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개의 섹션으로 만나는
젊은 건축가의 상상, 탐구 그리고 조정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젊은건축가상’의 2020년 수상자들의 책 『젊은 건축가: 상상하고 탐구하고 조정하다』는 총 네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성장 과정의 젊은 건축가가 수상을 계기로 자신의 건축의 출발점과 지향점을 확인하고 ‘치열함’과 ‘일관성’을 다시 한번 정비하는 ‘건축가 노트’이다. 두 번째는 수상자의 건축적 지향이 잘 묻어나 있는 프로젝트를 관람하는 지면이다. 이를 통해 그 자체로 아카이브이자 지난 10여 년을 대표하는 젊은 건축가 색인집으로 작동해 온 이 책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다. 세 번째 섹션은 이전 수상자와의 경쾌하고 진솔한 대화를 통해 젊은 건축가의 고민과 관심사를 엿보는 자리이다. 한승재(푸하하하 프렌즈, 2019년 수상자), 김수영(숨비건축, 2014년 수상자), 이정훈(조호건축, 2010년 수상자) 등이 바쁜 시간을 쪼개어 각각 올해 수상자를 만났다. 지속 가능한 사무실 운영에서부터 집요하게 붙들고 가려는 건축 개념 그리고 단단한 건축가로 성장하기 위해 갖춰야 할 역량까지, 가벼운 자리의 진지한 이야기가 많은 젊은 건축가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마지막 섹션은 비평가의 리뷰가 장식한다. 수상자와 함께 주요 프로젝트를 답사하고 질의하는 시간을 가진 각각의 비평가는 세 팀이 보여주는 건축 특징을 따뜻하고도 낯선 혹은 날선 시선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현명석은 비유에스의 일상을 향한 집요한 천착이 가끔은 예술적 야심으로 발현돼 우리 일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힘이 되기를 주문한다. 장용순은 쌓이고 겹치는 시간, 삶의 리듬 안에서 만들어진 김세진의 ‘깊이’가 일관된 치열함으로 그 ‘깊이’를 더해갈 때 알바로 시자(Alvaro Siza)나 페터 줌토르(Peter Zumthor)보다도 더 멀리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응원의 말을 잊지 않았다. 임성훈은 재료 탐구와 실험에 초점이 맞춰진 정웅식 건축의 또 다른 특징을 발견해 낸다. 그가 “정웅식의 건축이 지닌 과감함은 우리 전통이 지닌 또 다른 표현이며, 우리가 지금 선택할 수 있는 균형이다.”고 말한 것은 하나의 문제 제기에 지나지 않지만, 젊은 건축가로서 아직은 건축적 사고들이 현재 진행형이며 미완성이라는 정웅식에게 이것이 명료한 지표가 되지 않으리란 법도 없다.
‘뉴노멀’의 시대 한가운데서 2020 젊은건축가상은 여전히 ‘특별한’ 건축가를 찾는다는 수상자 선정의 변은 그 무엇보다 세 팀의 장점을 가장 잘 드러낸다. “세상은 진부한 다양함과 상투적인 새로움으로 가득”하지만, “결국 우리가 진정으로 주목하게 되는 건축가는 다양한 삶에서 출발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낸 건축가들”이다. 지금, 이 세 팀의 건축가가 일관성과 치열함을 전제로 어떻게 삶과 건축을 맞닿게 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지 들여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