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8년 북런던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고,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 지은 책으로 『빈자의 미학』(1996),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했다.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로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명예펠로십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했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2002)에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졌다. 미국·일본·유럽·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 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 있다. 한국 정부는 그의 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9월 2년간의 서울시 초대 총괄건축가 직무를 마쳤다.
사람들
승효상
다른 사람들
-
『포르투갈, 시간이 머무는 곳』 『스페인 미술관 산책』을 썼고 프라도미술관 등 스페인의 미술관과 유적지의 한국어 가이드를 번역했다. 현재 포르투갈에서 산다.
-
구모아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책임 연구원이자 팀장. 「산돌 늦봄」, 마루 프로젝트 「마루 부리」, 87MM 브랜드 전용 글꼴 「일상체」등 여러 글자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최정호 스크린〉을 시작으로 화면과 글꼴에 대한 연구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예를 바탕으로 한 글자체 디자인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
칸타이킁
1957년에 홍콩으로 이주해 홍콩 중국대학에서 응용디자인 전공했다. 1993년 <아이디어>지의 ‘세계100대 그래픽 디자이너’에 선정되었다. 현재 AGI 회원이자 베이징 중앙 미술 인스티튜트의 객원교수이며, Kan & Lau Design Consultants의 대표다. 벨기에 국제 트레이드마크 센터의 명예대사, 홍콩 미술박물관 명예고문을 맡고 있다. -
김유영
연세대학교 HCI Lab에서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 디지털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주식회사 하이(HAII)와 함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 치료를 하는 디지털 치료제의 기획·개발·임상을 진행 중이다. 디지털 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A–Z를 직접 경험했을 뿐 아니라, 어떻게 하면 환자들이 더 잘, 지속적으로 디지털 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연구한다. 공저로 『디지털 치료제 혁명: 제3의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모든 것』(클라우드나인, 2022)을 집필했다. -
김민정
『까사리빙』부터 월간 『디자인』까지 다양한 잡지의 에디터로 일했다. 잡지의 잡다함을 좋아하고 디자인을 언어로 구현하는 법에 관심이 많으며 콘텐츠를 기획하고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한다. 현재 그란데클립에서 발행하는 매거진 『C』 편집장을 맡고 있다. -
김종균
서울대학교 산업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학 박사를 마쳤다. 현재 특허청에서 행정사무관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디자인』 『디자인전쟁』 등의 저서와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국 디자인 역사 및 브랜드와 디자인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논문을 다수 발표하고 여러 매체에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글을 쓴다. -
김은혜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다 원서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일본어 번역의 매력에 빠져 번역 세계에 들어오게 되었다. 글밥 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1등은 당신처럼 팔지 않는다』 『신경 청소 혁명』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역사 1, 2』 『뱃살이 쏙 빠지는 식사법』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나의 첫 불렛저널』 『모세혈관, 건강의 핵심 젊음의 비결』 『로봇 시대에 불시착한 문과형 인간』 『천연약』 등이 있다. -
고야마 류스케
일본의 비즈니스 컨설팅 및 인재 육성 회사인 블룸콘셉트의 대표이사이자 콘셉트 크리에이터다. 교토대학에서 철학과 미학미술사를 공부했고, 광고대행사를 거쳐 미국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쇼치쿠의 프로듀서로서 가부키를 테마로 신규 사업을 시작했다. 2008년 회사를 그만둔 이후 재택근무를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을 펼칠 기회로 삼아 2010년 블룸콘셉트를 설립했고 대학 교수, 대기업 및 지방자치단체의 프로젝트 자문 및 기업 설립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재택근무를 통해 다양한 경력을 쌓은 것 외에도 대학원에 진학해 교토조형예술대학에서 현재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Life Hacks 계열의 책뿐 아니라 동기부여, 비즈니스 모델 등과 관련된 전문 서적도 여러 권 펴냈다. -
채희준
계원예술대학교에서 한글타이포그래피를 전공했다. 폰트를 생산하는 일에 집중하며 디자인 스튜디오 포뮬러(FORMULA)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청월」 「청조」 「초설」 「고요」 「신세계」 「탈」 「클래식」 「기하」 「오민」을 출시했고, 미세한 차이를 감지하고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글자체를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
박금준
그래픽 디자이너. 601비상 대표. 국제그래픽연맹(agi) 회원. 1988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1999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2002–2005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 1993–1997년 제일기획 커뮤니케이션아트팀 아트 디렉터, 1988–1992년 쌍용그룹 홍보실 디자이너로 일했다. -
플러 왓슨
RMIT 대학교 건축 및 디자인 학부의 부교수이며 협력적 큐레토리얼을 실천하는 스튜디오 섬싱 투게더(Something Together)의 창립 이사다. 비영리 조직 오픈하우스멜버른의 사무국장 겸 수석 큐레이터를 지냈으며 현재 이사회 임원이다. RMIT 디자인허브갤러리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며 디자인 실험, 프로세스, 리서치에 대한 전시 프로그램을 공동 감독하기도 했다. 리옹하우스뮤지엄갤러리의 창립 수석 큐레이터, 빅토리아국립미술관에서 열린 〈멜버른 나우〉의 초청 건축 큐레이터, 유럽 문화 수도(슬로베니아 마리보르, 2012)의 프로그램 큐레이터(건축) 등 오스트레일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책임 큐레이터를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언리미티드: 아시아–태평양을 위한 디자인’, 스테이트 오브 디자인 페스티벌을 비롯한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며 독립 갤러리 핀업아키텍처&디자인프로젝트스페이스를 공동 창립했다. 《모뉴먼트》의 전 편집장을 지냈으며 에드먼드&코리건의 『희망의 도시: … -
김선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를 졸업하고 프랫 인스티튜트 대학원 산업디자인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SADI(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기조과정 교수를 거쳐 1999년 이후 미국 뉴욕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Parsons School of Design)과 프랫 인스티튜트 산업디자인과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의 기초과정에서 입체조형을 강의하며, 로웨나 리드 코스텔로(RRK) 재단 워크숍 디렉터를 맡아 워크숍 진행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RRK 재단과 프랫 인스티튜트의 지원으로 기초조형 워크숍을 진행했다. 2011년 봄 학기에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과 객원교수로 초빙되었다. 지금까지 디자인 분야의 교수 워크숍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을 위한 체계적인 기초조형 교육 원리를 보급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