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저널리스트, 영화 제작자 및 책 제작자다. 런던에서 인물 사진작가로 경력을 시작해 영국과 미국의 다양한 잡지에 과학, 항공우주, 우주론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 2012–2018년에는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를 기념하는 다양한 도서 프로젝트와 국제 전시회를 위해 큐브릭의 가족과 긴밀히 협력했다. 또한 미국항공우주국의 60주년을 기념하는 가장 유명한 임무 주요 회고전에서 나사와 협력했으며, 콰르토(Quarto)와 함께 플로리다에 있는 나사의 발사장을 위한 브로슈어를 만들었다. 유럽우주국에서 고위 인사를 위한 브로슈어와 정치 연설문을 작성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는 『문샷: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통해 본 나사 우주 탐사 50주년(Moonshots: 50 Years of NASA Space Exploration Seen Through Hasselblad Cameras)』(2017), 『우주왕복선: NASA 최초의 우주비행기 30주년 기념(The Space Shuttle: Celebrating Thirty Years of NASA’s First Space Plane)』(2011), 『거대한 도약: 아폴로 11호의 기억(One Giant Leap: Apollo 11 Remembered)』(2009), 『2001: 미래를 촬영하다(2001: Filming the Future)』(2000), 『화성의 강들(The Rivers of Mars)』(1997) 등이 있다. 모국인 영국에서 젊은이들을 위한 과학 봉사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사람들
피어스 비조니
Piers Bizony
다른 사람들
-
디자인파크의 대표이자 대한민국 디자인전 초대작가이며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의 우표심의위원이다. 중앙대 예술대학과 건국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대기업의 디자인실에서 아트디렉터로 일하던 중, 1988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작업을 시작으로 ‘디자인파크’라는 사무실을 내걸고, 400건이 넘는 기업 디자인 작업을 해왔다. 지갑 속 카드부터 청와대 상징물까지, 디자인한 이미지가 한국인과 더불어 산다. 기업이미지통합(CI)과 브랜드 아이덴티티(BI) 분야에서 첫 손 꼽히는 전문가다. 호랑이해인 2010년, 디자이너 데뷔 40주년을 맞았다.
-
황준필
그래픽 디자이너. 홍익대학교에서 석사 논문을 쓰며 다석을 만나 다석의 한글 씀이 한글을 이용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바탕을 넓히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우리가 오래 써왔던 우리말에 깊은 철학적 성찰이 담겨 있으며, 세종이 이를 기호화해 한글을 지었고, 다석은 한글의 기호적 의미를 다시 시각화했음을 깨달았다. 현재 스튜디오 ‘디자인하다’에서 한글을 사용해 멋짓는 디자인을 한다. 한양대, 가천대, 한세대에서 타이포그래피와 편집 디자인을 강의했으며, IF 디자인 어워드 등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회원이다. -
최동신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및 홍익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전 교수로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장을 역임했다. 36아시안게임 문화포스터 제작, 88 서울올림픽대회 사인·환경 디자인 등에서 활동했다. 참여한 책으로 『고등학교 디자인 실제』 『디자인실습』 『그래픽디자인』 『시각디자인 일반』 『시각디자인실습』 등이 있다.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취약계층을 아울러 국민 모두가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역 주민이 함께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낸 ‘문화디자인 프로젝트’, 학생들이 종일 시간을 보내는 학교를 더 밝고 생기 있는 문화공간으로 만든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 -
찰스 왈쉬레거
그래픽 디자이너.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명예교수. -
안도 다다오
1941년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권투 선수로 활약하다 건축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세계를 여행하며 수많은 건축물을 눈에 담았고 독학으로 건축을 공부했다. 28세에 안도 다다오 건축 연구소를 설립했다. 대표작으로 ‘빛의 교회’, ‘퓰리처 미술관’, ‘지추 미술관’ 등이 있다. ‘스미 요시 연립주택’으로 일본건축학회상,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다. 단순하고 아름다운 콘크리트의 선, 빛과 그늘이 자아내는 풍부한 표정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자연과 공생하는 건축을 다수 설계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쓰레기 매립지를 숲으로 만드는 ‘바다의 숲 프로젝트’나 오사카 나무 심기 ‘벚꽃길’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했다. -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해 동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공부했고,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42년 동안 서울시립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의 공동성(共同性, commonness)에 기초한 건축의장과 건축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대한건축학회 부회장, 한국건축학교육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공동건축학교 교장으로 있다. 한국건축가협회상(1997, 2008), 가톨릭미술상 본상(2005), 대한건축학회상(2002), 서울대학교 훌륭한 공대 교수상(2012), 대한민국 생태환경건축대상(2013)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주택: 토지에 새겨진 주거』(1991),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2014), 『건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건축형태의 원리』(1989), 『루이스 칸: 학생과의 대화』(2001), 『건축의장강의』(2008) 등이 있다. -
박지민
국사학과를 졸업했고, 베이징에서 유학 생활 3년을 포함해 중국에서 7년, 미국에서 1년을 살았다. 중국어 번역만큼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며 여행하고 사람들 만나고 글 쓰는 일을 좋아하고, 운 좋게도 좋아하는 일을 계속하며 살고 있다. 『그 산, 그 사람, 그 개』 『중국, 엄청나게 가깝지만 놀랄 만큼 낯선』 『풍경』 『그림으로 심리읽기』 등 50여 권을 번역했고, 『중국 서남부』 『중국의 자연문화유산』 등을 썼다. -
요리후지 분페이
북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아트디렉터, 저술가. 재치 넘치는 작업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무사시노미술대학 시각전달디자인학과를 중퇴하고, 광고회사 하쿠호도에서 일했다. 1988년 요리후지디자인사무실을 열고, 2000년 유한회사 분페이긴자를 설립했다. 2008년 『생활잡담수첩』, 『디자인하지 않는 디자이너』로 제29회 고단샤 출판문화상 북디자인부문을 수상했다. 카피라이터 오카모토 긴야岡本欣也와 함께 제작한 일본담배산업의 포스터와 신문광고로 도쿄ADC상과 일본타이포그래피연감대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죽음 카탈로그』, 『원소생활』 등이 있으며, 국내에 소개된 책으로는 『지진』, 『숫자의 척도』, 『쾌변천국』, 『낙서마스터』 등이 있다. -
김은혜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다 원서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일본어 번역의 매력에 빠져 번역 세계에 들어오게 되었다. 글밥 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1등은 당신처럼 팔지 않는다』 『신경 청소 혁명』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역사 1, 2』 『뱃살이 쏙 빠지는 식사법』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나의 첫 불렛저널』 『모세혈관, 건강의 핵심 젊음의 비결』 『로봇 시대에 불시착한 문과형 인간』 『천연약』 등이 있다. -
양성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수학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사랑을 배우다』 『도시를 읽다』 『처세』 『노자에게 유연함을 배우다』 『내 편이 아니라도 적을 만들지 마라 』 『결정적 순간에 써먹는 선택의 기술』 『채근담 上, 下』 『맹자 경영학』 『와신상담 1부, 5부』 『칭짱철도 여행』 『대국굴기』 『역사를 뒤흔든 대이동 7가지』 『역사를 결정한 대정복 8장면 』 등이 있다. -
김민영
타이포그래피 컨설턴트.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전공을 거쳐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석사 논문에서는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근현대 섞어 짜기 샘플 연구를 기반으로 CJK-Latin 다국어 섞어 짜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했다. 일본 타입 파운더리인 모리사와와 폰트웍스를 거쳐, 현재 일본 도쿄에서 타이포그래피 스튜디오 Em Dash를 설립했다. 한/미/일 3개국 문자와 언어를 구사하며 얻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 어도비 등과 함께 폰트 개발, 타이포그래피에 기반한 UI/UX 컨설팅, 관련 서적 집필 등 다방면으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