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속의 디자인, 디자인 속의 사회
한국 디자인에서 한국 문화와 사회로의 ‘전환‘
『한국 디자인과 문화의 전환』에서 디자인 평론가 최 범의 시야는 한층 더 넓어진다. 지은이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세계 디자인 속에서 한국 디자인을 바라보고 있으나, 그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한국 문화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의견도 명확하게 제시한다. 디자인은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끼치는가? 그리고 디자이너는 어떤 방식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사회의 영향력을 받아들여 자신의 작업으로 표현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대답으로 이 책은 ‘전환’을 키워드로 삼아 최근 2-3년 사이에 쓰인 최 범의 글을 모았다. 각각 문화, 윤리·교육, 사회, 예술 및 창작과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디자인이 맞이한, 또는 맞이해야 할 ‘전환‘을 논하고 있다. 이 책은 당시 시점의 문체를 그대로 살려서 독자들까지 그때의 관점으로 상황을 다시 바라보고 생각하도록 한다. 따라서 디자이너가 아닌 이들도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해당 이슈를 다시 한 번 사유해볼 수 있다.
더욱 날카로워진 비판의 칼날
‘파워 엘리트 디자이너’에 대한 또 다른 시각
이 책의 「디자이너는 유죄다: 폴리자이너와 ‘협력’의 문제」 「디자이너, 협력, 책임 윤리」에서는 공직을 맡았던 디자이너들에 대한 비평을 다루고 있다. 이들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나 서울특별시 부시장 등 디자이너 출신으로 고위 공직자에 올라 이른바 ‘파워 엘리트 디자이너’로 주목을 받았던 사람들이다. 최 범은 이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서슴지 않는데, 그것은 그들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라기보단 그들이 그러한 위치를 차지한 목적을 향한 것이다. 이례적으로 디자이너로서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치에 올라섰지만, 이들이 디자인계와 더 나아가 사회 전체를 위해 일하지 않고 자신의 야심을 실현시키는 데 더욱 노력한 까닭이다. 사실 이와 같은 문제는 디자인계의 많은 이들이 의식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거의 언급이 되지 않았다. 최 범은 이 책에서 그런 문제를 전면으로 끌어낸다. 그리고 그 당사자들에게, 그리고 독자들에게 질문한다. 과연 디자인이 잘못된 것인가, 아니면 디자인을 그런 방식으로 이용하는 디자이너들이 잘못하고 있는 것인가.
2006년부터 계속된 최 범 디자인 평론집
한발 더 나아간 다섯 번째 책
안그라픽스는 2006년부터 최 범의 평론집을 출간하기 시작했다. 『한국 디자인과 문화의 전환』은 3년 만에 출간되는 안그라픽스의 디자인 평론집 시리즈이다. 지은이가 머리말에서도 지적하고 있지만, 평론집 시리즈의 제목에는 언제나 ‘한국 디자인‘이란 키워드가 들어간다. 최 범은 언제나 ’디자인‘이 아니라 ’한국 디자인‘을 논하려 한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디자인을 다른 곳의 디자인보다 더욱 격상시켜서 특별한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최 범은 세계, 더 정확히는 서구 디자인 속에서 한국 디자인이 서있는 위치를 정확하고 냉정하게 파악한다. 그리고 그 흐름을 통해 한국 디자인이 받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아직 한국 디자인계에서는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평론 분야에서 책임감을 갖고 꾸준히 목소리를 내고 있는 최 범. 『한국 디자인과 문화의 전환』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