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저널리스트, 영화 제작자 및 책 제작자다. 런던에서 인물 사진작가로 경력을 시작해 영국과 미국의 다양한 잡지에 과학, 항공우주, 우주론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 2012–2018년에는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를 기념하는 다양한 도서 프로젝트와 국제 전시회를 위해 큐브릭의 가족과 긴밀히 협력했다. 또한 미국항공우주국의 60주년을 기념하는 가장 유명한 임무 주요 회고전에서 나사와 협력했으며, 콰르토(Quarto)와 함께 플로리다에 있는 나사의 발사장을 위한 브로슈어를 만들었다. 유럽우주국에서 고위 인사를 위한 브로슈어와 정치 연설문을 작성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는 『문샷: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통해 본 나사 우주 탐사 50주년(Moonshots: 50 Years of NASA Space Exploration Seen Through Hasselblad Cameras)』(2017), 『우주왕복선: NASA 최초의 우주비행기 30주년 기념(The Space Shuttle: Celebrating Thirty Years of NASA’s First Space Plane)』(2011), 『거대한 도약: 아폴로 11호의 기억(One Giant Leap: Apollo 11 Remembered)』(2009), 『2001: 미래를 촬영하다(2001: Filming the Future)』(2000), 『화성의 강들(The Rivers of Mars)』(1997) 등이 있다. 모국인 영국에서 젊은이들을 위한 과학 봉사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사람들
피어스 비조니
Piers Bizony
다른 사람들
-
『엘리스온』, 월간 『디자인』과 『1.5°C』 『East』 등 온·오프라인 매체에서 에디터로 일했다. 예술, 디자인, 기후 환경, 도시와 공간, 삶의 방식에 관한 이야기에 관심 있다. 현재 그란데클립에서 발행하는 매거진 『C』 에디터다.
-
이승헌
동명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교수. 동아대학교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부산대학교에서 ‘건축에서 지역성의 의미와 표출 기법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건축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위해 각종 매체에 글을 기고하거나 강연을 하고 있으며, ‘공간의 진화’와 ‘직조의 미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노후 주택 재생 프로젝트인 ‘리노하우스’의 기획 및 설계자로 활동했으며, 중소기업 환경 개선 프로젝트인 ‘아이러브부산컴퍼니’의 PM을 맡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하우징 디자인 핸드북』 『공간에 반하다』 『마흔에 살고 싶은 마당 있는 집』 등이 있다. -
가시와기 히로시
무사시노미술대학에서 디자인사를 전공했다. 동경예술대학 교수를 지냈다. 2005년 현재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디자인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초상에 숨겨진 권력』 『예술의 복제기술시대』 『일용품의 문화지』 『20세기의 디자인』 『디자인과 유토피아 – 모던 디자인은 무엇을 꿈꾸었나』 『모던 디자인 비판』 등이 있다. -
남호정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시각디자인전공으로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디자인연구소에서 일하며 수많은 기업 프로젝트를 기획·제작하고 한국대학출판부협회장,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이사, 광주전남디자인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부교수로 있으면서 문화전문대학원 겸임교수를 겸직한다. 지은 책으로 『디자인 디자이너』를 비롯해 공저서 『디자人참!교육』『디자인상상 스물하나』 『기초 디자인』 등이 있다. -
최경화
『포르투갈, 시간이 머무는 곳』 『스페인 미술관 산책』을 썼고 프라도미술관 등 스페인의 미술관과 유적지의 한국어 가이드를 번역했다. 현재 포르투갈에서 산다. -
봉성창
2005년 경향게임스에서 게임 전문기자를 시작으로, 지디넷코리아 산업팀장, 씨넷코리아 편집장을 거치며 IT 전문기자로, 매일경제TV 산업팀장과 비즈한국 산업팀장을 거쳐 경제 전문기자로 전문 영역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2017년부터 비즈한국에서 개최하는 ‘브랜드비즈 컨퍼런스’를 기획 총괄하며, 기업의 브랜딩 및 디자인 전반에도 관심이 많다. -
최정호
한글 디자이너이자 서체 연구가이다. 일본으로 건너가 인쇄소에 취직해 다양한 인쇄 기술을 습득했고 요도바시미술학원에서 수학했다. 1957년 ‘동아출판사체’를 개발해 큰 호평을 받았으며 1970년대 초반 일본 사진식자기 제조사 샤켄(寫硏)과 모리사와(モリサワ)로부터 의뢰받아 한글 서체를 개발했다. 말년에는 한글 디자인 철학과 원리에 대한 기고를 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세명조, 중명조, 중고딕, 태고딕, 견출고딕 등 한글 본문 서체뿐 아니라 변형체들을 개발했다. -
권명광
그래픽 디자이너.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홍익대학교 제15대 총장, 홍익대학교 명예교수. 1974년 일본 오사카예술대학 하기대학을 수료하고 1974년 홍익대학교 공예학부 도안과 및 대학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했다. 2006년부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고문, 사단법인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상임고문, 사단법인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상임고문을 역임하고 1998–2006년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이사와 사단법인 한국광고학회 회장, 2002년 상명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1985–1988년 한국그래픽디자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
김성도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연암재단의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교수, 플브라이트 펠로 자격으로 미국 하버드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리모주대학교 석좌초빙교수, 프랑스 디종대학교 명예석좌교수,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아브르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으며, 포스코청암문화재단에서 아시아 연구 펠로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주임교수이며,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과 기호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세미오티카》 편집위원,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영상문화학회 부회장이다. 《세미오티카》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드그레》 《랑가주》 《코디카스》 등 국제 기호학, 매체학, 언어학 분야의 학술지에 다수의 … -
최규호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했다. 그래픽 디자이너,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아마추어 음악가로 활동한다.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규호초이(Guho Choi)’를 운영하며, 책 제작을 돕는 앱 페이퍼맨(Paperman)을 개발, 디자인, 운영하고 있다. -
이진렬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공 정교수이다. 전북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IBRD디자인개발연구소 수석연구원과 (주)R&C KOREA 디자인전략개발팀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한국디자인경영학회 이사·편집위원, 한국디자인학회 이사, 한국마케팅과학회 이사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마케팅학회 올해의 우수논문상(2001)을 시작으로 한국디자인경영학회 최우수 발표논문상 수상(2012), 한국연구재단 융복합분야 수평가위원상(2013) 등을 받았다. 현대자동차, 금호타이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국내 많은 기업체와 기관의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세계디자인학회, 유럽디자인학회, 아시아디자인학회, 한국디자인학회, 한국마케팅학회, 한국경영학회 등 국내외 유수의 학회 및 저널에 디자인 경영과 관련된 논문 100여 편 이상을 발표했다. -
이은호
토스의 그래픽 디자이너. 토스의 모든 비주얼 영역을 기획하고 제작한다. 이모지 폰트인 「토스페이스」를 기준으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확산하여 토스 그래픽의 시각적 일관성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