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젊은 건축가: 상상하고 탐구하고 조정하다

Young Architects 2020 : Imagining, Exploring and Adjusting

Buy

네 개의 섹션으로 만나는
젊은 건축가의 상상, 탐구 그리고 조정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젊은건축가상’의 2020년 수상자들의 책 『젊은 건축가: 상상하고 탐구하고 조정하다』는 총 네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성장 과정의 젊은 건축가가 수상을 계기로 자신의 건축의 출발점과 지향점을 확인하고 ‘치열함’과 ‘일관성’을 다시 한번 정비하는 ‘건축가 노트’이다. 두 번째는 수상자의 건축적 지향이 잘 묻어나 있는 프로젝트를 관람하는 지면이다. 이를 통해 그 자체로 아카이브이자 지난 10여 년을 대표하는 젊은 건축가 색인집으로 작동해 온 이 책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다. 세 번째 섹션은 이전 수상자와의 경쾌하고 진솔한 대화를 통해 젊은 건축가의 고민과 관심사를 엿보는 자리이다. 한승재(푸하하하 프렌즈, 2019년 수상자), 김수영(숨비건축, 2014년 수상자), 이정훈(조호건축, 2010년 수상자) 등이 바쁜 시간을 쪼개어 각각 올해 수상자를 만났다. 지속 가능한 사무실 운영에서부터 집요하게 붙들고 가려는 건축 개념 그리고 단단한 건축가로 성장하기 위해 갖춰야 할 역량까지, 가벼운 자리의 진지한 이야기가 많은 젊은 건축가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마지막 섹션은 비평가의 리뷰가 장식한다. 수상자와 함께 주요 프로젝트를 답사하고 질의하는 시간을 가진 각각의 비평가는 세 팀이 보여주는 건축 특징을 따뜻하고도 낯선 혹은 날선 시선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현명석은 비유에스의 일상을 향한 집요한 천착이 가끔은 예술적 야심으로 발현돼 우리 일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힘이 되기를 주문한다. 장용순은 쌓이고 겹치는 시간, 삶의 리듬 안에서 만들어진 김세진의 ‘깊이’가 일관된 치열함으로 그 ‘깊이’를 더해갈 때 알바로 시자(Alvaro Siza)나 페터 줌토르(Peter Zumthor)보다도 더 멀리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응원의 말을 잊지 않았다. 임성훈은 재료 탐구와 실험에 초점이 맞춰진 정웅식 건축의 또 다른 특징을 발견해 낸다. 그가 “정웅식의 건축이 지닌 과감함은 우리 전통이 지닌 또 다른 표현이며, 우리가 지금 선택할 수 있는 균형이다.”고 말한 것은 하나의 문제 제기에 지나지 않지만, 젊은 건축가로서 아직은 건축적 사고들이 현재 진행형이며 미완성이라는 정웅식에게 이것이 명료한 지표가 되지 않으리란 법도 없다.

‘뉴노멀’의 시대 한가운데서 2020 젊은건축가상은 여전히 ‘특별한’ 건축가를 찾는다는 수상자 선정의 변은 그 무엇보다 세 팀의 장점을 가장 잘 드러낸다. “세상은 진부한 다양함과 상투적인 새로움으로 가득”하지만, “결국 우리가 진정으로 주목하게 되는 건축가는 다양한 삶에서 출발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낸 건축가들”이다. 지금, 이 세 팀의 건축가가 일관성과 치열함을 전제로 어떻게 삶과 건축을 맞닿게 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지 들여다보자.

편집자의 글

진부한 다양함과 상투적인 새로움으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
일관된 태도로 담담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세 팀의 특별한 건축가
비유에스건축, 지요건축, 온건축
그들이 엮어내는 삶과 맞닿은 건축 이야기

이 책의 제목 ‘상상하고 탐구하고 조정하다’는 언뜻 각각의 수상자에게 일대일로 대응하는 키워드 같지만, 기실 상상과 탐구와 조정이란 행위는 모두에게 해당하는 설계 방식이기도 하다. 실체화되기 이전까지 기나긴 시간을 ‘상상’하고, 삶과 자연과 방법을 ‘탐구’하며, 건축적 경험과 서로 다른 가치와 재료의 균형점을 ‘조정’하는, 그다지 특별할 것 없고 새로울 것 없는 행위가 젊은건축가상이 발굴해낸 특별한 건축가들의 재치, 끈기, 정성과 만나 새로운 가능성의 원동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소통을 전제한 낯설게 보기와 동화적 상상력으로
건축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비유에스건축

비유에스건축은 박지현, 조성학이 설립하고 2년 전 우승진이 합류한 건축사사사무소다. 그런 만큼 치열하게 토론하고 서로를 가르치며 배움을 얻고자 한다. 영문명 B.U.S Architecture에서 엿볼 수 있듯이 가장 가까운 교통수단 중 하나인 ‘버스’처럼 소통을 통해 친근하게 다가가길 바라면서 한편으로는 ‘By Undefined Scale’이 의미하는 것처럼 규정되지 않은 다양한 건축을 낯설게 보기, 동화적 상상력 등의 여러 방법으로 구축해 보려고 한다.

시간과 삶의 리듬이 만드는 건축의 깊이로
공감의 건축을 꿈꾸는 지요건축

장소와 삶에 대한 맥락을 살피고 구축 방법을 모색하며 적절한 물성의 재료를 선별하는 것이 고민이라는 김세진은 유연한 태도와 특유의 치열함으로 이 같은 보편의 영역을 담백하고 절제된 어휘의 건축으로 특별하게 끌어올린다. 궁극에는 자신의 건축이 고요함과 담담함의 세계 내에서 스스로 깊어지고 넓어져 다수가 공감하기를 바라고 있다.

삶과 공간의 질서를 아우르는 장인의 힘으로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하려는 온건축

온건축의 정웅식은 사람의 손으로 직접 만드는 영역을 의미 있게 계획해 가치 있는 결과물을 창조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관찰과 실험으로 다양한 건축 개념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들이 행복해지길 희망한다. 한편으로는 울산의 건축가로서 울산뿐 아니라 지방 도시의 건축 문화 인식을 바꾸는 데 일조하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책 속에서

나는 세련된 사람도 아니고 스스로 건축 재능이 뛰어난지도 모르겠다. 다만 호기심이 많고 그 호기심을 실천하는 데는 꽤 재주가 있다. 그래서 건축은 내게 정말 큰 즐거움을 주는 일이다. 적어도 건축을 하는 동안은, 그것이 실체화되기 이전까지는 기나긴 상상의 시간이다. ‘어떤 일이 일어날지, 어떤 빛이 떨어질지, 질감이 어떨지 매우 집요하고 끈질기게 상상한다. 그 상상이 공간으로 실체화되고 삶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는 것은 그야말로 중독성이 있다.

박지현, 우승진, 조성학, 「사소하지만 진지한 소통의 기술」, 18쪽

나는 늘 동화 같은 이야기 속에서 비유에스의 선함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후암동 프로젝트는 외형에서 무채색이 느껴졌거든요. 내게 비유에스는 이미 만족스러운 형태나 이미지를 갖고 있는 팀인데, 그 팀의 건축 작업이 진화하고 있다는 게 너무 대단해 보이는 거예요. 성인의 감정이라고 해야 할까요? _한승재

박지현, 우승진, 조성학+한승재, 「어떻게 하면 오래도록 함께 일할 수 있을까」, 84쪽

처음에는 피식 웃음을 자아내는 ‘버스’라는 이름은 뭔가 대단한 건축적 야심을 드러내는 듯 거창하고 어려워 보이는 ‘규정되지 않는 스케일로’라는 말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생각하면 할수록 두 말은 일맥상통한다. 참 잘 지은 이름이다. 비유에스의 건축이 그들의 이름처럼 묘하게 남았으면, 그리고 더 묘해지면 좋겠다. 그리고 때로는 비유에스의 낯설게 보기가 낯설게 하기의 층위로 넘어가 조금은 더 위험해지면 좋겠다. 일상을 향한 집요한 천착이 가끔은 예술적 야심으로 발현돼 우리 일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힘을 가지면 좋겠다.

현명석, 「‘버스’와 ‘규정되지 않는 스케일로’ 사이 어딘가」, 106쪽

나는 나의 건축이 고요함과 담담함의 세계 내에 있으면 좋겠다. 설령 지금은 아니어도 다른 이에게 그 세계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건축을 언젠가는 할 수 있기를 바란다. 건축이 스스로 깊이를 가지고 폭은 넓어져 다수가 공감하고 그 감각이 선명해지기를 바랄 뿐이다.

김세진, 「담담함 너머의 것」, 116쪽

건축을 시작하고 지금도 건축가로 살고 있는데 늘 제자리를 뛰고 있는 느낌입니다. 앞으로 나아가면 좋겠는데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요즘 드는 생각은 제자리를 뛰어도 최소한 영리하게는 뛰어 보자는 것입니다.
옷이라도 가볍게 입고……. (웃음)_김수영

김세진+김수영, 「근본적인 물음으로 닿고자 하는 건축」, 180쪽

김세진의 건축은 무심한 듯 무표정하고, 수줍은 듯 무덤덤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절제된 치열함과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스펙터클의 사회 안에서 섬세하게 자신만의 리듬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기 드보르(Guy Debord)가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자본주의 사회의 중요한 특징을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고 비-참여적인 스펙터클만이 지속되는 현상으로 포착한 것은 김세진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관점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이미 졸업작품에서부터 나타났던 그의 건축의 중요한 주제는 시간과 삶에 대한 것이다.

장용순, 「스펙터클에 저항하는 깊이의 건축」, 192쪽

나는 주로 통찰, 직관, 직감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해왔다.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에 등장하는 화가 장승업은 자연을 수없이 관찰하고 탐구하는 수련을 통해 자신만의 화필과 시각을 얻는다. 내가 좋아하는 방식이다. 자연에 둘러싸인 사무소인지라, 아침 일찍 도착해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여러 자연 현상들을 관찰하는 것을 즐긴다. 그 관찰이 작업에 영감을 준다. 〈Y하우스〉는 우리나라 산의 속성을 표현하는 방법에서 출발했고, 〈클리프하우스〉는 나무의 뿌리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았다. 〈닫힌집, 열린집〉은 시골 풍경인 볏단을 구성하는 원리에서, 지금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논이 구성되는 방식에서 출발했다.

정웅식, 「자연의 원리와 시간을 담은 디자인메이드」, 202쪽

그의 건축은 과감하다. 전통건축의 미덕 중 하나로 자연 앞에서 웅크려야 한다고 배웠던 우리에게는 너무나 과감하고 과격하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단순하고 과감한 형태로 ‘극적인 균형’을 이룬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연을 해치지 않는 건축으로 ‘평형’을 지향하는 것이 우리의 전통 해석이었다면, 정웅식의 ‘균형’은 전통과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이고, 우리가 몰랐던 건축의 한 방법이다.

임성훈, 「균형의 건축」, 276쪽

차례

프롤로그
네 개의 섹션으로 만나는 젊은 건축가의 상상, 탐구 그리고 조정: 정귀원

〈비유에스건축〉
건축가 노트_사소하지만 진지한 소통의 기술
프로젝트
당진 우-물 | 쓸모의 발견 | 후아미 | 파람아동청소년발달센터 | 앞뒤 없는 운동장 | 남해 적정온도 | 진주 빛방울집
다이얼로그
어떻게 하면 오래도록 함께 일할 수 있을까?: 박지현, 우승진, 조성학+한승재(2019 젊은건축가상 수상자)
크리틱
‘버스’와 ‘규정되지 않는 스케일로’ 사이 어딘가: 현명석

〈지요건축〉
건축가 노트_담담함 너머의 것
프로젝트
체부동 생활문화센터 | 보존과학자 C의 하루 |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 해양생태체험관 | 창4동 주민센터 | 도봉고등학교 홈베이스
다이얼로그
근본적인 물음으로 닿고자 하는 건축: 김세진+김수영(2014 젊은건축가상 수상자)
크리틱
스펙터클에 저항하는 깊이의 건축: 장용순

〈온건축〉
건축가 노트_자연의 원리와 시간을 담은 디자인메이드
프로젝트
닫힌집, 열린집 | 동네가게 녹슨 | 타워하우스 | 클리프하우스 | Y-하우스
다이얼로그
내게 젊은건축가상이 주는 의미: 정웅식+이정훈(2010 젊은건축가상 수상자)
크리틱
균형의 건축: 임성훈

에필로그
2020 젊은건축가상 심사 총평: 심사위원장 김승회 | 심사위원 윤승현 | 심사위원 김인성 | 심사위원 이정훈 | 심사위원 전숙희

비유에스건축

비유에스아키텍츠건축사사무소는 세 명의 파트너 박지현, 우승진, 조성학이 이끄는 건축설계사무소다. 건축과 공간을 매개로 일어날 수 있는 유의미한 상상력에 기반해 도시, 문화, 사람 사이의 다양한 관계 설정에 주목한다. 건축의 ‘구축’보다 ‘과정’에 집중해 작업을 이어간다. 이런 맥락에서 비유에스는 철자 그대로 버스(BUS)라는 소통 의식에 대한 의지와 규정되지 않은 시작점(By Undefined Scale)이라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현재 두 명의 직원 차승훈, 김수빈과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Jiyo Architects

Kim Se-jin is an architectural practice founded in 2015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His architectural work begins with the surface of paper and evolves into profound expressions of individuality and universal sensory experience. He served as a Seoul Public Architect in 2016 and has taugh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sign studio. Her accolades include winning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Chebu-dong Cultural Center, the TSK Fellowship Award, the Grand Prize at the Korean Rural Architecture Awards, and the Seoul Education Space Design Innovation Award from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He has participated in notable projects such as A Day of Conservator C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Young Architects Program, and the Gwangju Design Biennale’s Gwangju Folly.

On architects inc.

Jung Woong-sik, a principal architect at ON Architects,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Ulsan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n adjunct professor at the College of Design and Architecture at Ulsan National University and works as a public architect for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his exploration of the value and possibilities of regional architecture, he aims to propose various models and propose various possibilities by building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eople, region and region, beyond the intersection of physical, environmental, and practical factors of the region.He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the German Iconic Award in 2020 and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ward in 2019.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