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이상 디자인 평론가로 활동한 전문가의 관록
디자인 비평 2기의 출발점에 서다
저자 최 범의 디자인 평론 역사는 유구하다. 그가 디자인 평론을 한 지 30년이 되던 해인 2021년에 6번째 디자인 평론집 『한국 디자인 뒤집어 보기』가 출간되었다. 그전에 편집장을 지낸 월간 《디자인》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한국 디자인 뒤집어 보기』를 내며 디자인 평론 1기를 마무리하고 2기로 넘어가는 전환점에 있는 것 같다는 소회를 밝혔다. 즉 『디자인과 인문학적 상상력』은 최 범의 디자인 비평 2기의 출발을 알리는 책인 셈이다. 그 시작은 디자인과 인문학의 만남이 장식하는데, 저자의 말마따나 “주제나 형식, 내용도 훨씬 자유롭고 다양”하며 지난 “여섯 권의 디자인 평론집에 비하면 인문학적 상상력이 더 자유롭게 펼쳐”진다. 이 책에 실린 20편의 글은 최신 현상만을 다루진 않는다. 하지만 30여 년이라는 기간을 디자인 비평에 쏟은 전문가의 날카롭고 다각적인 시선은 지나온 오랜 시간이 무색하게 동시대 디자인 현상에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이렇듯 최 범의 디자인 비평 2기는 지난 여섯 권의 평론집보다는 덜 묵직하게, 더 산뜻하게 시작함으로써 더 많은 독자에게 가닿고자 한다. 쉽게 읽히는 저자의 친절한 설명은 통찰력 있는 시선과 더불어 독자의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끌어올린다.
디자인과 인문학의 만남이란
디자인으로 인간사를 이해한다는 것
인간사의 각 시대는 인간을 다르게 이해했고, 가장 중요시하는 지점도 각기 달랐으며, 그에 따라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도 시대별로 천차만별이었다. 디자인과 인문학을 함께 논할 땐 인간을 위한 디자인이 아닌,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디자인을 논하는 것이다. 즉 디자인을 인간사의 역사적 전개와 관련지어 디자인이 어떤 성격을 띠고 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디자인 인문학은 디자인과 인문학의 관계와 비관계와 무관계를 동시에 들여다본다.”
저자는 디자인과 인문학의 “관계와 비관계와 무관계”를 돌아보기 위해 인문학을 문화, 사회, 역사, 윤리의 4가지 측면으로 나누고, 그 안에서도 지역적, 시대적으로 디자인과 사회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서술한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과 인문학의 유기적 연관성은 역으로 각 시대, 각 지역의 인간상을 드러내기도 한다. 한편, 「보론」에서 저자는 디자인이 인문학의 역사에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탐구하는 좀 더 깊은 시점으로 이동하는데, 디자인에 대한 그의 명료하고 비평적인 인문학적 상상력은 디자인을 바라보는 독자의 시야를 한층 확장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