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젊은 건축가: 질색, 불만 그리고 일상

Young Architects 2019 : Loathing, Dissatisfaction and the Everyday

Buy

한국 건축계에도 이제 좀 더 솔직한 ‘자기’ 이야기가 필요하다!
키워드로 엮은 세 팀의 젊은 건축가 푸하하하프렌즈, 아이디알, 건축공방

앞선 세대가 사회적 문제의식으로부터 건축의 이야기를 풀어갔다면 ‘요즘’ 젊은 건축가들은 ‘자기’에 대한 이야기가 풍요롭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젊은건축가상’의 2019년 수상자들이 써낸 이 책 『젊은 건축가: 질색, 불만 그리고 일상』은 그래서 작품 소개와 설명을 넘어 그들의 개인적 생활상과 생각들이 어느 때보다 두드러진다. 더 나은 대안을 찾아 분투하는 젊은 건축가들의 개인적인 불만과 사소한 습관에서부터 새로운 일상을 열어가려는 시도까지, 이들이 처한 상황과 고민을 매우 진솔한 이야기와 경쾌한 문체로 엮었다. 그런 측면에서 올해로 12회를 맞이한 젊은건축가상의 도록인 이 책은 기존의 사례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식으로 채워졌다. 이 책의 지은이인 세 팀의 건축가는 작품 소개 중심의 일반적인 건축책의 서사 구조를 해체하고, 대신 다섯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에세이를 펼치며 그들의 고민과 주장,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이러한 구성은 세 팀의 솔직담백한 이야기를 독자에게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힘을 갖는다. 엘리트 의식을 배제하고 주어진 여건 속에서 놀듯이 일하는 푸하하하프렌즈(FHHH friends), 수많은 제약과 한계에 맞서 분투한 상흔들을 간직한 아이디알(IDR), 독보적으로 넓고 다양한 분야를 거침없이 오가는 건축공방(ArchiWorkshop). 다섯 개의 에세이로 이뤄진 각 건축가의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그들 바로 옆에 앉아 불만 어린 생활과 일상 이야기를 듣는 듯하다. 그래서 푸하하하프렌즈를 위한 정지돈의 비평은 어깨를 나란히 한 친구의 관찰 같고, 아이디알을 위한 김재관의 비평은 먼저 그 길을 걸었던 선배의 조언 같다. 건축공방을 위한 조남호의 비평은 부단히 노력해온 이들을 위한 격려로 가득하다. 자, 이제부터 책을 펼치고 이들이 질색하고 불만스러운 일은 과연 무엇인지, 그럼에도 더 나은 일상을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자.

편집자의 글

지나치게 솔직하고 무섭도록 강직하고
사소하지만 진솔한 그들의 젊은 이야기

올해 젊은건축가상의 도록은 수상자 스스로 자신들의 목표를 발굴하고 정리하고 소개하는 지면으로 채워졌다. 자신의 사고를 다듬고 기록하는 일이야말로 이 시기에 더없이 필요한 일이라는 사실에 모두 공감했기에 가능했다. 그래서일까. 꼽아낸 주제어 면면에서 건축가의 매력, 나아가 우리의 모습이 어른거린다. 이 책의 기록들이 그들만의 유별난 고민거리가 아니며 부족했던 우리의 지난 경험이자 누군가가 이 악물고 부단히 지켜내는 오늘날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올해의 젊은 건축가가 전하는 솔직한 일기이자 이 세상에 띄우는 메시지에 함께 귀 기울여 보자. 이들의 모습에 우리가 있다.

아옹다옹 싸우듯 즐기듯 논쟁하는 푸하하하프렌즈

푸하하하프렌즈는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세 명의 소장이 우정을 바탕으로 시작한 건축사사무소다. 사실 사무소 이름부터 남다른 탓에 더욱 눈길을 끌며 때로는 ‘핫플제조기’란 수식어가 달릴 만큼 화제를 일으키지만, 이들은 그런 유명세에 관심 없다. 본디 겉치레를 좋아하지 않는 성미 때문이다. 그래서 오직 건물만 바라보고 무엇보다 기본을 챙기며 자신들이 생각한 만큼만 솔직하게 말하겠다는 태도로 건축에 임한다. 이들을 남다른 성과로 이끄는 힘 역시 못난 도시 풍경을 향한 솔직한 마음, 질색이다. 그냥 쉽게 넘어가는 법이 없다. 푸하하하프렌즈의 글을 통해 발랄하고 유쾌함 뒤에 감춰져 있던 도시를 향한 진득한 애정과 집요함을 살펴보자.

사회를 향해 거침없이 쓴소리를 내뱉는 아이디알

아이디알의 전보림, 이승환은 누구보다 솔직하게 자신의 경험을 드러내고 불합리의 개선을 앞장서 요구한다. 이들이 느끼는 불만은 단지 사적인 푸념이 아니라 바깥세상과 공유하고 더 나은 환경을 위해 다 함께 고민해야 할 것들에 가깝다. 모른다고 대충 넘기지 않고 집요하게 이해하고 배우려는 작업 태도처럼 그들은 오늘도 사회 곳곳에 뿌리내린 불합리함을 의심하고 공론의 장으로 이끈다. 느림에도 멈춤은 없다. 아름다운 건축은 세상을 바꿀 힘이 있다고 믿는다면 아이디알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그들의 투쟁에 기꺼이 참여해도 좋을 것이다.

일상의 지평을 넓혀가려는 건축공방

건축공방의 심희준, 박수정의 관심사는 일상에 맞춰져 있다. 잘 다듬어진 공간이어야 일상의 행복을 만들 수 있고 일상적인 가치를 높이는 공간이야말로 좋은 건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들은 다른 먼 곳이 아닌 우리 동네, 집, 골목 등 작은 단위의 공간을 세심하게 살핀다. 내 주변 환경을 살피는 일이야 말로 건축의 이유라고 믿고 실천한다. 건축공방은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젊은 건축가로서의 자세와 생존을 고민하며 공간의 기본을 생각하고 고쳐 만드는 진솔한 이야기를 펼친다. 여기 일상, 그 이상의 지평을 고민하는 그들의 메시지에 주목해보자.

책 속에서

가장 질색하는 것 가운데 하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 덮어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건물 이음새를 꼼꼼하게 작업하지 않았으면서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몰딩을 붙여 대충 가려버리는 따위다. 노동과 정성이 필요한 작업을 간단히 무마하는 잔머리다. 당연히 수반되어야 할 계획이 무시된 채 최종 이미지만 흉내 내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시트지가 싫고, 치장 벽돌 타일이 싫다. ‘질색’이라는 말은 지금 우리 작업에 필요한 태도를 만들어준 중요한 원동력이다.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이야기 둘 | 질색하고 남은 것」, 21쪽

푸하하하프렌즈의 질색은 17세의 윌리엄 모리스가 가졌던 분노와 같다. 푸하하하프렌즈의 이름이 어리고 천진해보인다면 그것은 옳다. 다만 그것은 단지 낙관과 즐거움만을 가진 ‘어림’이 아니라 부당한 무언가에 대한 분노를 가진 ‘순수함’이다. 왜 저런 건물이 지어지는 것일까? 흉내 내기에 불과한 치장, 현학적이고 자만심만 가득한 외양. 이런 것들은 건축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것 아닐까. 건축이란 건축가를 위한 것도 아니고 사용자를 위한 것도 아니고 비평가를 위한 것도 아닌데, 어느 것 하나에 쉽게 고정하거나 맞췄을 때 오는 일종의 거짓말 아닐까. 그러므로 푸하하하프렌즈의 기본이란 의문 같은 것이다. 건축가, 사용자, 비평가 세 개의 항이 이루는 접점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제기되어야 하는 것. 서로의 관점에서 다시 묻고 재발명해야 하는 것. 그런 면에서 한승재, 한양규, 윤한진은 최적의 위치에 있는 듯하다. 그들은 세 명이고 그들 각자가 건축가이면서 사용자이고 비평가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짓고 질문하고 질색하고 다시 지을 수 있는 것이다.

정지돈, 「두 번 다시 웃지 않는 사나이」, 95–96쪽

전보림은 사회에 불만이 많다. 이승환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가족과 몇몇 지인은 긍정적 시각을 가져보라고 충고하기도 한다. 분명 이런 사회에 대한 불만이 기성세대를 향한 비난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건축가란 본질적으로 사회에 불만이 많은 사람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즉 삶과 환경을 결정하는 수많은 조건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더 나아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제안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전보림, 이승환, 「이야기 하나 | 불만」, 102쪽

이처럼 젊은 건축가의 재능을 표현할 만한 잉여 혹은 여지가 없다시피 한 상황에서 아이디알의 선택은 남달랐다. 특별함을 만들기 위해 속이 빈 들통을 찌그러뜨리거나 어딘가를 빼쪽하게 만들거나 자빠뜨리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들통은 들통다워야 하므로 속이 텅 비어야 옳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 들통으로 만두를 찌기도 하고 빨래를 삶기도 하고 사나흘 간 곰탕을 끓이는 등 쓰임이 바뀌면 약간의 설거지만으로도 언제든 새롭게 쓰이는 숙명을 수긍한 것이 바로 건축가의 의도이며 설계의 실마리였다. 그래서 과하지 않았고 또한 의젓하다.

김재관, 「젊지 않은」, 184쪽

우리는 다양한 건축적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심이 있다. 주거, 사무실, 공공 공간, 연구 공간, 상업 공간, 글램핑, 파빌리온, 리조트, 설치 예술 등 우리의 작업 범위는 계속 확장된다. 일상에서 더 높은 수준의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삶의 질을 높여주는 작업을 지속하고 싶다. 우리는 공간이 주는 힘을 믿고, 그 힘은 생각보다 크다. 단순하고 강하며 서정적이고 아름답고 우리의 현재를 즐길 수 있으면서 우리의 현재가 발전하고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건축.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의 건축은 그런 것이다.

심희준, 박수정, 「이야기 하나 | 일상」, 198–199쪽

건축공방은 재료의 구축성과 물질성의 맥락을 변화시키는 실험적 작업들에서 줄곧 좋은 작업을 만들어냈고 그 결과물이 새로운 기회로 연결되었다. 그중 일련의 ‘글램핑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스틸 프레임과 멤브레인 천으로만 제작해 로테크로 구현되었다. 이는 일시적 시설물이 그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높은 미학적 완성도와 함께 지속가능한 숙박 공간으로 거듭나게 했다.

조남호, 「일상과 사물의 정착」, 266쪽

차례

프롤로그 | 지나치게 솔직하고 무섭도록 강직하고 사소하지만 진솔한_ 박성진

푸하하하프렌즈
이야기 하나 | 어쨌든 프렌즈
이야기 둘 | 질색하고 남은 것
이야기 셋 | 소리 없는 기본
이야기 넷 | 집요함만 남는다
이야기 다섯 | 진지함에 대한 알레르기?
크리틱 | 두 번 다시 웃지 않는 사나이_ 정지돈

아이디알
이야기 하나 | 불만
이야기 둘 | 느림
이야기 셋 | 공공
이야기 넷 | 배경
이야기 다섯 | 투쟁
크리틱 | 젊지 않은_ 김재관

건축공방
이야기 하나 | 일상
이야기 둘 | 유럽
이야기 셋 | 생존
이야기 넷 | 2019 젊은건축가상
이야기 다섯 | 일상, 그 이상
크리틱 | 일상과 사물의 정착_ 조남호

에필로그 | 2019 젊은건축가상 심사 총평_ 김헌

FHHH Friends

FHHH Friends is an architecture firm composed of three principals—Yoon Hanjin, Han Seungjae, and Han Yangkyu
—along with six team members. The three principals first crossed paths as colleagues at Designcamp Moonpark (DMP) and have been working together since 2013. Their work is rooted in a deep understanding of urban contexts, showcasing originality and creativity across a range of projects. In recognition of their contributions to the field, they were named Young Architects of 2019.

IDR

IDR is a combination of letters reminiscent of ordinary English words such as idea and ideal. It is intended to be a more free architecture that responds flexibly to various external conditions without being bound by a specific logic or theory. Questioning what is taken for granted in our cities and architec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his work, and 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role of architecture as a mediating background between users and everyday life.

ArchiWorkshop

We are Architects, who think, create, enjoy and share everyday Architecture. The title ‘ArchiWorkshop’ has two meanings. One is ‘workshop of artisans’, and the other is the meaning of ‘attacking and defending to each other through discussion’. From a result perspective of view, architecture is a visual work. But at the same time, its origin accompanies philosophy and rational thinking. For that reason, we discuss and converse as much as sketching and this approach allows us for more influential operations and results. We, ArchiWorkshop, think, create, enjoy and share everyday architecture. Our ‘Everyday architecture’ has meaning of high level of architecture, namely, architecture with healthy environment and expansion of this architecture culture to more people to share.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