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게르스트너(1930–2017, 스위스 바젤)는 다방면에 걸친 교육을 받고 비판적 사유를 펼친 인물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 분야를 혁신하며 1950년 이후 스위스 대표 디자이너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는 디자이너 이상의 존재였다. 예술가로서 체계적인 색채와 형태 언어를 구축했고, 1950년대 중반에는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예술에 관한 책을 낸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광고 에이전시 디렉터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9년 그래픽 스튜디오를 설립했고, 스위스 화학기업 시바-가이기Ciba-Geigy의 의뢰로 디자인 작업을 시작했다. 막스 슈미트와 함께 ‘가이기 스타일’을 창안했고, 이 과정에서 마르쿠스 쿠터를 만나 1959년 게르스트너 + 쿠터 광고 에이전시를 세웠다. 파울 그레딩거가 합류하면서 1963년에는 전설적인 광고 에이전시 GGK가 탄생했다. 1970년대 GGK는 스위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광고 에이전시로 자리 잡았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 지사를 열었다. 그는 스위스에어Swissair, 부르다Burda, 랑겐샤이트Langenscheidt 등 여러 기업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했고, IBM의 전 세계 총괄 아이덴티티 컨설턴트이자 디자이너로 일했다.
게르스트너는 디자이너이자 에이전시 대표로 일하면서 동시에 미술 작업도 이어갔다. “커리어 초기에 광고 제작을 핑계 삼아 어디든 예술 활동을 해나갔다. 나는 뒤렌마트Friedrich Dürrenmatt가 문학 작품을 스릴러 소설로 위장했던 것처럼 사람들을 미술관에 억지로 밀어 넣지 않는 일상의 예술을 했고, 거기에는 진실을 전하겠다는 사명감을 넘어선 무언가가 있었다. 그 어떤 작업이든 나의 잠재능력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야말로 인생을 가장 의미 없이 낭비하는 일이라 여겼던 탓이다.” 전 세계에서 출간된 수많은 디자인 관련 출판물이 카를 게르스트너의 작업을 기렸고, 그의 작품은 많은 미술관에서 전시된 바 있다.
『디자이닝 프로그램스』는 그의 지식을 집대성한 책으로 그래픽 디자인계에서 추종자를 만들어냈고 『문해자를 위한 개론: 글쓰기의 시스템Kompendium für Alphabeten: Systematik der Schrift』(1972) 역시 꾸준히 읽혔다. 1973년, 뉴욕 현대미술관은 게르스트너의 작업 방식과 디자인 철학을 다룬 전시 ‹Designing Programs/Programming Designs›를 통해 그의 작업에 경의를 표했다. 뉴욕 아트디렉터스클럽은 게르스트너를 ‘명예의전당’ 후보로 추천했고, 1992년에는 독일 아트디렉터스클럽이 그를 명예회원으로 추대하였다. 2006년에는 시대를 개척한 게르스트너의 디자인과 예술 작업 아카이브 일체가 스위스 국립도서관의 판화 및 드로잉 부문 소장품으로 편입되었다. 2019년, 일본 긴자그래픽갤러리(ggg)에서는 스위스 국립도서관, 취리히 디자인박물관, 카를 게르스트너 유족 등의 도움으로 ‹What’s Karl Gerstner? Thinking in Motion› 기획 전시가 열렸다.
사람들
카를 게르스트너
Karl Gerstner
다른 사람들
-
타이포그래퍼. 1942년 2월 오스트리아에서 독일 국적으로 태어났다. 독일에서 식자공 도제 과정을 마친 후 스위스 바젤디자인학교(Schule für Gestaltung Basel)에서 에밀 루더, 쿠르트 하우어트, 로베르트 뷔흘러의 가르침을 받았고, 그 후 독일,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 활동하며 대표작 〈Katanaka Eru〉를 디자인했다. 일본과 독일 등지에서 『디자인은 태도다』 등 다수의 서적을 출판하고, 오사카에서 정보 전달과 자유 형태라는 이원성에 천착하며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80년 『타이포그라피 투데이』를 편집·디자인했고, 1997년 ‘타이포그라픽 리플렉션’ 시리즈 네 번째로 『바젤로 가는 길』을 출판했다. 일본의 《아이디어》, 영국의 《베이스라인》, 스위스의 《TM》 등의 잡지에 기고했으며 인도 봄베이의 IDC, 일본 고베의 KDU, 한국 서울의 홍익대학교에서 타이포그라피 강의와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2018년 작고했다.
-
김대권
최초의 UI용 한글 힌팅 폰트인 「맑은 고딕」을 첫 프로젝트로 폰트 기술자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다양한 폰트 에디터용 플러그인을 개발했고 다수의 기술 강의를 진행했다. 폰트 디자이너들과의 다양한 협업과 대화를 즐긴다. 현재 폰트뱅크에서 모바일 폰트 다운로드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라인갭을 운영하고 있다. -
이홍희
1982년 서울 출생. 1990년대 초반부터 불법이라는 점에 이끌려 일본 문화에 빠진 뒤, 대학과 대학원에서 일본 문학을 공부했다. 이후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며, 다양한 분야의 책을 편집하거나 옮겼다. 티셔츠 사이즈는 일본에서는 L, 한국에서는 M, 미국에서는 S. 버릴 수 없는 티셔츠는 2003년 WWE 한국 투어 때 산 헐크 호건의 티셔츠다. 생각보다 티셔츠 천이 너무 두꺼워서 여태 간직하고만 있다. 언젠가는 헐크 호건처럼 티셔츠를 찢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운동한다. -
김황
디자이너. 2006년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안그라픽스에서 UX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후 영국 런던 왕립예술학교(RCA)에서 석사를 취득했으며, 싱가포르/네덜란드 필립스헬스케어에서 UX 디자인 디렉터로 일한 다음 귀국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학과에 합류했다. UNIST 부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OND Lab을 설립해 다수의 디자인 연구와 실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 학회의 이사로 활동한다. 디지털 제품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 전략, 그리고 의료 UX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아울러 RCA에서의 인연으로 동시대 여러 비평적 디자이너와 연대한다. 〈CCTV 샹들리에〉 〈모두를 위한 피자〉 등의 대표작은 런던 바비칸센터, 예루살렘 이스라엘뮤지엄, 서울 페스티벌 봄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공연, 전시 및 상영했다. OND Lab과 함께 디자인 정의에 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며, 디자인 역할의 확장을 추구한다. 급변하는 동시대 삶에 다른 … -
로렌 도허티
LMHC, ATR-P.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의 에스케나지미술관에서 예술 기반 복지 체험 관리자이자 전임 미술치료사로 일한다. 미술관에 처음 도입된 이 직책을 맡아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아동, 인지 및 발달 장애인, 인디애나대학교 학생 등 다양한 연령과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논문으로 인디애나대학교 헤론예술디자인학교에서 미술치료 석사 학위를 받았다. 뮤지엄 소장품을 연계하고 감상하는 의미 있는 방식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지원하고, 예술 제작과 창작 과정을 활용해 건강과 행복을 증진하고자 열과 성의를 다한다. -
박정준
서울대학교 서양학과를 졸업한 뒤 ‘LHOOQ’란 이름의 화실을 열고 드물게 작업을 했다. 우연히 글을 쓰기 시작해 2012학년도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공저했다. 미술기법 이론서와 함께 새로운 작업을 궁리 중이다. -
전가경
그래픽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며, 대구에서 ‘사월의눈’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책을 기획하고 만든다. 박사 논문 『잡지 『뿌리깊은 나무』 연구: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2017)를 발표했고, 공백으로 놓여 있는 한국 그래픽 디자인 역사를 출판 기획 및 저술을 통해 채우는 데 관심이 있다. 『세계의 아트디렉터 10』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공저) 및 인터뷰집 『펼친 면의 대화』 등을 썼고, 한국 시각디자인 역사의 단면을 담은 『한국의 90년대 전시 도록 xyz』와 『정병규 사진 책』,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통해 지역성을 탐구하는 ‘리듬총서’를 기획했다.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 《100 필름 100 포스터》 전시의 총감독을 맡았다. -
김현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와 카이스트 MBA 과정을 마치고 다양한 조직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크리에이티브커먼즈코리아에서 오픈 디자인 살롱 등 오픈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윤서영
전 주한 스위스 대사관 문화공보담당관. 어린 시절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스위스에서 거주하며 학창 시절을 보냈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부를 졸업하고,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 전략디자인경영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자 일간지 『코리아타임스』에서 문화 담당 기자로 활동했으며, 신문, 잡지, 라디오, 방송을 넘나들며 10여 년간 문화와 여행 콘텐츠를 다뤘다. 영국 유명 디자인 잡지 『월페이퍼』의 유일한 한국 통신원이기도 하다. ‘더 서울 컬렉티브’를 설립해 한국과 해외 간 문화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
이용신
연세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 서울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프랫인스티튜트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을 전공했다. 잡지 《글래머》와 《애드버타이징 에이지》에서 디자이너로 일했으며, 지금은 뉴욕의 디자인 회사 CMYK+WHITE에서 아트디렉터로 일한다. -
박효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쌍용그룹 홍보실, 삼성전자 해외 본부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했고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삼성디자인학교(SADI), 삼성디자인연구원(IDS)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2016년 현재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과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정보인터랙션디자인 전공 교수로 있다. -
이순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미국일리노이공과대학 디자인대학원(IIT)을 졸업했다. 국민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와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또한 세계디자인학회(IASDR)를 설립하고 한국디자인학회 회장,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초대 디자인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미래디자인예측과 디자인전략, 기업 아이덴티티 및 문화디자인, 다학제 통합디자인, 창의디자인도시 등 다양한 기업 연구를 수행하였다. 벤처 및 디자인 인증제, 통합창의디자인, 미래창의교육, 미래디자인예측, 한국의 디자인 등과 관련된 다수의 저서가 있다. 우리나라 디자인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산업포장(2001)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