

2부
클리어 버튼이 있는 세상
넘어져도 그냥 일어나지 않는 힘
물리적으로 증명된 노인력
대포동 미사일과 혁명적 낙관주의
잠들어 버릴 테다
곤약 감자의 마을
시골의 힘을 분석하니
소토보의 외딴섬이 지닌 노인력
오용하는 노인력이라는 말
먹고 마시고 쓰는 날들의 기록
배수진의 눈에 둘러싸여
묫자리를 준비하다
파리 호텔에서 곯아떨어지다
우주의 곁길
들어가면서 점점 사라지는 욕조
마지막 소원
2부를 마치며

이 책을 마치며
글이 처음 실린 곳
역주

아카세가와 겐페이

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서하나

언어와 활자 사이를 유영하는 일한 번역가, 출판 편집자. 언어도 디자인이라고 여기며 일본어를 우리말로 옮기고 책을 기획해 만든다. 건축과 인테리어 분야에 있었으며 일본 유학 후 안그라픽스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노인력』 『501XX는 누가 만들었는가』 『미나 페르호넨 디자인 여정: 기억의 순환』 『도쿄 호텔 도감』 『1970년대 하라주쿠 원풍경』 『디자이너 마음으로 걷다』 『몸과 이야기하다, 언어와 춤추다』 『노상관찰학 입문』 『초예술 토머슨』 『저공비행』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다면』 등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이상하게 그리운 기분』(공저)을 썼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