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2

Buy

디지털 시대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을 묻다
전문가들이 들려주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2022년 11월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에서 개최한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T/SCHOOL 2022〉의 강연을 엮은 기록집이다. 온라인 강의 플랫폼 ‘콜로소’를 통해 스트리밍된 강연은 4,000여 명의 신청자가 몰렸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선보이는 〈T/SCHOOL 2022〉은 타이포그래피의 미래에 대한 통찰과 관점을 공유하는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강연 시리즈이다. 올해엔 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며 탄탄한 경험을 쌓아온 연사들을 초청해 디지털 시대에서 타이포그래피가 수행하는 역할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Q&A를 더해 독자가 궁금해할 법한 부분을 해소하고자 했다.

토스, 어도비, HHHA, 보스토크프레스, VAVE 스튜디오, 현대백화점, AG타이포그라피연구소, SBS디지털뉴스랩, 폰트뱅크, 원티드랩, 파슨스디자인스쿨, 포뮬러 등 신뢰성 있는 집단에서 활약 중인 인물들과 독창적인 작업을 선보이는 개인 아티스트까지, 디자인계 곳곳의 전문가들이 한데 모였다. 최근 상상을 초월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현직에서 뛰고 있는 이들이 말하는 디지털 시대는 현실과 가장 맞닿아 있는 이야기다. 이들은 디지털상에서 시도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실험의 한계를 무너뜨리고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상기시킨다. 하지만 동시에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에 대한 비평적인 태도를 유지하기도 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현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그에 앞서 우리가 사용하는 기술을 온전하게 이해함으로써 자신감을 가지고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를 다룰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편집자의 글

“의심할 바 없이 디지털은 우리 사회의 바탕을 이루는 커다란 한 축이 되었고, 우리의 일상은 디지털이 이끄는 혁신의 물결을 따라 순항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이 물결이 어디로 향하는지, 그저 물결에 몸을 맡기면 되는지, 혹은 새로운 바람을 돛대에 실어야 하는지 여전히 궁금합니다. 타이포그래피라는 다소 둔중한 배에 몸을 싣고 있다면 더더욱.”
―석재원(티스쿨특별위원회 위원장)

“디지털 기술의 혁신은 파격적인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영감이 되는 데 그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체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T/SCHOOL〉은 그런 전환의 시대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져보고자 합니다.”
―최슬기(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회장)

이 책은 6가지 파트로 나뉘어 디자인계를 다각도로 살핀다. 〈새로운 문법〉 〈결계 너머로〉 〈타이포그래피 그리고〉 〈경쾌하게 말하기〉 〈입력에서 출력까지〉 〈물러서서 바라보기〉 순서로 구성됐고, 강연 사이사이에 진행된 Q&A도 함께 실어 독자가 궁금해할 법한 점을 해소하도록 했다.

〈새로운 문법〉에서는 「토스페이스」와 같이 기존에 폰트로 규정되지 않았던 이모지가 이젠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그림문자로서 하나의 서체로 기능한다는 점과, 어도비 한글 폰트 팩의 개수가 지난 몇 년간 급증한 것을 통해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증명한다. 〈결계 너머로〉에서는 ‘다르게 보기’ 방법을 통해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웹 인터랙션의 한계를 뛰어넘고, 크리에이티브 코딩을 활용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창작한다. 〈타이포그래피 그리고〉에서는 오래전부터 존속되어 온 종이책과 건축 공간을 디지털 시대에 맞춰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그 방안을 찾아 나선다.

〈경쾌하게 말하기〉에는 서체 「해피니스 산스」, 그리고 〈스브스뉴스〉를 비롯한 SBS디지털뉴스랩 콘텐츠들의 자세한 제작 과정과 그간 고민했던 지점들이 고스란히 담겼다. 〈입력에서 출력까지〉는 스크린 위에 타이포그래피가 출력되기까지의 원리, 즉 실질적인 개발 작업의 단계를 명쾌하게 설명하며, 서체 「프리텐다드」의 자세한 제작 과정과 배경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물러서서 바라보기〉에서는 디자인을 하는 본질적인 까닭과 디자이너가 파생하는 사회적 효과, 그리고 디자이너라면 가져야 할 고유한 관점을 이야기하며 디자인 도구에 대한 오롯한 이해를 강조한다.

일상 속 타이포그래피를 가능케 한 사람들,
타이포그래피 논의의 초석을 마련하다

이렇게 올해 〈T/SCHOOL〉은 디자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장을 균형 있게 고루 포착해 담았다. 현재 거의 모든 사람은 하루도 빠짐없이 스크린 위의 다채로운 타이포그래피를 목격한다. 그만큼 타이포그래피는 우리의 일상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타이포그래피를 실존케 하는 전문가들의 진중한 이야기는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시대에서 이 책에 등장한 12가지 관점 역시 끊임없이 심화할 테지만, 그 전에 앞서 오늘날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논의의 초석을 마련한다. 끝으로 최슬기 타이포그라피학회장의 말을 덧붙인다. “생생한 강연 현장을 기록한 이 책이 새로운 발견과 실험으로 이어질 독자의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책 속에서

SNS에서 이모지는 1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60억 건 이상 쓰인다고 해요. 이제는 이모지가 단순히 언어를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 글자 그 자체로 인식되는 세상에 접어든 것이죠.

「금융 플랫폼 토스의 이모지 폰트 제작기」, 23쪽

한국 타이포그래피는 정말 독특하고 고유한 예술 형태입니다. 한국의 타이포그래퍼들은 유럽에서 공부하며 새로운 영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한글 활자의 유연성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저희는 이것을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 수 있다는 의미로 생각합니다. 다른 간격 규칙, 대안적인 글리프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들, 그리고 다른 레이아웃을 탐구하고자 합니다.

「다국 사용자들의 타이포그래피 경험 향상을 위한 시도」, 64쪽

그래픽 디자인 툴이나 소프트웨어가 아닌 코딩으로 만든 분야를 크리에이티브 코딩 혹은 제너러티브 아트라고 지칭하기도 하는데요, 글자의 패스를 따라 그림을 그리는 함수를 이용한 스케치, 글자 이미지를 활용해서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구성하고 실시간 키보드 입력에 따라 바뀌는 스케치, WebGL에서 글자를 마치 액체처럼 움직이는 스케치, 3D 공간에서 텍스트를 변형하고 움직이는 스케치 들을 순서대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코딩으로 움직이는 글자들: 2D&3D 라이브 코딩」, 72쪽

직접 만질 수 없고 누가 소비하는지도 알 수 없으며 우리의 모임 또한 가상현실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작업은 현실에 없는 무언가이기도 하면서 때로는 현실 그 자체가 되기도 합니다. 다만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시도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너무나 친숙한 ‘x’ 버튼을 누르면 창이 닫힌다고 생각했지만 그렇지 않은 것처럼요. 웹이라는 공간은 예술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무한히 표현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HHHA, World! 타이포그래피, 인터랙션 웹으로 확장하기」, 118쪽

종이책을 마음 편히 사랑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으로 그 인간적인 매력을 되뇌기보다 훨씬 실무적인 시도들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과 지면을 오가며 다양한 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사진의 리듬과 타이포그래피의 실천이 절실합니다. 저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스크린과 지면이 뒤엉키며 구분할 수 없게 된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이 지닌 가능성을 여전히 믿고 있습니다.

「사진과 글자를 함께 얹는다는 것: 스크린 앞에서 사진책을 더듬기」, 155쪽

이야기와 정보를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의 매개체로서 지면과 화면을 인식한다면, 건축 공간 그 자체도 매개체의 성립 조건을 충족한다고 말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이 지점에서 건축 공간이 다른 매체와는 공유하지 않는 성질을 발견하게 됩니다. 건축 인터페이스로서 건축 공간을 매개체로 인식하기 시작했을 때 디지털 타이포그래피가 도구로서 어떤 잠재성을 가지게 될지 상상해 봅시다.

「건축 공간에서 디지털 타이포그래피가 품은 잠재적 속성」, 160쪽

디지털 시대에 이르러 고객이 브랜드와 만나게 된 첫 창구가 디지털 매체인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런 디지털 플랫폼에서 서체는 브랜드의 전체적인 인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브랜드 경험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능합니다.

「현대백화점의 새로운 브랜드 글꼴, 해피니스 산스」, 189쪽

뉴미디어 콘텐츠의 대표적인 특징은 텍스트 의존도가 높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타이포그래피에 신경을 많이 쓸 수밖에 없고, 텍스트를 어디에 어떤 길이로 배치하고 또 얼마나 보여줘야 하는지가 굉장히 중요해집니다.

「뉴미디어 콘텐츠와 디자인」, 223쪽

웹에서 폰트가 사용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고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효과가 필요한 메뉴, 로고, 아이콘 등은 이미지와 SVG를 사용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대신 일반적인 텍스트는 웹폰트를 이용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리합니다. 웹폰트는 다른 무엇보다도 빠른 로딩이 중요합니다. 빠르고 원활한 웹폰트 로딩을 위해 적절한 웹 기술 및 폰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 폰트는 동적 서브세팅 기법 사용을 추천해 드립니다.

「웹에서 글자가 소비되는 방식」, 279쪽

저는 다양한 문자가 표시될 가능성이 높은 플랫폼 환경에서 문자 크기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문제들의 다양한 변수를 줄이고, 플랫폼 환경을 디자인하는 사람이 좀 더 예측할 수 있는 문자 크기로 보이도록 「본고딕」과 「인터」에서 문자 크기를 기존보다 3퍼센트 작게 맞추었습니다.

「다양한 환경을 위한 좌충우돌 오픈소스 폰트 개발기」, 300쪽

이런 시각으로 제 질문을 고쳐 써보자면, ‘똑같이 어도비를 쓰고 지메일과 줌으로 일하고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하고 아이폰으로 넷플릭스를 보는 나는 왜, 어쩌다 이 모든 것을 이렇게 하고 있는지, 내 주변의 다른 디자이너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이 디자인 공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지’ 의문을 품은 것입니다. 이것을 이런 모양으로 가능케 한 것들, 그러니까 디자인 산업이라는 거대한 공장을 작동시키는 인프라스트럭처에 관심이 있어요. 내 눈앞에 보이는 것을 ‘살짝’ 넘어선 것들 말이에요.

「디자인 도구 탐험」, 322쪽

저는 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사물을 바라보는 태도가 중요해지리라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기술을 다룰 줄만 알아도 그 자체로 사회적 가치가 있었지만, 이제 어떤 도구나 기술을 사용할 줄 안다고 해서 경쟁력이 있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툴의 사용법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고, 대신 그 기술을 왜 사용하고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관점이 중요해졌다고 생각해요.

「타이포그래피와 관점」, 375쪽

차례

여는 글

PART 1 새로운 문법
금융 플랫폼 토스의 이모지 폰트 제작기 | 이은호, 고현선(토스)―Q&A
다국 사용자들의 타이포그래피 경험 향상을 위한 시도 | 심준, 니콜 미노자, 냇 매컬리(어도비)―Q&A

PART 2 결계 너머로
코딩으로 움직이는 글자들: 2D&3D 라이브 코딩 | 박소선(개발자 그리고 아티스트)―Q&A
HHHA, World! 타이포그래피, 인터랙션 웹으로 확장하기 | 고윤서(HHHA)―Q&A

PART 3 타이포그래피 그리고
사진과 글자를 함께 얹는다는 것: 스크린 앞에서 사진책을 더듬기 | 김현호(보스토크프레스)―Q&A
건축 공간에서 디지털 타이포그래피가 품은 잠재적 속성 | 이환(VAVE 스튜디오)―Q&A

PART 4 경쾌하게 말하기
현대백화점의 새로운 브랜드 글꼴, 해피니스 산스 | 이현송(현대백화점), 구모아(AG타이포그라피연구소)―Q&A
뉴미디어 콘텐츠와 디자인 | 김태화(SBS디지털뉴스랩)―Q&A

PART 5 입력에서 출력까지
웹에서 글자가 소비되는 방식 | 김대권(폰트뱅크)―Q&A
다양한 환경을 위한 좌충우돌 오픈소스 폰트 개발기 | 길형진(원티드랩)―Q&A

PART 6 물러서서 바라보기
디자인 도구 탐험 | 강이룬(파슨스디자인스쿨)―Q&A
타이포그래피와 관점 | 채희준(포뮬러)―Q&A

닫는 글
찾아보기
크레딧

Ko Hyun-seon

Graphic designer at Toss. Plans and creates all visual aspects of Toss. She focuses on the visual consistency of Toss graphics by establishing and spreading a visual identity based on the emoji font “Toss Face”.

Lee Eun-ho

Lee Eun-ho is a graphic designer at Toss. He plans and creates all visual areas of TOSS. He focuses on the visual consistency of TOSS graphics by establishing and spreading the visual identity based on the emoji font ‘TOSSPACE’.

Jun Shim

Jun Shim is the International Product Manager for Adobe Creative Cloud products. Driven to create intuitive and productive products for global users, she has delivered market-leading products for over 20 years, with a focus on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CJK) market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Korea.

니콜 미노자

어도비 타입앤폰트 그룹의 제품팀을 이끈다. 약 20년 동안 어도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크리에이티브 제품 사용자들을 위해 일해왔다.

냇 매컬리

어도비 타입앤폰트 그룹에서 텍스트 레이아웃 엔지니어링팀을 이끌며 어도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애프터 이펙트 등 여러 제품에 내장된 텍스트 엔진을 담당한다. 특히 CJK 레이아웃 기능을 전문적으로 다룬다. JLReq 태스크 포스의 한 파트인 W3C 국제화 그룹과 유니코드® CJK & 유니한 그룹에서 각각 어도비를 대표한다.

박소선

미디어, 연극, 프로그래밍 개발 경력을 기반으로 기술을 재료 혹은 영감으로 삼아 창작 활동을 한다. 개발자 그리고 아티스트로 활동하면서 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는 작업 콘텐츠를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한다. 나아가 기술과 웹이 매체로서 가지는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관객이 체험하고 반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업을 구상하고 만든다.

Go Yun-seo

She explores how text, graphics, and people interact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After working as a designer and developer at graphic design studio Everyday Practice, She recently went independent to run his own creative design studio, YYY. Continues to experiment with digital interaction in the graphic web experimentation group HHHA.

김현호

《보스토크 매거진》의 편집 동인이자 프레스의 대표. 다양한 출판물을 만들어온 편집자이며 PLATFORM-P의 센터장이기도 하다. 디자인 저널 《양귀비》의 책임 편집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편집장, 사진이론학교와 격월간 《말과활》의 기획 위원 등으로 일했으며 아트인컬처 뉴비전 미술평론상을 받았다.

Lee Hwan

Collaborates with colleagues from diverse technocultural backgrounds to design product and service experiences within architectural spaces. With prior experience at Ahn Graphics and Atelier Brückner in Stuttgart, she is currently working at VAVE Studio in Frankfurt. S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t Hongik University and completed a graduate degree in Interior Architecture at the same institution.

Lee Hyun-song

A designer in the Brand Strategy Team at Hyundai Department Store, actively involved in infusing vitality into the br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brand positioning and campaigns across multiple media platforms. S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 brand’s direction to customers through design, exemplified by projects like the opening of The Hyundai Seoul.

Ku Mo-a

After graduating from Konkuk University, she worked at Sandol Communication, a Korean type foundry, for five years, and as a researcher and team leader at AG Typography Research Center, she worked on several typeface projects, including “Sandoll LateSpring,” the Maru project “Maru Buri,” and the 87MM brand’s exclusive font “87MM ILSANG.” She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and projects on screens and fonts since “AG Choijeongho Screen” and has been working on typeface design based on calligraphy.

김태화

영상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뒤 SBS디지털뉴스랩 작전콘텐츠팀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며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등 다양한 브랜드 및 콘텐츠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친환경 커머스 브랜드 175플래닛의 디자인도 겸하고 있다.

Kim Dae-kwon

He started his career as a font engineer with the first project, “Malgun Gothic”, the first Korean hinting font for UI. He developed various plugins for font editors and gave many technical lectures. He enjoys various collaborations and conversations with font designers. He is currently in charge of mobile font download service at Font Bank and operates Line Gap.

Kil Hyung-jin

He is passionate about design and making complex concepts more accessible. He is currently working on design systems at Wanted Lab to improve the speed and quality of digital product creation.

Kang E-Roon

He runs the design studio Math Practice in New York City and recently co-founded 908A, which researches and develops design tools for culture and the arts. He studied graphic design at Yale University and was a Special Research Fellow at MIT’s Sensible Cities Lab in the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He has taught at the Bauhaus Weimar University in Germany, New York University ITP, and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Parsons School of Design.

Chae Hee-joon

Specialized in Korean typography a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Focused on font production, he is an active member of the design studio FORMULA. He has released typefaces such as 「Cheongwol」, 「Cheongjo」, 「Choseol」, 「Goyo」, 「Shinsegae」, 「Tal」, 「Classic」, 「Giha」, and 「Omin」. Passionate about creating typefaces, he enjoys the process of detecting and studying subtle differences in letterforms.

김현경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일하며 다양한 책을 편집했다. 현재 프리랜서 번역자로 국내 주요 미술관과 기업을 위해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책 형태에 관한 책』 『빅게임: 매일의 사물들』 『타이포그래피 첫 원칙』 『100권의 디자인 잡지』 『디자이너, 디자이너 훔쳐보기』 『그래픽 디자인 도서관』 『걸작의 공간』 등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