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8년 북런던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고,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 지은 책으로 『빈자의 미학』(1996),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했다.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로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명예펠로십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했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2002)에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졌다. 미국·일본·유럽·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 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 있다. 한국 정부는 그의 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9월 2년간의 서울시 초대 총괄건축가 직무를 마쳤다.
사람들
승효상
다른 사람들
-
푸하하하프렌즈는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세 명의 소장과 여섯 명의 동료로 구성된 건축설계 사무소다.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셋은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dmp)에서 만나 동료로서 인연을 맺었으며 2013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도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작업을 보여준다. ‘2019 젊은건축가’로 선정되었다.
-
이정국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에머슨칼리지 발도르프 교사 양성 과정과 시각예술 과정을 졸업했다. -
찰스 왈쉬레거
그래픽 디자이너.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명예교수. -
고현선
Graphic designer at Toss. Plans and creates all visual aspects of Toss. She focuses on the visual consistency of Toss graphics by establishing and spreading a visual identity based on the emoji font “Toss Face”. -
미트라 레이하니 가딤
LCAT, ATR-BC. 창의미술치료 석사, 시각예술 석사, 미술치료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주 면허를 소지한 공인 미술치료사, 연구자, 작가 및 교육자다. 현재 뉴욕주 정신보건국의 사가모어아동정신건강센터에서 미술치료사로 근무한다. 약 10년간 정규 뮤지엄 미술치료사로 일하며 퀸스박물관의 아트액세스 프로그램 및 자폐주도팀과 나소카운티미술관에서 헌신적으로 임했다. 또한 마운트시나이사우스나소 행동분과 입원 병동 같은 성인 임상 환경과 지역사회 노인 프로그램에서 일하고, 리빙뮤지엄의 상주 예술가로도 활동했다. 뮤지엄, 지역사회, 임상 치료 환경에서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 장애가 있는 어린이 및 성인들과 함께하며 다년간 경험을 쌓았다. 현재 뉴욕 호프스트라대학교와 LIU포스트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
김수정
한남대학교 철학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광고디자인학과를 졸업했다. 상출판사에서 창작 그림책과 그림책 전문 잡지 《그림책상상》을 편집·기획했으며, 제1회 CJ그림책축제 기획팀장과 제1, 2회 1차 심사위원을 맡았다. 현재 수정에디션의 대표로, 2010년부터 지금까지 그림책 원화 전시와 그림책을 기획하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꼭두일러스트교육원, 상상마당아카데미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세계 문화가 담긴 다른 그림 찾기』 1, 2와 『심부름 말』 등이 있다. -
김태일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동아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学)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효고현(兵庫県) 장수사회기구 연구원, 경남기업 실버사업부 과장으로 근무했다. 전공 분야는 고령자시설계획이며, 지역사회 기반의 고령자 정주 환경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제주지역 연구자로서 제주라는 땅 위에 축적된 흔적과 가치, 더 나아가 공존하는 도시 건축의 지향점을 지속적으로 탐색 중이다. 다수의 강연과 언론 기고를 통해 건축 문화의 대중화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령화사회의 주거공간학』 『제주도시건축을 이야기하다』 등이 있다.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건축의 영역을 기술에서 철학으로 확장한 세계적인 건축가다.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200채 이상의 건축물을 설계하고 지었으며, 이 가운데 상당수가 건축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화학, 물리학, 수학을 공부했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수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건축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에서 전산학, 교통이론을 연구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인지과학을 연구했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1967년 환경구조센터(Center for Environmental Structure)를 설립해 지금까지 그 회사의 … -
천난
칭화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이자 박사 지도 교수이며 중국 고문자예술연구센터 상임부주임과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부주임 그리고 디자인학 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미술가협회 회원으로 베이징공업디자인촉진회 이사이며,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뛰었다. 또한 ‘한자의 미(美)’ 글로벌 유스 디자인 콘테스트(The Beauty of Chinese Characters’ Global Youth Design Contest)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분야 총의장을 맡았으며 파리 유네스코 본부의 초청을 받아 한자 디자인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최초의 갑골문 디자인 폰트 및 초서 디자인 폰트를 설계했으며, 연구형 디자인 교육의 학습과 실천 및 ‘율격(律格) 디자인’ 이론을 주창했다. 2017년 베이징에서 ‘리크리에이트 갑골(Recreat Oracle)–현대 디자인 맥락 속의 상고(上古) 문자’ 전시를 열었으며 2018년 후베이미술관에서 연 ‘한자·율격–천난의 한자 예술 디자인관(觀)’으로 … -
강현주
서울대학교와 스웨덴 콘스트팍(Konstfack)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고, CI 전문회사인 올커뮤니케이션에서 일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디자인사 연구』와 『한국디자인사 수첩: 한국의 폴 랜드, 조영제를 인터뷰하다』가 있고, 논문으로는 「세대변천과 기업 디자인의 변화」 「한홍택 디자인의 특징과 의미: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전사(前史)」 「김교만과 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88서울올림픽에서 조영제의 역할과 영향」 「안상수가 한국 그래픽 디자인 문화생태계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 -
이규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했다. 오랜 기간 편집자로서 일하며 과학, 인문, 역사 등 여러 분야의 책을 기획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를 비롯해 『마쓰모토 세이초 걸작 단편 컬렉션』 『알래스카, 바람 같은 이야기』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등을 비롯해 80여 권이 있다. -
길다 윌리엄스
1994–2005년까지 파이돈프레스(Phaidon Press)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현재 《아트포럼(Artforum)》의 런던 특파원이며 런던골드스미스대학교(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와 소더비인스티튜트오브아트(Sotheby’s Institute of Art)에서 강의를 맡고 있다. 《플래시아트 인터내셔널(Flash Art International)》의 편집장을 지냈으며, 《테이트 Etc.(Tate Etc.)》 《파케트(Parkett)》《아트 먼슬리(Art Monthly)》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 《타임아웃(Timeout)》 등 여러 매체에 기고했다. 화이트채플아트갤러리(Whitechapel Art Gallery),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Stedelijk Museum Amsterdam) 등의 전시회 카탈로그 제작에도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상한 날들(Strange Days: Britis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