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취리히에서 출생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취리히에서 졸업하고 식자공 직업교육을 마친 후 파리에서 유학했고, 파리스위스산업회Cercle Commercial Suisse de Paris에서 프랑스어 학위를 받았다. 이후 취리히 출판사에서 광고 인쇄 책임자로 일했다. 취리히예술산업학교Kunstgewerbeschule Zürich의 조판 및 활판인쇄 주간반을 다녔으며 알프레드 빌리만Alfred Willimann(1900–1957)과 발터 케흐Walter Käh(1901–1970)로부터
타이포그래피를 배운다. 1942년 바젤산업학교(AGS Basel)의 상임 타이포그래피 전공 교사로 임명되었다. 1947년 같은 학교의 제3부(예술산업 직업교육부)에 활판인쇄 전문반을 개설, 이곳의 책임자가 된다. 1948년 스위스공예협회(SWB)의 바젤 지부장을 맡았다. 1956년 스위스 산업 박람회의 「Die gute Form(좋은 형태)」 심사위원이었으며, 스위스공예협회의 중앙이사회 회원으로 (게오르크 슈미트의 뒤를 이어) 선출되었다. 같은 협회의 운영위원회 회원으로도 일했다. 1959년 ATypI(국제타이포그래피협회) 스위스 대표로 활동했다. 1961년 스위스 응용예술연방위원회에서 (베르흐톨트 폰 그뤼니겐의 뒤를 이어) 위원이 됐으며, 스위스 우편전신전화국의 우표 제작부 예술 고문으로 활동했다. 1962년 뉴욕 ‘국제타이포그래피예술센터(ICTA)’을 공동 설립하고, 1965년 바젤산업학교 교장 및 산업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1966년 스위스공예협회의 두 번째 회장이 됐다.
1967년 스위스의 니끌리 출판사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출간하고, 1968년 바젤산업학교 그래픽 디자인 고등과정을 아르민 호프만과 함께 창설했다. 1970년 바젤에서 눈을 감았다.
사람들
에밀 루더
Emil Ruder
다른 사람들
-
언어와 활자 사이를 유영하는 일한 번역가, 출판 편집자. 언어도 디자인이라고 여기며 일본어를 우리말로 옮기고 책을 기획해 만든다. 건축과 인테리어 분야에 있었으며 일본 유학 후 안그라픽스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노인력』 『501XX는 누가 만들었는가』 『미나 페르호넨 디자인 여정: 기억의 순환』 『도쿄 호텔 도감』 『1970년대 하라주쿠 원풍경』 『디자이너 마음으로 걷다』 『몸과 이야기하다, 언어와 춤추다』 『노상관찰학 입문』 『초예술 토머슨』 『저공비행』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다면』 등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이상하게 그리운 기분』(공저)을 썼다.
-
한실
뒤죽박죽된 우리말에 눈을 떠 죽어가는 우리말을 살려내고 어려운 한자말을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우리말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일을 했다. 노사라사(경북) 고장 사바라(상주) 고을 수리메(속리산) 기슭에 마음닦는마을(명상센터)을 꾸려, 누구라도 마음을 닦아 괴로움에서 벗어나 흐뭇하고 홀가분한 삶을 살도록 돕는 마음닦기(명상)를 이끈다. <푸른누리>를 일구어 뭇 목숨과 함께 누리벼리(자연법칙)에 맞게 사는 삶을 살며 메와 들에 저절로 자라는 먹을거리로 살림을 꾸린다. 일찍이 일하는 사람들이 나라 임자가 되도록 하고 갈라진 겨레를 하나로 잇는 일을 하였다. -
서승연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동 예술·디자인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했으며, 홍익대학교에서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콤텍시스템, ㈜수목 A&A, ㈜디안 등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상명대학교, 단국대학교, 경기대학교, 평택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 유한대학교 등에서 타이포그래피 및 편집 디자인 관련 교과목을 강의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한국디자인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등에서 다양한 연구 및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 디자인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디자인 문법』 『타이포그래피 사전』 『디자인으로 문화 읽기』 등이 있다. -
윤호섭
환경 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그린 디자이너 1호.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과 명예 교수로 디자인과 환경, 교육과 환경을 접목하는 작업을 개척해 가며 학생 및 민간 단체의 환경 운동을 지원하는 디자인 작품을 개발, 제공한다. 『윤호섭』 『녹색 캠퍼스를 꿈꾸며』 등의 책을 썼다. -
구레사와 다케미
1966년 출생. 게이오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했다. 도쿄공과대학교 디자인학부 준교수. 미술잡지 《미술수첩》이 주관하는 미술평론모집에서 입선하며 평론계에 발을 들였다. 현재 예술, 건축, 디자인, 서브컬처 등 분야를 넘나드는 폭 넓은 집필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는 『미술관의 정치학(美術館の政治学)』 『풍경이라는 이름의 허구(「風景」という虚構)』 『미술관은 어디에?(美術館はどこへ?)』 『현대 미술을 이해하는 크리티컬 워드(現代美術を知るクリティカル・ワーズ)』 『박물관이 하는 일』 『비엔날레의 현재(ビエンナーレの現在)』 『예술을 쓰다!(アートを書く!)』 등이 있다. -
카를 게르스트너
카를 게르스트너(1930–2017, 스위스 바젤)는 다방면에 걸친 교육을 받고 비판적 사유를 펼친 인물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 분야를 혁신하며 1950년 이후 스위스 대표 디자이너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는 디자이너 이상의 존재였다. 예술가로서 체계적인 색채와 형태 언어를 구축했고, 1950년대 중반에는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예술에 관한 책을 낸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광고 에이전시 디렉터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9년 그래픽 스튜디오를 설립했고, 스위스 화학기업 시바-가이기Ciba-Geigy의 의뢰로 디자인 작업을 시작했다. 막스 슈미트와 함께 ‘가이기 스타일’을 창안했고, 이 과정에서 마르쿠스 쿠터를 만나 1959년 게르스트너 + 쿠터 광고 에이전시를 세웠다. 파울 그레딩거가 합류하면서 1963년에는 전설적인 광고 에이전시 GGK가 탄생했다. 1970년대 GGK는 스위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광고 에이전시로 자리 잡았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 지사를 열었다. … -
김난주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쇼와여자대학(昭和女子大学)에서 일본 근대 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 문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냉정과 열정 사이: 로소(冷靜と情熱のあいだ: Rosso)』 『키친(キッチン)』 『박사가 사랑한 수식(博士の愛した數式)』 『겐지 이야기(源氏物語)』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별을 담은 배(ほしぼしのふね)』 『신참자(新參者)』 등이 있다. -
박영춘
연세대학교에서 세라믹공학, 미국 UArts(前 Philadelphia College of Art)에서 공업 디자인을 전공했으며, 헬싱키경제경영대학(Helsinki School of Economics) 경영학 석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 박사이다. 뉴욕 디자인 전문회사 IDI(Innovations and Development Inc.)에서 시니어 디자이너, 데스키 어소시에이츠deskey associates에서 디자인 디렉터를 지냈다. 미국 파슨스미술대학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제품 디자인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1995년 귀국해 현재 삼성디자인학교 SADI 제품 디자인 학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후지모리 데루노부
1946년 나가노현 지노시에서 태어났다. 건축사학자, 건축가로 근대건축의 문헌 연구를 위해 1974년부터 연구실 동료 호리 다케요시(堀勇良)와 도쿄 도내의 근대건축 현장 조사를 시작했고 이후 다른 멤버들도 합류하면서 ‘도쿄건축탐정단(東京建築探偵団)’이라는 이름으로 『근대건축 가이드북: 간토 편』을 발행했다. 지은 책으로는 『메이지 시대의 도쿄 계획』 『건축탐정의 모험: 도쿄 편』 『일본의 근대 건축』 상·하 등이 있으며 한국에 소개된 책으로는 『인문학으로 읽는 건축 이야기』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세계의 불가사의한 건축 이야기』가 있다. -
에도 스미츠하위전
정부와 기업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다수의 중요한 대규모 아이덴티티 및 사이니지 프로젝트에서 디자인 책임자로 일했다. 그의 디자인 작업은 네덜란드 그래픽 디자인의 독특한 위상 정립에 일조한 바 있다. 저자가 개발한 기능별 종합 사이니지 패널 시스템은 디자인 클래식으로 자리 잡았고 지난 23년간 전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
레나테 멘치
취리히예술대학교(Zurcher Hochschule der Kunste)과 예루살렘 브살렐미술디자인아카데미(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와 베를린훔볼트대학(Humboldt-Universitat zu Berlin)에서 제품 디자인과 문화학을 공부했다. 현재 취리히디자인미술관(Museum fur Gestaltung Zurich) 큐레이터로 일하며 스위스연방기술원(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
이원식
포스코건설 브랜드매니저. 세계 최대의 브랜드 컨설팅 회사인 인터브랜드(Interbrand)를 거쳐 현재 포스코건설의 브랜드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지금까지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삼성테스코, 아모레퍼시픽 등 여러 기업을 위해 디자인과 브랜드의 전략적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컨설팅을 수행해왔다.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지식서비스분야 과제기획팀 위원(2011)과 코레일 디자인심의위원회 서비스디자인분야 심의위원(2012-2013)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국 샐퍼드대학교(University of Salford)에서 디자인경영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DMI(Design Management Institute) 및 국내 주요 디자인 학회에 논문을 게재했다. 지은 책으로 『서비스디자인 시대』, 옮긴 책으로 『디자인 인 비즈니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