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브러시에 낀 먼지를 떼어낸다는 것은: 요리후지 분페이의 직업적 권태 탈출기

絵と言葉の一研究

Out of stock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가도 되는 걸까요.
그림과 언어로 찾아가는 분페이의 일 휴식기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다면』으로 좋아하는 일에 대한 태도를 전했던 요리후지 분페이가 개성 있고 유머러스한 빨간 색연필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돌아왔다. 이 책 『브러시에 낀 먼지를 떼어낸다는 것은』은 디자이너 요리후지 분페이가 일을 시작한 지 딱 10년이 되었을 때 찾아온 직업적 권태기를 그만의 디자인 공통항목인 그림과 언어로 풀어내며 작업과 생각을 정리한 책이다. 비단 회사원이 아니어도 보통 어느 한 일에 대한 고비는 3년 정도가 되면서부터 찾아온다고 말한다. 맡은 일에 대한 경험치가 생기면서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에 지루해지고 답답함을 느끼는 시기가 찾아오는 것이다. 이는 잘나가는 디자이너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요리후지는 이 책의 처음과 마지막에 ‘디자인은 하고 싶지만 디자이너를 그만두고 싶었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시점에서 잠시 멈춰 그만의 사적인 노트인 이 책을 만들며 휴식의 시간을 가졌고 잃었던 길을 하나하나 더듬어가면서 겹겹이 쌓여 있던 답답함을 조금씩 벗겨간다. 이 책은 직업적 권태기에 대한 명쾌한 답을 제시해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요리후지의 고민의 흔적과 일 휴식기를 따라가다 보면 흐릿하기만 했던 일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선명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는 불안의 시기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지 작은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의 마지막에는 실제로 직업적 권태기에 빠진 3년 차 직장인의 고민이 담겨 있다. 요리후지 분페이의 두 권의 한국어판 책을 디자인한 디자이너에게 찾아온 답답함의 시기. 모든 것을 놓아버리고 도망치고 싶었지만 이 책을 작업하며 그런 생각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오늘도 출근을 고민하고 아직도 길을 찾아가고 있는 날것의 고민을 읽다 보면 지금 드는 답답한 마음이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는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Yorifuji Bunpei

Book designer, illustrator, art director, and author, whose witty work is active in various fields. After dropping out of Musashino Art University’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epartment, he worked for the advertising company Hakuhodo. In 1988, he opened Yorifuji Design Office, and in 2000, he founded Bunpei Ginza, a limited company. In 2008, he won the 29th Kodansha Publishing Culture Award in the Book Design category for Life Miscellany Notebook and Designers Who Don’t Design. He received the Tokyo ADC Award and the Japan Typography Yearbook Award for his posters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the Japanese tobacco industry, which he created with copywriter KINYA Okamoto. His books include Death Catalog and Elemental Life and his books introduced in Japan include Earthquake, Measure of Numbers, Heaven of Change, and Doodle Master.

Seo Ha-na

A Japanese translator and publishing editor who hovers between language and print. She considers language to be design, translating Japanese into Korean and plans books. She has worked in architecture and interiors, and after studying in Japan, she worked as an editor at Ahn Graphics. She has translated Rojinryoku, Who Made 501XX?, The Mina Perhonen Design Journey: The Circulation of Memory, An Encyclopedia of Tokyo Hotels, The Original Scenery of Harajuku in the 1970s, Walking with the Designer’s Mind, Talking to the Body, Dancing with Language, Manual on Street Observation, Hyperart Thomason, Low-Altitude Flight, If You’re Doing What You Love into Korean, and wrote A Strangely Longing Feeling (co-authored).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