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기초조형 Communicating

Buy

기초가 아닌 기초조형

기대와 불안이 섞인 시각으로 맞이했던 21세기도 어느덧 10년 가까이 지나간다.
이 시점에서 ‘기초’라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본다.

과연 ‘기초’는 무엇일까? 이것을 ‘기본(base)’이며 ‘근본(root)’이라 정의한다. 즉 가장 중요한 요소와 방법 그리고 사고(생각)로 보는 것이다. 기초조형의 의미 해석은 다양할 수 있겠으나 이 연구에서는 ‘기본이며 근본이 되는 조형 연습’으로 해석하여 수행한다. 조형 행위의 과정을 고찰해 볼 때 시작은 조형 수행자의 ‘사고’에서 출발하며, 수행자가 조형에 관한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조형적 사고라는 명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것은 기교와 표현 기법에 우선한다.

‘기초조형’이라는 의미는 조형 과정의 입문 단계에 소용되는 개념을 뜻하지 않는다. ‘가장 기본이 되는 사고’는 조형을 다루는 사람 모두가 고민하고 만들어 가야 하는 필수요소이다. 디자인은 표면적인 효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깊이 있는, 그리고 의미 있는 철학이 담겨져야 한다. 디자인에서 필요한 것은 ‘깊이 있는 철학’과 ‘사색적 사고방식’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것을 디자이너들의 ‘기초적인 사상’이라고 말하고 싶다.

편집자의 글

기초조형 탐구의 3단계, 생각하고 만들어 소통하기
Thinking - Producing - Communicating

기초조형은 조형예술 전반의 본질이며 원리이다. 형상과 추상, 구성과 운동 등 조형 표현을 위한 가장 기본적 필수요소이다. 조형예술은 기술과 문화의 발전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콘셉트와 아이디어의 구체화를 위한 다양한 조형 실험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 조형예술의 과정은 아이디어의 발상, 형상과 기능의 구체화, 구현된 조형물의 평가와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진다.

『기초조형 Communicating』은 기초조형 ‘형상+사유’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내용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되는 것인데, 여기에서 내용은 주로 ‘메시지’를 뜻하며 ‘아이디어’나 ‘의미’라고도 한다. 커뮤니케이션이 이렇게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나 공간으로 메시지를 ‘전달’ 또는 ‘운반’하는 것이라면, 디자인은 이것을 전달하는 ‘매개체’ 또는 ‘방식’이다. 『기초조형 Thinking』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기초조형 Producing』에서 소재와 재료를 이해하고 조형을 구체화했다면, 『기초조형 Communicating』에서는 조형언어의 소통 과정을 훈련한다. 의사소통 매개체로서의 조형이 사람 혹은 환경과 맺는 관계 속에서 소통하는 작동 원리에 접근하게 된다.

이 책은 시각디자인, 제품디자인, 미디어아트, 공간디자인, 환경디자인 등 조형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작품의 사례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공간디자인과 옥외 공공디자인의 표현 방법, 제품디자인의 소통 원리, 신기술 테크놀로지와 뉴미디어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초조형과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탐구한다.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접근하는 조형언어의 소통 과정과 원리를 익힐 수 있다. 대상을 보고 느끼는 인지 능력과 그림을 그리고 형상을 만드는 표현 능력을 강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각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디자인 교육에 필요한 책이다.

이 책의 구성

1장 커뮤니케이션과 기초조형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과정, 기능, 유형, 형태 등 종합적 개념을 알아보고,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지각하는 과정을 익힐 수 있게 그 원리와 과제를 함께 제시했다. 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원리, 정보 디자인에서의 시각화를 분석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과정과 디자이너가 고려할 점을 점검했다.

2장 시각 이미지 읽기: 감각과 이성의 조화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시각 이미지를 바르게 읽고 해석하는 지식이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의 시각 이미지에 내재된 의미를 해독하고 이를 개인적 언어로 변화시킴으로써 내면의 실체를 외적 표면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3장 미디어아트와 소통
미디어아트와 전통적 시각 예술은 사용하는 매체와 표현 방법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조형 요소를 분류할 때에는 시간의 개념이 첨가되고 상호작용이 작품의 주요 요소가 되므로 새로운 시각으로 조형의 특성을 찾아야 한다. 미디어아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존 예술과 미디어 작품 또는 여러 미디어 작품을 비교했다. 디지털 미디어 매체의 특성을 상호작용성, 멀티미디어성, 변용성, 가상성으로 나누고 더불어 미디어아트에서의 공간과 시간의 개념에 대해 고찰했다.

4장 공간조형의 메시지
조형의 기본적 구조와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공간을 읽는 법과 정의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작가의 창작 의도에 따라 공간조형에서의 기본적 구조에 조형 메시지를 더하는 사례를 제시하여 조형의 송신자들이 전달하는 내용과 방법을 살펴본다. 그리고 도시 환경의 공간조형에서 공공 정보로서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5장 도시 환경과 공간 커뮤니케이션
도시 환경에서 공간 커뮤니케이션은 삶과 밀접한 공간 환경을 구성하는 공공 환경 시설물에서 건축물의 형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현대 도시 환경에서 공공 공간의 대표적 형태인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 점차 핵심적 표현 요소로 떠오르는 디지털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6장 제품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
제품 디자인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기호에 대해 알아보고, 제품 디자인의 접근 방법을 논리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한 그 사례를 사용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은 제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가 의도한 바를 해석해 그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탐구했다. 그리고 제품의 조형성과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실습하는 과정을 담아 함께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보았다.

추천사

『기초조형 Communicating』은 디자이너와 사용자 간의 소통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모든 조형물, 특히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소통의 개념이 원활해야 가치가 발생합니다. 이 책은 교육 현장에서 오랜 기간 수업을 진행해 온 대학교수 여섯 명이 그들의 다양한 경험을 담아 앞으로 디자인을 수행할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어야 할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 책의 내용 가운데 많은 부분에서 대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디자인을 사례로 제시합니다. 따라서 대학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과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박억철 (사단법인 한국기초조형학회 회장)

차례

학회장의 글

1 커뮤니케이션과 기초조형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과정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커뮤니케이션의 기호 과정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호와 의미 전달
사인과 코드
의미와 해석
이미지의 도식화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목적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시각언어와 커뮤니케이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원리
시각 요소
시각적 상호작용
조형 원리
지각과 심리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그래프와 숫자
그래프 형식과 표상의 인식
적절한 표상, 부적절한 표상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세스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체크 리스트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

2 시각 이미지 읽기: 감각과 이성의 조화
시각과 지각의 통합
시각 이미지의 지각 요소
시각 이미지의 정보화
시각 이미지의 지각화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시각 이미지와의 대화
이미지의 즉시성
이미지의 독립성
이미지의 권력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결론

3 미디어아트와 소통
미디어 발달에 따른 예술의 변화
미디어아트에서의 조형적 요소
상호작용성
멀티미디어성
변용 가능성
미디어아트에서의 시간과 공간
미디어아트의 형태와 표현 방법
미디어아트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4 공간조형의 메시지
공간조형
공간조형의 시각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면의 발견
리듬의 관계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균형의 관계
입체 읽기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대비의 관계
공간의 정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비례의 관계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창작 의도와 표현
조형언어의 송신과 수신
조형언어와 메시지
공공 정보와 공간조형
공공 정보와 조형적 소통
길찾기를 위한 장소 정보로서의 공간조형
기초조형에 의한 조닝 디자인
기초조형에 의한 유도 표지 디자인
기초조형에 의한 랜드마크 디자인

5 도시 환경과 공간 커뮤니케이션
도시 환경과 공간 디자인 요소
공간 환경과 형태
도시 이미지와 오브제
퍼블릭 커뮤니케이션
도시 환경의 공공성과 공공 공간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의 공공성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 디자인 사례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도시 이미지와 미디어 파사드
디지털 환경과 공간 디자인
정보 전달 매체, 건축 표피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의 디자인 요소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도시, 환경, 디자인에 관하여

6 제품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
시작하는 말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기호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제품과 사용자의 소통, 인터랙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논리적 커뮤니케이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기초조형 Communicating 과제
산업 디자인 프레젠테이션의 경쟁력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문찬

서울대학교 산업미술학과에서 공업디자인을, 동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했다. 미국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ISD)에서 산업디자인 석사를 취득했으며 (주)대우전자에서 근무했다. 2005년부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에서 제품디자인을 가르쳤고, 현재는 한성대학교 IT공과대학 스마트경영공학부에서 공학도들과 창의적 설계 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Kim Mi-ja

She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 BFA in Visual Design and majored in Packaging Design at Dongguk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She majored in illustration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US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Yeongsan University, Department of Design.

Kim Sun-young

She studied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at the Department of Sculp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École Supérieure des Arts et Techniques (ESAT). She earned a master’s degree i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from the Academy of Art University (AAU) Graduate School and a doctorate in environmental design from Yonsei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Housing and Environment.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College of Visual Arts, Incheon Catholic University.

박혜경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미국 드렉셀대학교(Drexel University)에서 실내디자인 석사학위를, 경북대학교 공과대학원에서 건축계획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Lee Jee-he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and completed a master’s degree at the same institution. Earned a Master of Fine Arts in Computer Art from New York University (NYU) and a Ph.D. in Media Art from Soongsil University. Currently serves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Hanyang Women’s University.

Chung Hye-uk

Studie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the College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Earned a master’s degree in New Media Design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and a Ph.D. in Visual Communication from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t Yonsei University. Currently, she serves as a professor at the Content School of Cheonggang University of Culture and Industry.

관련 시리즈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