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8년 북런던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고,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 지은 책으로 『빈자의 미학』(1996),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했다.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로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명예펠로십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했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2002)에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졌다. 미국·일본·유럽·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 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 있다. 한국 정부는 그의 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9월 2년간의 서울시 초대 총괄건축가 직무를 마쳤다.
사람들
승효상
다른 사람들
-
판화가 최경주의 프린팅 레이블이다. 다양한 창작자와의 협업을 통해 전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장르 간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한다.
-
김병조
고 김병조는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홍익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예일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홍익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 안그라픽스에서 나온 『타이포그래피 사전』의 공동 저자이며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기술적 문제」(2016년) 등을 발표했고 2017년에 벰비(Bemby), 2018년에 글립스 산스(Glyphs Sans) 등의 활자체를 디자인했다. 2021년 세상을 떠났다. -
신희경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시각 디자인과 디자인 이론을 전공했다. 일본 문부성 국비유학생으로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니혼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과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세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두 번의 개인전을 갖는 등 작품 활동을 병행한다. 문체부 세종도서에 선정된 공저 『제국미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 『고교 국정교과서 디자인 일반』 『기초조형 Thinking』 『2014 디자인백서』를 비롯해 2019년 일본에서 출간된 공저 『디자인에 철학은 필요한가(デザインに哲学は必要か)』(무사시노미술대학출판국)와 역서 『디자인학』 등 10여 권의 공저 및 역서가 있다.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교수이며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건축과 선(禪)의 철학을 전공했다. 한국 전통과 선(禪)의 사상으로부터 현대 미학을 가로지르는 생각으로 건축 설계와 디자인, 회화와 글 쓰는 작업을 해왔다. 「명묵의 건축」 「노자와 공간조형사상」 등 동양의 건축 미학에 관한 저서와 현대 건축의 미학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대표 건축으로는 〈이함캠퍼스〉 〈경주 동국대학교 선센터〉 〈한칸집〉 〈국민대학교 명원박물관〉 〈건명원〉 등이 있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한국건축가협회상, 대한민국 디자인 대상, 문화관광부 선정 올해의 우수도서상 등을 수상했다. -
안병학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 관심을 두고, 타이포그래피적 토대에서 디자인과 주변 영역이 만나는 경계를 탐험한다. 시각문화 실험집단 진달래 멤버로 활동했고, 개인전 〈조각의 나열 혹은 구경거리〉(2014)와 〈Juxtaposition〉(2013)을 열었으며, 〈5회 타이포잔치: 몸과 타이포그래피〉(2016-2017), 〈1회 공공디자인페스티벌 주제전시: 길몸삶터〉(2022), 〈디자인코리아〉(2024) 총감독을 지냈다. 코르푸스(Corpu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디자인을 가르친다. -
제임스 크레이그
쿠퍼유니언에서 학사를, 예일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25년이 넘게 왓슨겁틸 출판사의 자인 디렉터였으며, 1979년도부터 쿠퍼유니언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책을 쓰고 강의를 하는 것과 더불어, 크레이그는 유명한 웹사이트 www.designingwithtype.com을 만드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타입디렉터스클럽, 뉴욕아트디렉터스클럽, 타이포필, 국제타이포그래피어소시에이션의 회원이다. -
현대자동차
세계 200여 개국에 자동차를 수출하고 글로벌 생산기지를 건설한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로, 한국 최초로 독자 모델 포니를 개발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차를 출시하고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를 론칭해 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선도적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견인한다. ‘인류애를 향한 진보’를 목표로 기술의 진화를 실현하며 인류를 위한 더 나은 방향을 모색 중이다.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과 평화로운 삶’이라는 인류의 꿈을 함께 실현해 나가고, 그 결실을 전 세계 모든 고객과 나누면서 사랑받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
폴 랜드
1914–1996. 그래픽 디자이너, 아트디렉터, 북 디자이너, 어린이 책 작가, 디자인 교육자. 미국으로 이주해온 유태계 2세대로 프랫인스티튜트와 파슨스디자인스쿨에서 공부했다. 매체 홍보와 잡지 표지 디자인을 시작으로 광고대행사 아트디렉터, 패키지, 북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피 등 폭넓은 작업을 했으며 IBM, ABC, UPS, NexT 사 등 많은 기업의 로고를 디자인했다. 디자인 교육에도 힘써, 프랫인스티튜트와 쿠퍼유니언, 예일대학교, 일본 다마미술대학교, 필라델피아아트스쿨, 뉴욕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뉴욕아트디렉터스클럽 베스트아트디렉터10 및 명예의전당 입성, 미국그래픽디자인협회 금상 수상, 영국 왕립예술학회 RDI상 , TDC상 등 많은 영예로운 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폴 랜드의 트레이드마크』 『폴 랜드: 그래픽 디자인 예술』 『디자인, 형태, 그리고 혼돈』 『폴 랜드 미학적 경험: 라스코에서 브루클린까지』 등이 있다. -
최철용
최철용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섬유 미술과 패션 디자인을 공부했으며, 밀라노 도무스 아카데미에서 디자인과 아트의 경계에 관해 연구했다. 이탈리아 멜팅팟(Meltin’pot), 벨기에 랭글러블루벨(Wrangler Blue Bell), 이탈리아 마르텔리(Marteli) 등 유럽 패션 브랜드에서 패션 디자이너 및 아트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2009년 귀국해 브랜드 씨와이초이(Cy Choi)를 론칭했다. 씨와이초이는 파리에서 18회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서울패션위크에 10회 참가했으며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를 2회 수상했다. 2014년 《아레나》 선정 ‘올해의 패션 디자이너’, 2010년 이탈리아 《보그》 선정 ‘주목할 만한 신인’으로 뽑히기도 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씨와이초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 중이다. -
마이크 에번스
마이크 에번스는 데카에서 싱글 두 장을 발표하고 캐번 클럽에서 활동했던 뮤지션이었다. 1969년에는 리버풀 음악 신에서 활동하며 레드 제플린과 밥 딜런의 서포트 밴드로 무대에 섰다. 이후로는 영역을 옮겨 라디오에서 활동하며 『사운즈』 『멜로디 메이커』 『가디언』 등의 잡지에 글을 기고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음악과 영화, 패션에 관한 도서를 60권 이상 집필하고 편집했다. -
고현선
토스의 그래픽 디자이너. 토스의 모든 비주얼 영역을 기획하고 제작한다. 이모지 폰트인 ‘토스 페이스’를 기준으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확산하여 토스 그래픽의 시각적 일관성에 집중하고 있다. -
이일
이일은 미술 비평가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미술계에 미술비평과 평론이라는 개념을 인식시키고 자리잡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932년 평안남도 강서에서 출생했으며,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재학 중 ‘문리문학회’를 조직하고 시인으로 등단하는 등 문학청년으로 활동했다. 대학을 중퇴한 뒤 1956년 프랑스로 유학, 소르본대학교에서 불문학 미술사학 수료하고 『조선일보』 주불 파리특파원으로 활동했다. 1966년 귀국해 홍익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68년 『동아일보』 미술 전담 집필자로 위촉되었다. 1969년 한국아방가르드협회 창립 멤버로 『AG』를 창간했으며 1970년 《AG전》 전시 서문에서 ‘확장과 환원’이라는 화두를 제시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양상에 명쾌한 해석을 가했는데, 이 용어는 이후 ‘환원과 확산’으로 변경되어 이일 미술비평을 대표하는 개념어가 되었다. 도쿄 《국제 판화 비엔날레》 국제심사위원(1972), 《파리 비엔날레》 한국 커미셔너(1975), 프랑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