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게르스트너(1930–2017, 스위스 바젤)는 다방면에 걸친 교육을 받고 비판적 사유를 펼친 인물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 분야를 혁신하며 1950년 이후 스위스 대표 디자이너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는 디자이너 이상의 존재였다. 예술가로서 체계적인 색채와 형태 언어를 구축했고, 1950년대 중반에는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예술에 관한 책을 낸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광고 에이전시 디렉터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9년 그래픽 스튜디오를 설립했고, 스위스 화학기업 시바-가이기Ciba-Geigy의 의뢰로 디자인 작업을 시작했다. 막스 슈미트와 함께 ‘가이기 스타일’을 창안했고, 이 과정에서 마르쿠스 쿠터를 만나 1959년 게르스트너 + 쿠터 광고 에이전시를 세웠다. 파울 그레딩거가 합류하면서 1963년에는 전설적인 광고 에이전시 GGK가 탄생했다. 1970년대 GGK는 스위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광고 에이전시로 자리 잡았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 지사를 열었다. 그는 스위스에어Swissair, 부르다Burda, 랑겐샤이트Langenscheidt 등 여러 기업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했고, IBM의 전 세계 총괄 아이덴티티 컨설턴트이자 디자이너로 일했다.
게르스트너는 디자이너이자 에이전시 대표로 일하면서 동시에 미술 작업도 이어갔다. “커리어 초기에 광고 제작을 핑계 삼아 어디든 예술 활동을 해나갔다. 나는 뒤렌마트Friedrich Dürrenmatt가 문학 작품을 스릴러 소설로 위장했던 것처럼 사람들을 미술관에 억지로 밀어 넣지 않는 일상의 예술을 했고, 거기에는 진실을 전하겠다는 사명감을 넘어선 무언가가 있었다. 그 어떤 작업이든 나의 잠재능력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야말로 인생을 가장 의미 없이 낭비하는 일이라 여겼던 탓이다.” 전 세계에서 출간된 수많은 디자인 관련 출판물이 카를 게르스트너의 작업을 기렸고, 그의 작품은 많은 미술관에서 전시된 바 있다.
『디자이닝 프로그램스』는 그의 지식을 집대성한 책으로 그래픽 디자인계에서 추종자를 만들어냈고 『문해자를 위한 개론: 글쓰기의 시스템Kompendium für Alphabeten: Systematik der Schrift』(1972) 역시 꾸준히 읽혔다. 1973년, 뉴욕 현대미술관은 게르스트너의 작업 방식과 디자인 철학을 다룬 전시 ‹Designing Programs/Programming Designs›를 통해 그의 작업에 경의를 표했다. 뉴욕 아트디렉터스클럽은 게르스트너를 ‘명예의전당’ 후보로 추천했고, 1992년에는 독일 아트디렉터스클럽이 그를 명예회원으로 추대하였다. 2006년에는 시대를 개척한 게르스트너의 디자인과 예술 작업 아카이브 일체가 스위스 국립도서관의 판화 및 드로잉 부문 소장품으로 편입되었다. 2019년, 일본 긴자그래픽갤러리(ggg)에서는 스위스 국립도서관, 취리히 디자인박물관, 카를 게르스트너 유족 등의 도움으로 ‹What’s Karl Gerstner? Thinking in Motion› 기획 전시가 열렸다.
사람들
카를 게르스트너
Karl Gerstner
다른 사람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 2003년 LG전자에 입사한 뒤 다양한 모바일 UX/UI 개발 실무를 거치면서 LG전자 UI개발실 전략・기획 그룹장, SK텔레콤 UI기획팀 UX파트장을 역임했다. 2008년에는 Vinyl, DNA, PXD 등의 UI 전문회사들과 함께한 SK텔레콤의 스마트폰 OS UI개발을 총지휘하였고, 2009년부터는 현대기아자동차, LG전자, 삼성전자, SK플래닛 등과 대학 간에 다수의 UX/UI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0년부터는 T아카데미에서 모바일 UX/UI 기획 및 설계, 디자인전문가 과정 등을 강의하며 UX/UI 전문인력의 양성에 힘을 쏟아오고 있다. 성균관대 산업공학과에서 공학사 취득 후 KAIST에서 공학박사 (인지・인간공학 전공)를 취득했고 현재 UXPA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그동안 40여 편의 국내외 연구논문을 발표하였고 50여 개의 UI 특허를 출원・등록하였다. huhnkim@seoultech.ac.kr …
-
페라 카페이
디자이너이자 아트 디렉터. 디자인 교육에서의 젠더 격차를 다루는 이니셔티브를 이끄는 한편 업계의 포용성 확대를 촉구하는 공동체 조성에 힘써왔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자그마이스터&월시, 더블데이&카트라이트에서 근무했다. -
김유영
연세대학교 HCI Lab에서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 디지털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주식회사 하이(HAII)와 함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 치료를 하는 디지털 치료제의 기획·개발·임상을 진행 중이다. 디지털 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A–Z를 직접 경험했을 뿐 아니라, 어떻게 하면 환자들이 더 잘, 지속적으로 디지털 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연구한다. 공저로 『디지털 치료제 혁명: 제3의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모든 것』(클라우드나인, 2022)을 집필했다. -
재단법인 아름지기
재단법인 아름지기는 한국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새로운 문화유산으로 가꾸어가기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 민간 단체로 2001년 11월에 창립되었다. 아름지기는 한국의 전통문화유산과 그 주변 환경을 가꾸는 일을 통해 우리 문화의 맥을 계승하고 현대인의 의.식.주 전반에서 전통의 가치가 숨 쉴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창덕궁과 종묘 환경 가꾸기, 정자나무 주변 가꾸기, 4대 궁궐과 종묘 안내판 디자인 코디네이션, 해인사 안내판 디자인 사업, 하회마을과 양동마을 안내판 디자인 사업, 아름지기 아카데미, 세계문화유산 답사, 아름지기 기획전, 한옥에서 우리 음악 듣기, 전통 생활문화 연구 등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통해 우리 전통과 문화유산에 담긴 뜻과 지혜를 널리 알리고 있다. 서울 안국동 한옥과 경남 함양 한옥을 운영해 한옥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앞으로도 아름지기는 과거, 현재, 미래를 … -
로렌 도허티
LMHC, ATR-P.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의 에스케나지미술관에서 예술 기반 복지 체험 관리자이자 전임 미술치료사로 일한다. 미술관에 처음 도입된 이 직책을 맡아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아동, 인지 및 발달 장애인, 인디애나대학교 학생 등 다양한 연령과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논문으로 인디애나대학교 헤론예술디자인학교에서 미술치료 석사 학위를 받았다. 뮤지엄 소장품을 연계하고 감상하는 의미 있는 방식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지원하고, 예술 제작과 창작 과정을 활용해 건강과 행복을 증진하고자 열과 성의를 다한다. -
현대자동차
세계 200여 개국에 자동차를 수출하고 글로벌 생산기지를 건설한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로, 한국 최초로 독자 모델 포니를 개발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차를 출시하고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를 론칭해 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선도적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견인한다. ‘인류애를 향한 진보’를 목표로 기술의 진화를 실현하며 인류를 위한 더 나은 방향을 모색 중이다.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과 평화로운 삶’이라는 인류의 꿈을 함께 실현해 나가고, 그 결실을 전 세계 모든 고객과 나누면서 사랑받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
김병조
고 김병조는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홍익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예일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홍익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 안그라픽스에서 나온 『타이포그래피 사전』의 공동 저자이며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기술적 문제」(2016년) 등을 발표했고 2017년에 벰비(Bemby), 2018년에 글립스 산스(Glyphs Sans) 등의 활자체를 디자인했다. 2021년 세상을 떠났다. -
푸하하하프렌즈
푸하하하프렌즈는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세 명의 소장과 여섯 명의 동료로 구성된 건축설계 사무소다.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셋은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dmp)에서 만나 동료로서 인연을 맺었으며 2013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도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작업을 보여준다. ‘2019 젊은건축가’로 선정되었다. -
마거릿 커훈
1947–2017년. 괴테주의 생물학자이자 환경 문제를 다루는 교육 자선 단체로 스코틀랜드 이스트로디언의 람머뮤어힐스 기슭에 위치한 생명과학신탁 핏원튼 프로젝트의 창립 이사였다. 1960년대 에든버러대학교에서 동물학과 유전학을 전공하고 1970년대에는 인구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에 관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에도 분류학과 진화의 실체와 관계에 의문을 품고 독일 외쉘브론의 칼구스타프카루스연구소와 스위스 도르나흐의 괴테아눔 자연과학부에서 4년간 괴테 과학 방법론을 배웠다. 예술과 과학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고 조경, 약용 식물 및 동물 진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으며, 잉글랜드 데번의 슈마허칼리지에서 괴테 과학을 활용해 광범위하게 가르치고 연구했다. -
관조 스님
1943년 출생하고 1960년 부산 범어사에서 득도했으며 2006년 입적했다. 1970년대부터 한국의 사찰과 자연을 폭넓게 사진에 담아 왔다. 〈서울 아시안게임 경축 사진전〉 〈올림픽 경축전〉을 비롯해 로스앤젤레스·토론토·시카고 등지에서 해외전 외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작품집으로 『승가』 1–2와 『열반』 『수미단』 『대웅전』 『생, 멸, 그리고 윤회』 『사찰꽃살문』 『님의 풍경』 등이 있으며 공저서로 『명묵의 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
최영준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로, 동 대학에서 조경학 학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조경디자인성능연구실(landscape design performance lab)의 담당교수이자 랩디에이치 조경설계사무소(Lab D+H Seoul) 디렉터로, 조경 작업이 일으킬 수 있는 힘을 연구하고,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오픈스페이스 조경 작업을 한다. <타임워크명동 공유정원> <한강변 보행네트워크> <파주 대통령메모리얼공원> <상하이 믹시몰과 공원> 등을 설계했고, 『공원을 읽다』 『용산공원』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을 공저했다. -
김지훈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IDAS)을 졸업하고, KAIST 산업디자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핫소플래트너디자인연구소(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University) 방문 연구원을 지냈고, 2013년 현재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 심사관으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