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건축강의 2 세우는 자, 생각하는 자

온라인 판매처

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자연과학분야 선정

건축가는 누구인가
건축가에게 건축이론은 왜 필요한가
건축가의 가장 큰 숙제는 무엇인가

건축이론은 자명한 것을 다시 바라보는 것이다.
올바른 질문을 찾는 학생은 20대의 테오로스다.
건축가의 직능을 묻는 것은
건축이 누구를 위해 지어지는가를 묻는 것이다.

건축가는 가장 오래된 직업은 아니지만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다. 건축가는 짓는 사람이면서 생각하는 사람이고, 건축을 통해 사회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이 책 『세우는 자, 생각하는 자』는 건축가의 사회적 직능을 통해 건축이론의 방향성을 묻는다. 건축이론은 나를 위한 것인 동시에 사회의 요구를 건축으로 실천하고 그 생각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론을 다루는 ‘말’이란 생각하고 상상하며 표현하는 생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이는 건축가에게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건축가는 작업 과정에서 수없이 그리고 만드는 다이어그램과 도면, 모델만이 아니라 문장으로도 건축을 말할 수 있다. 이 책은 역사적으로 논의되어온 중요한 개념을 통해 건축가에게 왜 반드시 건축이론이 있어야 하는지를 밝힌다. 이론 없는 건축이 없듯이, 이론 없는 건축가도 없다.

책 속에서

건축이론이 건축설계에 관한 이론이 되려면 ‘건축이란 무엇인가’를 묻기보다 ‘건축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1장 건축과 이론 – 건축이론」, 37쪽

건축을 한다는 것은 사람의 생활에 질서를 주는 것이다. 질서라고 하면 구속하는 느낌을 주지만, 질서가 없으면 자유로움이 생기지 않는다. 건축은 구속됨으로써 자유를 주는 구조물이다. 설계는 논리적으로 만들려는 노력과 그 논리가 담지 못하거나 그 논리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이 균형을 이룰 때 성립한다. 따라서 설계에서 논리나 형식은 그것에서 벗어나려는 상상력을 얻기 위한 스프링보드다.

「2장 건축과 말 – 말과 상상력」, 107쪽

건축은 건축가의 작품이 아니라, 그 건물 짓기에 참여하고 이용하고 관리하고 다음 세대에게 넘겨 줄 지역사회의 출현의 공간이어야 한다. 건축은 정해진 장소에서 그 시간과 시대의 필요에 따라 지어지지만, 한번 지어진 건축물은 오래 남아 앞으로 나타날 지역사회의 또 다른 미래의 사용자에게 넘겨진다.

「3장 건축가라는 사람 – 짓고 생각하는 건축가」, 153쪽

차례

건축강의를 시작하며

서문

1장 건축과 이론
건축이론|유추에 관하여|기원과 원형 | 건축의 모델|설계의 원형과 모델

2장 건축과 말
말과 상상력|설계

3장 건축가라는 사람
건축가|직능인|짓고 생각하는 건축가

4장 건축가의 숙제
사라지고 생기는 빌딩 타입|근대의 빌딩 타입 | 헤테로토피아|현대건축의 모델|빌딩 타입의 교환

주석

도판 출처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해 동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공부했고,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42년 동안 서울시립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의 공동성(共同性, commonness)에 기초한 건축의장과 건축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대한건축학회 부회장, 한국건축학교육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공동건축학교 교장으로 있다. 한국건축가협회상(1997, 2008), 가톨릭미술상 본상(2005), 대한건축학회상(2002), 서울대학교 훌륭한 공대 교수상(2012), 대한민국 생태환경건축대상(2013)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주택: 토지에 새겨진 주거』(1991),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2014), 『건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건축형태의 원리』(1989), 『루이스 칸: 학생과의 대화』(2001), 『건축의장강의』(2008) 등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