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나라는 수수께끼

自分の謎

온라인 판매처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내가 나라는 수수께끼에 대하여

‘나는 누구인가’ ‘나는 왜 지금 여기 있는가’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와 같은 질문에는 명확한 답이 없다. 누군가에게 물어본다고 해서 진리를 깨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해답 없는 질문이 결코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책 『나라는 수수께끼』에서 일본의 대표 전위예술가이자 에세이스트, 소설가, 사진작가이기도 했던 전방위 예술가 아카세가와 겐페이는 마치 숙제처럼 어린 시절부터 품은 세상의 난해한 문제를 다룬다. 즉, 내가 나라는 너무도 당연하고 확실한 사실을 마지막 한 점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생각한다. 나는 무엇이고, 내가 나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어려운 질문에 아카세가와는 자신만의 답을 찾아 나선다. 작가 특유의 문장과 그림에 묻어 있는 유머러스한 비유와 이야기를 좇다 보면, 어린 시절에 품었지만 지금은 사소하게 여기거나 잊고 지내던 세상을 향한 수많은 질문이 떠오를 것이다.

『나라는 수수께끼』는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선’을 통해 나라는 존재를 인식하는 순간을 그리고, ‘아픔’을 통해 ‘나인 것’과 ‘내가 아닌 것’의 구분을 파고들며 그 경계의 모호함을 통찰한다. 또한 세상에 단 하나인 나라는 존재에 대한 자각을 어린아이의 자기중심적 사고로 풀어내고, 누구와도 다르지만 모두가 특별한 수많은 ‘자아’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처럼 ‘나’에 대한 근원적 의미를 생각하는 『나라는 수수께끼』는 단순한 그림책이 아닌 철학을 담은 그림책이라 할 수 있다. 아카세가와는 과학으로 해결되지 않는 추상적이지만 가장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문제를 우리 스스로 생각하게 이끌어준다. 오늘날 우리는 이처럼 난해한 문제를 무시하며 살아간다. 나이가 들어 어른이 될수록 더욱 그렇다. 어른들은 머릿속에 있는 여러 의문을 밖으로 모두 표현하지 않는다. 어린 시절 누구나 품던,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해답이 없는 질문들은 어른이 되면서 자연히 잊힌다. 지금 당연하다 여기고 무시하던 것을 지그시 들여다보자. 아카세가와처럼 머릿속에서 꼬물대는 생각의 단편들을 죽 이어가다 보면 보이지 않는 한 점을 통찰하고 자신만의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에서

내가 나라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고 강제적이어서 누구도 피할 수 없다. 모두가 확실한 나다. 지구상에는 60억의 내가 있다. 역사적으로는 지금까지 몇천 억, 몇천 조, 몇천 경의 내가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유전자는 계승되지만 나는 계승되지 않는다. 태어나 죽으면 끝이다. 누구에게 양보할 수도 없고 누구와 교환할 수도 없다. 이를 신비롭다 해야 할지 당연하다 해야 할지.

아카세가와 겐페이, 「마치며」에서

아침마다 거울을 보며 마주하게 되는 나는 나인가? 그 대상화된 나의 분신은 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아침마다 나의 어제를 반성케 하고, 오늘을 살게 하는 질문에 부딪힌다.

김난주, 「옮긴이의 말」에서

차례

눈의 문제
아픔의 문제
국경의 문제
하나의 문제
강한 자아 약한 자아

마치며

아카세가와 겐페이

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김난주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쇼와여자대학(昭和女子大学)에서 일본 근대 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 문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냉정과 열정 사이: 로소(冷靜と情熱のあいだ: Rosso)』 『키친(キッチン)』 『박사가 사랑한 수식(博士の愛した數式)』 『겐지 이야기(源氏物語)』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별을 담은 배(ほしぼしのふね)』 『신참자(新參者)』 등이 있다.

관련 시리즈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