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이자 문화이론가다.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전공 중, 1980년대 초 미국으로 건너가 파사데나아트센터(Art Center College of Design, Pasadena)에서 예술을 전공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뉴욕 루지태니아프레스(Lusitania Press)의 편집인으로 있었고, 1994년부터 2004년까지 뉴욕대학교의 겸임 교수(Adjunct Professor)를 지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해 제57회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및 뒤셀도르프미술관, 마르세유현대미술관, 켐니츠미술관 등지에서 유럽 순회 회고전 〈Cody Choi, Culture Cuts〉을 개최했다.
회화, 조각, 설치 등의 작업을 통하여 현시대의 다양한 문화가 빚어내는 충돌과 그 간극에서 탄생한 제3의 문화 혹은 혼종 문화, 그리고 끊임없이 탄생하는 동시대 새로운 사회 현상을 주목한다. 『20세기 문화 지형도』 『동시대 문화 지형도』 등 현대 문화에 관한 전문 비평서와 『Cody Choi, Culture Cut』 『Cultural Shift Hatter』 『Venetian Rhapsody』 등의 전시 카탈로그를 출간했으며, 그의 작품과 정신세계는 존 C. 벨츠만(John C. Welchman)의 『Art After Appropriation Essays on Arts in 1990s』(G+B Arts International, 2001), 마이크 켈리(Mike Kelly)의 『Foul Perfection』(MIT Press, 2003)을 통해 소개되었다.
사람들
코디 최
다른 사람들
-
디자인을 변화의 촉매로 사용하고자 하는 다학제적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인 교육에서의 젠더 격차를 다루는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억압적인 디자인 사고를 타파하고 주변화된 관점을 옹호하기 위한 방법을 계속 탐구 중이다.
-
김대권
최초의 UI용 한글 힌팅 폰트인 「맑은 고딕」을 첫 프로젝트로 폰트 기술자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다양한 폰트 에디터용 플러그인을 개발했고 다수의 기술 강의를 진행했다. 폰트 디자이너들과의 다양한 협업과 대화를 즐긴다. 현재 폰트뱅크에서 모바일 폰트 다운로드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라인갭을 운영하고 있다. -
천상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했으며, 편집디자이너이자 그림책 기획자이다. 현재 창작 그림책 전문 출판사인 상출판사 대표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 최초의 그림책 전문 잡지 《그림책상상》을 발행했다. CJ그림책상이 진행되는 국제 그림책 전시 ‘CJ그림책축제’의 기획과 진행에 참여했고, 국제아동도서협의회한국위원회(KBBY)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 힐스(Hills), 계원예술대학교, 상상마당아카데미 볼로냐 워크숍에서 강의했다. -
페라 카페이
디자이너이자 아트 디렉터. 디자인 교육에서의 젠더 격차를 다루는 이니셔티브를 이끄는 한편 업계의 포용성 확대를 촉구하는 공동체 조성에 힘써왔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자그마이스터&월시, 더블데이&카트라이트에서 근무했다. -
최호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국무총리상 등을 수상하고 같은 기관 초대디자이너,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시각디자이너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고등학교 시각디자인』 기초/응용 등이 있다. 강남대학교 예술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교수이자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소장으로 일한다. -
관조 스님
1943년 출생하고 1960년 부산 범어사에서 득도했으며 2006년 입적했다. 1970년대부터 한국의 사찰과 자연을 폭넓게 사진에 담아 왔다. 〈서울 아시안게임 경축 사진전〉 〈올림픽 경축전〉을 비롯해 로스앤젤레스·토론토·시카고 등지에서 해외전 외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작품집으로 『승가』 1–2와 『열반』 『수미단』 『대웅전』 『생, 멸, 그리고 윤회』 『사찰꽃살문』 『님의 풍경』 등이 있으며 공저서로 『명묵의 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
임석재
건축사학자이자 건축가. 196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프랑스 계몽주의 건축에 관한 연구로 건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에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를 창설하며 1호 교수로 부임한 이래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건축을 소재로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폭 넓고 깊이 있는 연구로 다수의 저술 활동을 이어왔다. 탄탄한 종합화 능력과 날카로운 분석력 그리고 자신만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건축을 인문학, 예술 등과 연계하고 융합시키며 독특한 학문 세계를 일구었다. 주 전공인 건축 역사와 건축 이론 분야에서 시공간을 넘나드는 폭넓은 주제를 다뤄왔으며, 현실 건축 문제에 대한 비판도 피력했다. 연구와 집필에 머물지 않고 그동안 공부하면서 깨달은 내용과 떠오른 아이디어를 실제 설계에 응용하는 작업도 병행해 왔다. 대표 저서로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의 서양건축사』 『‘예(禮)’로 지은 경복궁』 『한국 건축과 도덕 정신』 … -
윤제원
서울대학교에서 지리교육과 미학을 전공하고 글밥아카데미를 수료한 뒤 바른번역에서 활동한다. 대학 시절 접한 공연예술과 미술, 영상 분야에 큰 관심을 두고 공연제, 영화제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오랜 영상 번역 경험을 살려 자연스러운 번역을 추구하며 교육과 요리, 철학, 예술, 외국어 등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타인의 생각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에 애쓴다. 옮긴 책으로 『전진의 법칙』이 있다. -
안그라픽스
1985년 2월 8일 시각디자이너 안상수가 설립한 한국의 디자인 전문 출판사이자 회사다. 1990년 주식회사로 전환하고 현재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출판 네 개 부문을 아우르는 종합 디자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디자인 회사로서는 처음으로 DTP를 실무에 도입했으며, 글자에 중심을 둔 완성도 높은 편집 디자인을 통해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2015년으로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
칸타이킁
1957년에 홍콩으로 이주해 홍콩 중국대학에서 응용디자인 전공했다. 1993년 <아이디어>지의 ‘세계100대 그래픽 디자이너’에 선정되었다. 현재 AGI 회원이자 베이징 중앙 미술 인스티튜트의 객원교수이며, Kan & Lau Design Consultants의 대표다. 벨기에 국제 트레이드마크 센터의 명예대사, 홍콩 미술박물관 명예고문을 맡고 있다. -
김어진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실천 공동대표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산현대미술관, 녹색연합 등 다수의 문화·예술 기관 및 비영리단체와 협업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등에서 작가로 참여했으며, 2019 국제타이포그래피비엔날레 〈타이포잔치: 타이포그래피와 사물〉의 섹션 큐레이터를 담당했다. 2016년부터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에 출강 중이다. 저서로는 『작업으로 말하는 사람들』(지콜론북, 2015)이 있다. 현재 AGI(국제그래픽연맹) 회원이다. -
박민규
뉴욕 스쿨오브비주얼아트(School of Visual Arts, NY)와 파주 타이포그라피학교 더배곳을 졸업했다. 어려서부터 캐나다에서 생활하며 로마자를 통해 타이포그라피에 매력을 느껴 박민규체를 디자인했고,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에서 활동하며 AG 최정호 민부리 Std.를 개발했다. 현재는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