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이자 문화이론가다.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전공 중, 1980년대 초 미국으로 건너가 파사데나아트센터(Art Center College of Design, Pasadena)에서 예술을 전공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뉴욕 루지태니아프레스(Lusitania Press)의 편집인으로 있었고, 1994년부터 2004년까지 뉴욕대학교의 겸임 교수(Adjunct Professor)를 지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해 제57회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및 뒤셀도르프미술관, 마르세유현대미술관, 켐니츠미술관 등지에서 유럽 순회 회고전 〈Cody Choi, Culture Cuts〉을 개최했다.
회화, 조각, 설치 등의 작업을 통하여 현시대의 다양한 문화가 빚어내는 충돌과 그 간극에서 탄생한 제3의 문화 혹은 혼종 문화, 그리고 끊임없이 탄생하는 동시대 새로운 사회 현상을 주목한다. 『20세기 문화 지형도』 『동시대 문화 지형도』 등 현대 문화에 관한 전문 비평서와 『Cody Choi, Culture Cut』 『Cultural Shift Hatter』 『Venetian Rhapsody』 등의 전시 카탈로그를 출간했으며, 그의 작품과 정신세계는 존 C. 벨츠만(John C. Welchman)의 『Art After Appropriation Essays on Arts in 1990s』(G+B Arts International, 2001), 마이크 켈리(Mike Kelly)의 『Foul Perfection』(MIT Press, 2003)을 통해 소개되었다.
사람들
코디 최
다른 사람들
-
개인 연구자 겸 콘셉트 개발자다. 그는 기업의 사회적, 기술적, 상업적 측면들의 전반적인 구성과 디자인에 관심이 있다. 특히 영구적 조직체로서의 회사와 한시적 조직체로서의 프로젝트에 주목한다.
-
김민영
타이포그래피 컨설턴트.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전공을 거쳐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석사 논문에서는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근현대 섞어 짜기 샘플 연구를 기반으로 CJK-Latin 다국어 섞어 짜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했다. 일본 타입 파운더리인 모리사와와 폰트웍스를 거쳐, 현재 일본 도쿄에서 타이포그래피 스튜디오 Em Dash를 설립했다. 한/미/일 3개국 문자와 언어를 구사하며 얻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 어도비 등과 함께 폰트 개발, 타이포그래피에 기반한 UI/UX 컨설팅, 관련 서적 집필 등 다방면으로 활동 중이다. -
야마모토 리켄
도쿄예술대학원 미술연구과 건축학전공을 수료했고 1973년 야마모토리켄설계공장을 설립했다. 2007부터 2011년까지 요코하마국립대학원 교수를 지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나고야조형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으로 사이타마현립대학, 공립하코다테미래대학, 요코스카미술관 등이 있으며 취리히, 톈진, 베이징, 서울 등에서 복합 시설, 공공 건축, 집합주택 등을 설계했다. 1988년과 2002년에 일본건축학회상을, 1998년에 마이니치예술상을, 2000년에 일본예술원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202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과 국제예술 부문 문화청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신편 주거론(新編 住居論)』 『권력의 공간/공간의 권력(権力の空間/空間の権力)』 『마음을 연결하는 집』(공저) 등이 있다. -
컬리나 세일스
테네시주립대학교 그래픽 디자인 교수. AIGA 디자인 교육자 커뮤니티(AIGA DEC) 운영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AIGA 내슈빌의 다양성과 포용성 책임자다. 그의 글은 흑인 문화와 아울러 정체성과 미학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다. -
플로렌시아 콜롬보
스위스에 거주하는 건축가 플로렌시아 콜롬보는 창의적인 방향으로 문화 프로젝트를 기획한다. 건축, 현대미술,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국제 기관을 위한 융합적인 학술 전시와 서적을 개발한다. -
최민영
KAIST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제품 디자인과 인터랙션 디자인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주)대우자동차 주임 디자이너, (주)데코스인터랙티브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인터랙션제품디자인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
구본창
사진 매체의 실험적 가능성을 개척해 온 국내의 대표 사진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독일 국립함부르크조형미술대학교에서 사진 디자인을 전공, 디플롬 학위를 취득했다. 1987년 알렉시오를 시작으로 에스콰이아, 논노 등의 브랜드 카탈로그와 이영희 한복, 진태옥 프랑소와즈, 이신우 오리지널리 등의 디자이너 화보를 촬영했다. 한국의 미의식을 드러낸 〈탈〉(2002)과 〈백자〉(2004) 연작을 포함해 2001년 로댕갤러리, 2002년 피바디에섹스박물관, 2006년 국제갤러리, 2010년 필라델피아미술관 등 국내·외에서 40여 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그의 작품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휴스턴 뮤지엄 오브 파인아트, 교토 가히츠칸 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리움미술관 등 다수의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다. 작품집으로는 『숨』 『탈』 『백자』를 비롯해 일본 라토루즈(ラトルズ)에서 출간된 『白磁』 『Everyday Treasures』 등이 있다. 계원예술대학교, 중앙대학교, … -
연세대학교 HCI Lab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치료하는 디지털 헬스 시스템에 대한 경험 디자인(UX Design)’을 중점 연구 주제로 한다. HCI Lab 사람들은 HCI 전문가로서 사람들에게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진정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경험 공학자(Experience Engineer)’들이다. -
김태화
영상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뒤 SBS디지털뉴스랩 작전콘텐츠팀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며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등 다양한 브랜드 및 콘텐츠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친환경 커머스 브랜드 175플래닛의 디자인도 겸하고 있다. -
알렉산드라 클로보우크
독일 레겐스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베를린바이센제미술대학교(Weißensee Kunsthochschule Berlin)에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매콤한 소스와 함께하는 이스탄불 여행(Istanbul, mit scharfe Soße?)』 『포르투갈 요리(Die portugiesische Küche-A Cozinha Portuguesa)』와 부흐쿤스트 재단(Stiftung Buchkunst)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Schönsten Deutschen Bücher)’으로 선정한 『플라스틱 바다(Polymeer, eine apokalyptische Utopie)』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이슬람(Der Islam für Kinder und Erwachsene)』 등이 있다. -
지요건축
김세진이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2015년 설립한 건축사사무소. 종이의 면으로 시작한 건축이 존재의 개별성과 감각의 보편성을 가지고 스스로 깊이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2016 서울시 공공건축가, 서울대학교 설계스튜디오에 출강한 바 있다. 체부동 생활문화센터 지명설계공모 당선, TSK 펠로우십 어워드(TSK Fellowship Award), 한국농촌건축대전 본상, 서울교육공간 디자인혁신 교육감 표창 등을 수상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보존과학자 C의 하루,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폴리전에 참여했다. -
강병근
건국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했고, 베를린공과대학교에서 건축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교수이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만들기 연구소장으로 있으며, 장애인 건축 관련 연구와 설계에 주력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편의 증진법 해설』 등이, 옮긴 책으로 『배리어 프리 건축·도시 계획론』 『1900년 이후의 근현대건축 1, 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