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저널리스트, 영화 제작자 및 책 제작자다. 런던에서 인물 사진작가로 경력을 시작해 영국과 미국의 다양한 잡지에 과학, 항공우주, 우주론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 2012–2018년에는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를 기념하는 다양한 도서 프로젝트와 국제 전시회를 위해 큐브릭의 가족과 긴밀히 협력했다. 또한 미국항공우주국의 60주년을 기념하는 가장 유명한 임무 주요 회고전에서 나사와 협력했으며, 콰르토(Quarto)와 함께 플로리다에 있는 나사의 발사장을 위한 브로슈어를 만들었다. 유럽우주국에서 고위 인사를 위한 브로슈어와 정치 연설문을 작성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는 『문샷: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통해 본 나사 우주 탐사 50주년(Moonshots: 50 Years of NASA Space Exploration Seen Through Hasselblad Cameras)』(2017), 『우주왕복선: NASA 최초의 우주비행기 30주년 기념(The Space Shuttle: Celebrating Thirty Years of NASA’s First Space Plane)』(2011), 『거대한 도약: 아폴로 11호의 기억(One Giant Leap: Apollo 11 Remembered)』(2009), 『2001: 미래를 촬영하다(2001: Filming the Future)』(2000), 『화성의 강들(The Rivers of Mars)』(1997) 등이 있다. 모국인 영국에서 젊은이들을 위한 과학 봉사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사람들
피어스 비조니
Piers Bizony
다른 사람들
-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일하며 다양한 책을 편집했다. 현재 프리랜서 번역자로 국내 주요 미술관과 기업을 위해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책 형태에 관한 책』 『빅게임: 매일의 사물들』 『타이포그래피 첫 원칙』 『100권의 디자인 잡지』 『디자이너, 디자이너 훔쳐보기』 『그래픽 디자인 도서관』 『걸작의 공간』 등이 있다.
-
남호정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시각디자인전공으로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디자인연구소에서 일하며 수많은 기업 프로젝트를 기획·제작하고 한국대학출판부협회장,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이사, 광주전남디자인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부교수로 있으면서 문화전문대학원 겸임교수를 겸직한다. 지은 책으로 『디자인 디자이너』를 비롯해 공저서 『디자人참!교육』『디자인상상 스물하나』 『기초 디자인』 등이 있다. -
정시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과 명예교수. 1976년부터 30여 년간 그래픽 디자인 창작실기, 디자인론, 색채계획, 전통색채론 등을 가르치며 교육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에 추천작가·초대작가로 선정됐으며,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한국시각디자인협회 국제부회장을 지냈으며, 88서울올림픽위원회 중 디자인전문위원회의 주요 일원으로 활동했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제1차 시안」에 연구위원으로 참여했고, 서울시립미술관 개관전 〈한민족의 빛과 색〉에는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국제디자인협의회(ICoD, 전 세계그래픽디자인협의회), 국제색채심포지엄, 바우하우스 답사 연구 등 다양한 국제 활동을 통해 세계 그래픽 디자인의 동향을 한국 디자인계에 반영하는 데 일조했다. 지은 책으로 『현대 디자인 연구』 『한국의 현대 디자인』 『산업 디자인 150년』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디자인론』 『포스터 디자인사』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덴마크 디자인의 에센스」 … -
김진우
충주에 위치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2004년부터 ‘실내 디자인 스튜디오’와 ‘가구 디자인’ 교과목으로 학생들과 만났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가구 디자인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과 작품을 발표했다. 지금껏 쌓아온 전문지식이 이 시대의 삶과 연결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던 중 논문이 아닌 대중에게 읽히는 글에 도전하게 되었다. 2015년 4월부터 지금까지 충주지역 «교차로»에 격주로 연재하는 칼럼으로 재능 기부하고 있으며, 격월간 교육 잡지 «민들레», 대한항공 기내지 «비욘드», 일간지 «한겨레»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하며 대중과 만나는 글쓰기의 근육을 키웠다. 건강하고 즐겁게 글을 쓰고 싶고, 그 글을 통해 타인과 엮이길 희망한다. -
다카오카 마사오
1957년 도쿄 출생으로 유한회사 가즈이공방 대표이사다. 고쿠가쿠인대학교 법률학과 졸업 후 아버지 다카오카 주조가 경영하는 가즈이공방(嘉瑞工房)에 입사해 1995년부터 현직에 있다. 아버지로부터 라틴알파벳 조판과 타이포그래피를 배웠다. 1999–2001년 인쇄박물관, 인쇄공방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라틴알파벳 조판, 타이포그래피, 기업 전용 서체에 관한 강의와 강연을 펼쳐왔다. 영국 왕립예술협회 회원(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Arts), 모노타입사 어드바이저, 2009년도 신주쿠 모노쓰쿠리 마이스터 ‘기술 명인’ 인정 도쿄도 신주쿠구 등으로도 활동했다. 활자 서체 부분을 담당한 공저 『인쇄박물관(印刷博物誌)』(2001), 공저 및 감수 『‘인쇄잡지’와 그 시대(「印刷雑誌」とその時代)』(2008), 그리고 『세계의 아름다운 유럽문 활자 견본장(世界の美しい欧文活字見本帳)』(2012) 등의 책을 썼다. -
이규복
원광대학교에서 서예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2년 캘리그라피 전문회사 캘리디자인을 설립한 뒤 현재 대표로 재직 중이며,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17, 18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광화문광장개장식 슬로건 타이틀, 인천대교 개통식 슬로건 타이틀, 건군 60주년 국군의 날 포스터 및 슬로건 타이틀, 현대중공업 한자 CI, 현대미포조선 한자 CI 등 국내의 중요 대형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했다. 최근에는 불모지 상태인 캘리그라피 이론에 대한 정립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실전 캘리그라피 1, 2』 『캘리그라피』 『한국의 명비를 찾아서』 『개설한국서예사1』『서예의 이해』(공저)가 있다. 주요 작품 활동 – 2006 월드컵 포스터 캘리그라피 – 17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캘리그라피 – 17대 대통령선거 포스터 타이틀 캘리그라피 및 일러스트 – 18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캘리그라피, – 건군 60주년 국군의 … -
한재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문자추상’ 작업을 계기로 한글의 또 다른 가능성과 현실의 문제를 알게 되었고, 점차 사회적 관점의 연구와 활동으로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1988–1995년에는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인 공병우 박사에게 한글 디자인의 기본을 배웠고, 1989년 이후 〈공한〉 〈한〉 등의 활자꼴을 개발해 실용화했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수로 재직한다. -
구마 겐고
1954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도쿄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했고, 미국 컬럼비아대학 건축도시계획학과에서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구마겐고건축도시설계사무소 대표이며 도쿄대학 특별 교수, 명예 교수이다. 주요 작품으로 기로잔 전망대, 워터/글래스, 숲의 무대/도요마마치 전통예능전승관, 바토히로시게미술관, 그레이트뱀부월, 나가사키현미술관, 산토리미술관, 중국미술학원 민예박물관, V&A 던디, 2020년 도쿄올림픽 국립경기장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점·선·면』 『의성어 의태어 건축』 『작은 건축』 『나, 건축가 구마 겐고』 『연결하는 건축』 『자연스러운 건축』 『약한 건축』 등이 있다. -
야마자키 료
studio-L 대표, 교토조형예술대학 교수. 1973년 일본 아이치 현 출생. 지역의 과제를 그 지역 주민들이 해결할 수 있게 돕는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고 있다. 마을 만들기 워크숍, 주민 참여형 종합 계획 수립, 건축이나 랜드스케이프 디자인 등 많은 프로젝트를 해 왔다. ‘아마초 종합진흥계획’ ‘마루야가든즈’ ‘지진 재해+design’으로 굿 디자인상, ‘어린이의 행복을 형태로 만들다’로 키즈 디자인상, ‘호즈프로공방’으로 SD 리뷰, ‘이에시마 프로젝트’로 올 라이트! 일본대상 심사위원 회장상을 수상했다. 저서 및 공저서로 『도시환경 디자인 작업(コミュニティデザインの仕事)』 『마조히스틱 랜드스케이프(マゾヒスティック・ランドスケープ)』 『디자인은 지진 재해 앞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震災のためにデザインは何が可能か)』 『텍스트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역사(テキストランドスケープデザインの歴史)』 등이 있다. -
길다 윌리엄스
1994–2005년까지 파이돈프레스(Phaidon Press)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현재 《아트포럼(Artforum)》의 런던 특파원이며 런던골드스미스대학교(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와 소더비인스티튜트오브아트(Sotheby’s Institute of Art)에서 강의를 맡고 있다. 《플래시아트 인터내셔널(Flash Art International)》의 편집장을 지냈으며, 《테이트 Etc.(Tate Etc.)》 《파케트(Parkett)》《아트 먼슬리(Art Monthly)》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 《타임아웃(Timeout)》 등 여러 매체에 기고했다. 화이트채플아트갤러리(Whitechapel Art Gallery),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Stedelijk Museum Amsterdam) 등의 전시회 카탈로그 제작에도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상한 날들(Strange Days: British … -
조자용
황해도 황주 출생으로 18세에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로 잠시 근무했다. 해방 후 월남해 미군의 하우스보이를 거쳐 22세에 미국으로 유학, 웨슬리언전문대학과 벤더빌트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 대학원에서 구조공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54년 귀국해 건축 사업을 진행하면서 도깨비기와와 민화를 본격적으로 수집했다. 건축가로서 그는 대구 경북대 본관, 계명대 본관, 동산병원, 세종대학 박물관을 등을 지었으며 한옥양식으로 지은 하비브하우스는 건물은 전 세계에 미국대사관저 중 주재국 양식으로 지은 유일한 건물이며, 아름다운 건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저술서로는 『한국 민화의 멋』 『한호의 예술』 『한일의 미술』, 영어판 『Humour of the Korean Tiger』 『Spirit of the Korean Tiger』, 일어판 『李朝の美』 『李朝民畵の心』 등이 있다. -
사이먼 가필드
자유로운 글쓰기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인문학자이자 논픽션 작가다. 1960년 런던에서 태어나 영국 〈라디오타임스〉와 〈BBC 라디오 다큐멘터리〉에서 작가로 활동했으며, 《인디펜던트》 《옵저버》 등에 글을 기고하며 저널리스트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당신이 찾는 서체가 없네요』와 『지도 위의 인문학』을 비롯해 『레슬링』 『모브』 『숨은 삶』 『전쟁터에서』 『사적인 투쟁』 『잘못된 세계』 『미니』 『거의 모든 시간의 역사』 등 열일곱 권의 논픽션을 써내 영국에서 대중적 사랑을 받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그 명성을 높였다. 영국의 에이즈에 대한 연구인 『순수의 종말』로 서머싯몸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