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8년 북런던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고,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 지은 책으로 『빈자의 미학』(1996),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했다.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로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명예펠로십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했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2002)에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졌다. 미국·일본·유럽·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 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 있다. 한국 정부는 그의 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9월 2년간의 서울시 초대 총괄건축가 직무를 마쳤다.
사람들
승효상
다른 사람들
-
판화가 최경주의 프린팅 레이블이다. 다양한 창작자와의 협업을 통해 전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장르 간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한다.
-
얀 미덴도르프
네덜란드의 작가이자 독일에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국제적 디자인 잡지 《아이》 《베이스라인》 《아이템스》 등에 다양한 글을 실었고, 폰트 회사 폰트숍, 뤼카스폰트, 라이노타입, 마이폰트 등에서 편집자와 컨설턴트로 일했다. 벨기에, 두바이, 베네수엘라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초빙 교수로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쳤고, 현재 네덜란드 플랑탱인스티듀트와 독일 바이센제예술대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텍스트와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해 『한 줄의 활자』 『내 것이 저만치 가네』 『네덜란드 활자』 등이 있다. -
정경원
디자인 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디자인진흥원장과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디자인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상하고 1976년 추천 디자이너로 데뷔했다. 1984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부임해 산업디자인학과의 설립을 주도한 이래로 현재까지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카드, 홈플러스, 롯데건설 등 국내 유수 기업의 디자인 경영 자문위원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1995년부터 4년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의 집행위원을 지냈고 1996년 세계화추진위원회에서 ‘디자인 산업 세계화 방안’을 세웠다. 디자인 전문가로서는 최초로 2000년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원장에 선입되어 코리아디자인센터를 건립하고 … -
정의태
한양대학교 ERICA 융합디자인학부와 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부 교수. UX·UI 디자인, 웹 퍼블리싱, 지역사회 기역 프로젝트,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 방법론 등을 강의하며 여러 기관 및 기업과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외국인, 이주민, 노약자, 장애인, 유학생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유비호
2000년 첫 개인전 〈강철태양〉 이후 동시대 예술가들과 전시기획자들 그리고 미디어 사회연구자들과 함께 미디어로서 긴밀히 연결된 사회에서 새로운 예술적 활동들을 실행하기 위해 〈해킹을 통한 미술행위〉(2001), 〈 Parasite-Tactical Media Networks〉(2004–2006) 등을 공동 조직하고 연구하며 활동해 왔다. 또한 이 활동들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이전 사회와 차별화되어 나타나는 동시대의 다양하고 특별한 사건들과 상황들을 들여다보기 위한 내밀한 미적 질문들을 던지고자 〈극사적 실천〉(2010), 〈공조탈출〉(2010), 〈트윈픽스〉(2011), 〈해 질 녘 나의 하늘에는〉(2015), 〈Letter from the Netherworld〉(2018), 〈미제〉(2020)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그 외 주요 기획전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국립현대미술관, 2019), 〈경계들〉(쿤스트라움 크르즈 베르그 베타니엔, 2018), … -
박영원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고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과 아트인스티튜트오브시카고(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대학원에서 광고디자인과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일리노이주립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에서 사인과 심벌을 수학하면서 디자인 연구의 기호학적 접근을 시도했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시각적 유머를 기호학으로 연구하여 미술학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전력공사, 문화방송, 조흥은행, 칠성사이다, 논산시, 청주시, 충청북도, 인공위성 연구센터의 CIP 디자인에 참여했으며, 관세청, 조달청 등에서 이미지 개선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조형예술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케임브리지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아시아학부 객원 연구원으로 영국과 동아시아의 시각 문화에 대해 연구했다. 현재 중국 루쉰미술학원의 객좌교수이자 홍익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교수로서 기호학, 시각 … -
에릭 슈피커만
1947년 독일의 하노버 근교에서 태어났다. 스스로를 활자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픽 디자이너라고 부른다.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예술사를 전공했으며 집 지하실에 인쇄소를 차려 놓고 금속 활자를 조판하는 일로 학비를 벌었다. 7년 동안 런던에서 프리랜스 디자이너로 일한 다음 1979년에 베를린으로 돌아갔다. 그래서 설립한 것이 메타디자인(Meta Design)으로, 2000년경에는 200명 이상의 직원을 거느린 독일 최대의 디자인 회사로 성장했다. 1992년에 동업자 빌 힐(Bill Hill), 테리 어윈(Terry Irwin)과 함께 메타디자인 샌프란시스코 지사를 세웠고, 1995년에는 런던 지사를 오픈했다. 어도비시스템즈, 애플, 아우디, 베를린트랜지트, 뒤셀도르프국제공항, IBM, 나이키, 스코다, 렉서스, 하이델베르그프린팅머신스, 폭스바겐 등 전 세계에 클라이언트를 두었다. 활자 디자인에 발을 담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에 버트홀드도서관의 옛 주조활자체들을 재도안하면서부터다. … -
정진욱
대학에서 미학을 전공했다. 보이지 않는 음악을 짓고 채보하는 음악가들을 부러워한다. 사랑하는 마음도 음악 같다고 믿는다. 삶이 흔들릴 때마다 이미 쓰인 삶에 기대지 않고 앞으로의 삶을 더 선명하게 연주하 기 위해 불안한 마음으로 불완전한 문장들을 기보하듯 적어 내린다. 미니멀리스트를 위한 독립 매거진 《ESSAI》의 발행인이며 지은 책으로는 『사랑의 에튀드』가 있다. -
박소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동남아시아학을 공부했다. 『갈색의 세계사』 『가난을 팝니다』 『아름다움 그것은 상처』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
알렉산드라 클로보우크
독일 레겐스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베를린바이센제미술대학교(Weißensee Kunsthochschule Berlin)에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매콤한 소스와 함께하는 이스탄불 여행(Istanbul, mit scharfe Soße?)』 『포르투갈 요리(Die portugiesische Küche-A Cozinha Portuguesa)』와 부흐쿤스트 재단(Stiftung Buchkunst)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Schönsten Deutschen Bücher)’으로 선정한 『플라스틱 바다(Polymeer, eine apokalyptische Utopie)』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이슬람(Der Islam für Kinder und Erwachsene)』 등이 있다. -
카를 게르스트너
카를 게르스트너(1930–2017, 스위스 바젤)는 다방면에 걸친 교육을 받고 비판적 사유를 펼친 인물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 분야를 혁신하며 1950년 이후 스위스 대표 디자이너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는 디자이너 이상의 존재였다. 예술가로서 체계적인 색채와 형태 언어를 구축했고, 1950년대 중반에는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예술에 관한 책을 낸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광고 에이전시 디렉터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9년 그래픽 스튜디오를 설립했고, 스위스 화학기업 시바-가이기Ciba-Geigy의 의뢰로 디자인 작업을 시작했다. 막스 슈미트와 함께 ‘가이기 스타일’을 창안했고, 이 과정에서 마르쿠스 쿠터를 만나 1959년 게르스트너 + 쿠터 광고 에이전시를 세웠다. 파울 그레딩거가 합류하면서 1963년에는 전설적인 광고 에이전시 GGK가 탄생했다. 1970년대 GGK는 스위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광고 에이전시로 자리 잡았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 지사를 열었다. … -
박영춘
연세대학교에서 세라믹공학, 미국 UArts(前 Philadelphia College of Art)에서 공업 디자인을 전공했으며, 헬싱키경제경영대학(Helsinki School of Economics) 경영학 석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 박사이다. 뉴욕 디자인 전문회사 IDI(Innovations and Development Inc.)에서 시니어 디자이너, 데스키 어소시에이츠deskey associates에서 디자인 디렉터를 지냈다. 미국 파슨스미술대학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제품 디자인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1995년 귀국해 현재 삼성디자인학교 SADI 제품 디자인 학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