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이란 무엇인가?
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이면서도 어려운 이 물음에 답하고자 하라 켄야는 우선 디자인 개념의 발생으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흐름 속에서 또 다른 전망을 확인한다. 조악한 기계 생산에 대한 섬세한 미의식의 반발이 방아쇠가 되어 디자인이라는 사고방식과 감성이 사회에 나타나게 되었듯이 익숙한 일상생활 속에 무수한 디자인의 가능성이 잠들어 있다.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내는 것만이 창조성이 아니다. 생활의 틈새로부터 평범하면서도 은근히 사람을 놀라게 하는 발상을 끊임없이 끄집어내는 독창성이야말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들은 이에 대한 그 나름대로의 실험이다.
일상을 미지화한다
눈과 귀를 활짝 열고 생활 속에서 새로운 의문을 발견해 나간다는, 역사에서 확인한 디자인의 리얼리티를 찾아보려 한 기획이 ‘리디자인’ 전시회다. 화장지나 성냥처럼 극히 일상적인 물건을 명쾌한 사상을 지닌 건축가, 제품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패션 디자이너, 사진작가 등에게 의뢰해 다시 디자인했다. 이는 뛰어난 크리에이터의 손을 빌려 일상의 디자인을 개량하자는 제안이 아니다. 기존의 디자인과는 뚜렷이 다른 생각의 차이 속에서 디자인의 본질을 발견하는 작업이다. 네모난 두루마리 화장지, 나뭇가지 성냥, 트렁크스 기저귀, 마리오네트 티백 등 그 성과는 실로 다채롭다.
디자이너는 감각 혹은 이미지의 복합을 수용하는 뇌 속에 정보를 건축한다고 하라 켄야는 생각한다. 그 건축에는 다양한 감각 채널에서 들어오는 자극뿐만 아니라 그것에 의해서 깨어난 기억까지도 재료로 활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가노 올림픽’ 개회식 프로그램에는 동계 올림픽을 기억하는 미디어로서 눈과 얼음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종이를 개발해서 사용했다. ‘우메다 병원’의 천으로 만든 사인은 더러워지기 쉬운 흰색 천을 청결하게 관리하겠다는 메시지를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한다. ‘마츠야 긴자’ 리뉴얼에서는 감각을 풍부하게 자극하는 물질의 촉각을 디자인에 도입해 물체로서 존재하는 백화점 자체를 촉감으로 알 수 있는 미디어로 재구축했다. 기술 진화에 따라 이제 디지털 미디어가 정보 전달의 실질적인 도구라면, 책은 정보의 조각(彫刻)이라는 생각으로 디자인에 임한다. 디자인은 미디어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미디어의 본질을 탐색해 나가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디자인은 어디로 향하면 좋을까? 하라 켄야가 아트 디렉션을 맡고 있는 ‘무인양품’의 비전은 극도로 단순한 형태를 모색하면서도 쓸데없는 힘을 들이지 않는 디자인으로 일상에 신선함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 광고에는 메시지를 발신하기보다 무인양품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생각을 담는 그릇이라는 콘셉트로 지평선을 택했다. 그러나 지평선은 텅 빈 그릇이다.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생각을 담아낼 수는 있지만 비전 그 자체는 아니다. 그래서 저자는‘욕망의 에듀케이션’을 주장한다. 시장의 요구에 답하면서도 소비자의 미의식에 은밀히 호소하여 그곳에 학습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삼는다. 디자인의 이상적인 역할은 비주얼로 사람들의 눈을 빼앗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파고드는 듯이 침투하는 데 있다고 한다.
디자인은 지능이 아니라 사물의 본질을 찾아내는 감성과 통찰력이다. 따라서 디자이너의 의식은 사회에 대해서 항상 민감하게 각성하고 있어야 한다.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디자인을 세상의 적정한 장소에 재배치해 나갈 필요가 있다. 하라 켄야의 감성은 이러한 디자인의 현재에 하나의 토대를 제공한다.
디자인을 디자인하다
이 책은 디자인 관계자뿐 아니라 일반 대중도 읽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하라 켄야는 이 책을 쓰면서 디자인을 말이나 글로 설명하는 것이야말로 또 하나의 디자인임을 알았다고 한다. 행위로서의 디자인을 언어화하는 것도 사회와 마주하는 디자인 행위의 하나라는 생각이다. 디자인은 매우 섬세한 감각을 다루기 때문에 그 섬세함을 다른 이들에게 전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다. 이 책은 그런 디자인 언어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과 교감을 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