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 임석재 교수의 대중을 위한 건축 강의

Buy

우리 전통 건축 vs. 서양 건축

1999년 출간된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의 개정판. 건축에 관한 열여덟 가지 주제로 한국 건축의 특징을 짚어보고, 이와 비슷하면서도 상반된 특징을 가진 서양 건축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적 성찰에 이르는 건축교양서이다.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 건축은 서로의 우월함을 견주는 이분법적인 대상이 아니라, 보다 대안적인 제3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서로 보완하고 함께 연구되어야 할 관계임을 자연스레 깨닫게 해준다.

이 책은 궁궐, 사찰, 서원, 향교, 민간 한옥 등 다양한 유형의 한국 전통 건축을 다루고 있으며, 서양 건축은 특정 유형이나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각 장의 주제에 맞는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했다. 특정 건축물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열여덟 개의 주제 아래 각각의 내용에 맞는 건축물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한국 건축과 서양 건축을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 구도로만 이해했던 지금까지의 일반적 시각에서 벗어나, 두 건축 세계에 대한 비교와 성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건축을 돌아보고 문화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준다. 이 같은 접근은 지금의 우리 건축 환경을 진단하고 미래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편집자의 글

건축을 읽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동서양이 나아갈 바를 배우고 우리 것의 소중함에 새로이 눈뜨다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를 폭넓게 아우르는 건축사학자 임석재의 대표작이 10년의 세월을 거쳐 더욱 주옥 같은 가치를 빛내며 우리 곁에 새롭게 찾아왔다. 이 책은 건축에 관한 열여덟 가지 주제로 한국 건축의 특징을 짚어보고, 이와 비슷하면서도 상반된 특징을 가진 서양 건축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적 성찰에 이르는 건축 교양서다. 한국 건축과 서양 건축을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 구도로만 이해했던 지금까지의 일반적 시각에서 벗어나, 두 건축 세계에 대한 비교와 성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건축을 돌아보고 문화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준다. 이 같은 접근은 한국적인 삶과 서양식 건축 형태가 혼재하는 지금의 우리 건축 환경을 진단하고 미래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는 1999년 첫 발간된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의 개정판으로, 첫 출간 당시부터 지금까지 긴 세월 동안 많은 사랑을 받으며 꾸준히 읽힌 책이다. 10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닌 이 텍스트를 새로운 세대에게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자 시대에 맞게 새롭게 다듬어 엮었다. 흑백이었던 도판은 모두 컬러로 교체했다.

우리 전통 건축 vs. 서양 건축

다르면서도 닮은 두 세계

한국 전통 건축이나 서양 건축에 관한 책은 많다. 그러나 서양 건축을 전공한 학자가 집필한 한국 전통 건축 책이나 그 반대의 책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이렇듯 비교 학문이 어려운 이유는 대상이 되는 두 분야가 서로 많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둘 모두에 능통하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단순한 지식의 차원을 넘어서 둘을 비교하는 깊이 있는 시각을 갖기는 더 어렵기 때문이다. 이 책의 진가는 바로 그 점에서 드러난다. 한국에서 서양 건축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한국 전통 건축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심미안을 가진 건축비평가 임석재 교수의 수준 높은 텍스트가 두 건축의 단순 비교를 넘어 동서양의 세계관과 각 시대의 의미를 들여다보는 여정으로 독자를 이끈다.

이 책은 궁궐, 사찰, 서원, 향교, 민간 한옥 등 다양한 유형의 한국 전통 건축을 다루고 있으며, 서양 건축은 특정 유형이나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각 장의 주제에 맞는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했다. 특정 건축물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열여덟 개의 주제 아래 각각의 내용에 맞는 건축물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지붕, 기둥, 돌과 담 등의 건축 요소와 방위, 대칭, 친자연 등의 건축 개념을 주제로 각 장마다 하나의 스토리가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 건축의 서로 유사하거나 상반된 사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놀랄 만큼 닮은 모습의 기둥이나 나무 계단, 돌담 등에서 친자연적 관점의 흔적을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가 하면, 불교 사찰의 산문과 고딕 성당의 화려한 출입구에서 대비되는 상징성의 차이나 빛을 다루는 방식 등에서 뚜렷한 세계관의 차이를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비교 분석 작업은 두 건축의 과거와 현재를 오롯이 담아내는 동시에, 각자가 내포한 한계를 극복할 대안적인 건축상의 미래를 함께 보여준다. 그리고 그 속에는 인류의 공통된 고민이 같은 뿌리를 지니고 공존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 건축은 서로의 우월함을 견주는 이분법적인 대상이 아니라, 보다 대안적인 제3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서로 보완하고 함께 연구되어야 할 관계임을 자연스레 깨닫게 된다.

대안의 건축을 향해 나아가다

우리나라 근현대 건축의 발전상을 살펴보면 한국 전통 건축과 서구로부터 도입한 건축 양식이 물과 기름처럼 겉돌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급속한 근대화 과정에서 효율을 앞세운 일부 서양 건축 방식이 무분별하게 확대되었으며, 그 속에서 한국 전통 건축은 자취를 감추거나 반대로 무조건적인 맹신의 형태로 남아 있게 되었다. 다행히 최근에는 두 건축 방식의 장단점을 함께 고려하는 대안적인 건축의 흐름이 시작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의 일상적인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앉지는 못한 것이 현실이다. 지금도 우리의 주거 문화는 전통과 서양의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우리의 삶의 모습과 닮아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책은 한국 전통 건축의 매력에 새롭게 눈뜨는 동시에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 건축이 지닌 공통의 고민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나은 제3의 건축상을 그려나갈 힘을 우리에게 북돋워 줄 것이다. 이는 또한 건축 환경의 문제를 뛰어넘어, 전통 문명과 서양 문명이 한데 뒤섞이고 엉키면서 보다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고민하고 발전시켜야 할 지금의 우리에게 의미 있는 전환점을 마련해줄 것이다.

책 속에서

나는 한국 혹은 동양 건축이 무조건 서양 건축보다 우수하다는 주장을 펴고 싶지는 않다. 그보다는 우리가 우리 것과 서양 것을 상호 대립적인 관계로 보는 동안, 서양 사람들은 오히려 우리 것으로부터 그들 자신의 한계를 극복할 교훈을 배워갔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우리는 우리 것을 재래적이라 하며 타파해야 할 구습으로 여겼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에 대한 반동적 현상으로 우리 것은 무조건 소중하다는 전통 제일주의도 겪었다. 이제는 그러한 극단적 시각에서 벗어나 우리 것과 서양 것 사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가치를 찾아냄으로써 이 두 문명을 상호보완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때가 왔다. 건축은 위와 같은 교훈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절한 문화예술 분야일 수 있다. 우리 건축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서양의 예와 비교해봄으로써, 우리는 동서양이 하나 될 자그마한 실마리를 얻을 것이다.

41쪽

한국 전통 건축에서 휜 나무를 그대로 쓰는 경향은 자연의 완결된 생명 단위를 차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양 건축의 돌기둥에도 비슷한 예가 있다. 차이가 있다면 나무 대신 사람이라는 완결된 생명 단위를 차용한다는 점이다. 그리스의 에렉테움 신전에 쓰인 여신주상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 명의 젊은 여신상이 기둥 대신 쓰이고 있다. 머리에 온갖 물건을 지고 다니던 우리네 어머니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다. 한국 전통 건축의 휜 나무기둥과 더불어 건축에서의 기둥이란 결국 사람이나 나무와 같은 자연에서 온 것임을 말해준다.

58–61쪽

서양 지역주의 건축에 나타나는 위와 같은 자기모순은, 불규칙한 형태를 정형적 반복에 대한 직설적 반대의 개념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반대를 반대로 푸는 서양식 특유의 직설적 세계관으로부터 비롯된다. 재료만 콘크리트나 철골에서 자연석으로 바뀌었을 뿐, 바뀐 재료를 운용하는 방식은 여전히 정형성을 주도적 개념으로 삼고 있다. 재료가 바뀌면 이것을 운용하여 건물을 만들어가는 개념도 따라서 바뀌어야 하는데, 서양의 지역주의 건축은 이를 결여한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포르토 라프티 하우스는 자연석을 이용한 또 다른 정형적 질서의 예에 그친다. 그에 반해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비정형적 질서를 정형적 질서에 대한 반대의 개념으로 보지 않는다. 이 자체를 처음부터 하나의 독립적 가치로 받아들인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비정형적 질서를 만들어내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가능했고, 그 결과 갑사 대웅전이나 종묘 정전의 기단과 같은 은근한 멋을 낼 수 있었다. 이것은 반대를 은유적 긍정으로 해석하는 한국 특유의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130쪽

사람을 둘러싼 주변 조형 환경의 규모가 휴먼 스케일을 넘어서기 시작하면서 현대 도시에서는 소위 문명병이라고 불리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전통 건축에서는 대형 건물이라고 해봤자 도시 중심부에 하나 정도가 서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현대 도시에서는 주위가 온통 사람을 위압하는 수십 층짜리 건물들로 둘러싸이게 되었으며 그 결과 교통난, 환경오염, 주택난, 슬럼화 등과 같은 문명병을 앓기 시작했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물리적 타락뿐 아니라 사람들이 인간성 상실이라는 마음의 병을 앓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인식하면서 대두된 환경심리학은 바로 사람에게 적합한 휴먼 스케일의 조형 환경 규모를 찾아냄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환경심리학에서 찾아낸 내용은 고스란히 우리의 전통 중정 속에 이미 다 구현되어 있었던 것이다.

209–211쪽

아무리 현실의 벽이 높다고 하더라도 문제점을 안고 있다면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한 해결책의 실마리는 ‘서구식 주택의 도입=한옥의 폐기’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한옥과 서구식 주택은 하나를 위해서는 다른 것을 버려야 하는 대상이 아니다. 한옥과 서구식 주택의 장점이 하나로 합쳐져 더 좋은 제3의 양식으로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는 전향적이고 넓은 시야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406쪽

차례

두 세계로의 초대

1부 건물 구성 요소
1 지붕과 처마 - 팔작지붕 vs. 형태주의 곡선지붕
하늘을 우러르고 땅을 굽어보다
2 나무와 기둥 - 개심사의 휜 나무기둥 vs. 바로크 건축의 꽈배기 기둥
휘고 굽은 못난 곡선이 아름답다
3 구조 미학 - 병산서원 만대루 vs.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가리지 않는 솔직함의 미덕
4 구성 분할과 추상 입면 - 한옥의 추상 입면 vs. 몬드리안의 추상화
기둥과 보가 그리는 한 편의 추상화
5 돌과 담 - 거친돌 막쌓기 vs. 콜라주
소박한 돌쌓기의 질서와 짜임새
6 문과 상징 - 은유의 사찰 산문 vs. 직설의 고딕 성당
때론 위엄 있게 때론 자유롭게

2부 건축의 구성 원리
7 남향과 방위 - 따뜻한 자연의 빛 vs. 미니멀리즘의 백색 빛
해와 땅의 기운을 읽다
8 인체와 척도 - 한국 전통 중정 vs. 팔라초와 광장
인간을 중심에 두는 배려, 휴먼 스케일
9 길과 여정 - 사찰 진입 공간 vs. 교회의 제단으로 가는 길
건축적 스토리 속을 걷다
10 계단과 축 - 봉정사 돌계단 vs. 라우렌티안 도서관 곡선 계단
오르고 되새기고 상상하고
11 대칭과 비대칭 - 소수서원의 비대칭적 대칭 vs. 서양 고전 건축의 좌우 동형적 대칭
정형적 법칙에서 순응의 질서로
12 사각형과 모서리 - 도산서원 vs. 뒤랑의 유형학
열린 마당과 틈새의 미학
13 친자연과 낭만주의 - 개심사 진입 공간 vs. 픽처레스크 운동
자연 속으로 들어가 자연의 일부가 되다
14 사선과 긴장감 - 마곡사 대웅보전 vs. 보로미니의 산 카를리노
일상을 깨우는 극적인 순간

3부 건물의 감상법
15 중첩과 관입 - 한옥의 불이 공간 vs. 큐비즘의 다차원 공간
투명의 공간, 겹의 공간
16 프레임과 투시도 - 관촉사 미륵전 vs. 라이날디의 닫집
건축가의 시선이 가리키는 곳
17 주제와 변주 - 신륵사의 앙천성 vs. 아르누보의 유기 선형 장식
하나의 공간 하나의 스토리
18 테마파크와 친숙한 고전 - 계룡산 갑사 vs. 디즈니랜드
현실을 뛰어넘는 카타르시스의 공간

색인

Yim Seock-jae

An architectural historian and architect, born in Seoul in 1961.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arned a master’s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completed a Ph.D.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with research on French Enlightenment architecture. In 1994, he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Ewha Womans University as its founding professor, where he continues to serve.

His extensive and profound research transcends time and geography, producing numerous publications. With a solid ability to synthesize, sharp analytical skills, and a unique creative perspective, he connects and integrates architecture with the humanities and the arts, establishing a distinctive academic realm. His primary areas of expertise include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ory, addressing a broad range of topics across time and space, while also offering critical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architectural issues. Beyond research and writing, he applies his academic insights and ideas to actual architectural design projects.

Notable works include A Comprehensive Guide to Yim Seok-jae’s Western Architecture History, Gyeongbokgung: Built on Rituals, Korean Architecture and Moral Spirit, Scenes of Seoul’s Alleys, When Architecture Meets Art, Walking Through Seoul, the City of Architecture, The Mechanical Body and the Birth of Modern Architecture, European Housing, The Wise and Happy House, Hanok, Wilderness and the City, and The History of Theaters.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