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취리히에서 출생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취리히에서 졸업하고 식자공 직업교육을 마친 후 파리에서 유학했고, 파리스위스산업회Cercle Commercial Suisse de Paris에서 프랑스어 학위를 받았다. 이후 취리히 출판사에서 광고 인쇄 책임자로 일했다. 취리히예술산업학교Kunstgewerbeschule Zürich의 조판 및 활판인쇄 주간반을 다녔으며 알프레드 빌리만Alfred Willimann(1900–1957)과 발터 케흐Walter Käh(1901–1970)로부터
타이포그래피를 배운다. 1942년 바젤산업학교(AGS Basel)의 상임 타이포그래피 전공 교사로 임명되었다. 1947년 같은 학교의 제3부(예술산업 직업교육부)에 활판인쇄 전문반을 개설, 이곳의 책임자가 된다. 1948년 스위스공예협회(SWB)의 바젤 지부장을 맡았다. 1956년 스위스 산업 박람회의 「Die gute Form(좋은 형태)」 심사위원이었으며, 스위스공예협회의 중앙이사회 회원으로 (게오르크 슈미트의 뒤를 이어) 선출되었다. 같은 협회의 운영위원회 회원으로도 일했다. 1959년 ATypI(국제타이포그래피협회) 스위스 대표로 활동했다. 1961년 스위스 응용예술연방위원회에서 (베르흐톨트 폰 그뤼니겐의 뒤를 이어) 위원이 됐으며, 스위스 우편전신전화국의 우표 제작부 예술 고문으로 활동했다. 1962년 뉴욕 ‘국제타이포그래피예술센터(ICTA)’을 공동 설립하고, 1965년 바젤산업학교 교장 및 산업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1966년 스위스공예협회의 두 번째 회장이 됐다.
1967년 스위스의 니끌리 출판사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출간하고, 1968년 바젤산업학교 그래픽 디자인 고등과정을 아르민 호프만과 함께 창설했다. 1970년 바젤에서 눈을 감았다.
사람들
에밀 루더
Emil Ruder
다른 사람들
-
건축 저널리스트. 서울시립대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공간SPACE》 기자, 《플러스(plus)》 주임 기자, 《건축문화》 《bob》 편집장을 지내고 《건축세계》 《인테리어 월드(Interior World》와 《메이드(MADE)》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
김선영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프랑스 ESAT(École Supérieure des Arts et Techniques)에서 실내건축디자인을 공부했다. 미국 AAU(Academy of Art University) 대학원에서 실내건축디자인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대학원에서 환경디자인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강이룬
뉴욕에서 디자인 스튜디오 매스 프랙티스를 운영하며, 최근 문화와 예술을 위한 디자인 도구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908A를 공동 설립했다. 예일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고, MIT의 도시 계획과 산하 센서블 시티 랩에서 특별 연구원으로 일했다. 독일 바우하우스 바이마르대학교, 뉴욕대학교 ITP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파슨스디자인스쿨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프레이저 머거리지
영국 런던에서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영국의 여러 대학과 국제 무대에서 가르치고 강연을 해왔다. 2009년에는 사라 드 본트와 함께 런던의 세인트브라이드도서관에서 ‘책의 형태(Form of the Book)’ 콘퍼런스를 조직했으며, 『마스터 빌더: 켄 브릭스와의 대화(The Master Builder: Talking with Ken Briggs)』(오케이셔널 페이퍼Occasional Papers, 2009)를 공동 편집했다. -
요리후지 분페이
북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아트디렉터, 저술가. 재치 넘치는 작업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무사시노미술대학 시각전달디자인학과를 중퇴하고, 광고회사 하쿠호도에서 일했다. 1988년 요리후지디자인사무실을 열고, 2000년 유한회사 분페이긴자를 설립했다. 2008년 『생활잡담수첩』, 『디자인하지 않는 디자이너』로 제29회 고단샤 출판문화상 북디자인부문을 수상했다. 카피라이터 오카모토 긴야岡本欣也와 함께 제작한 일본담배산업의 포스터와 신문광고로 도쿄ADC상과 일본타이포그래피연감대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죽음 카탈로그』, 『원소생활』 등이 있으며, 국내에 소개된 책으로는 『지진』, 『숫자의 척도』, 『쾌변천국』, 『낙서마스터』 등이 있다. -
김지현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고, 미국 이스턴미시간대학교(Eastern Michigan University) 대학원에서 타이포그래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한성대학교에서 디자인을 가르친다. 미국 시라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 연구 교수,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3대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기초조형학회 미래기획위원장과 논문편집위원, 아시아네트워크비욘드디자인(Asia Network Beyond Design)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그리드』 『타입과 타이포그래피』 『한글공감』 『타이포그래픽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텍스트와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해 『매거진 + 웹진 디자인』 등이 있다. -
마거릿 커훈
1947–2017년. 괴테주의 생물학자이자 환경 문제를 다루는 교육 자선 단체로 스코틀랜드 이스트로디언의 람머뮤어힐스 기슭에 위치한 생명과학신탁 핏원튼 프로젝트의 창립 이사였다. 1960년대 에든버러대학교에서 동물학과 유전학을 전공하고 1970년대에는 인구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에 관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에도 분류학과 진화의 실체와 관계에 의문을 품고 독일 외쉘브론의 칼구스타프카루스연구소와 스위스 도르나흐의 괴테아눔 자연과학부에서 4년간 괴테 과학 방법론을 배웠다. 예술과 과학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고 조경, 약용 식물 및 동물 진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으며, 잉글랜드 데번의 슈마허칼리지에서 괴테 과학을 활용해 광범위하게 가르치고 연구했다. -
나이절 크로스
영국 오픈유니버시티(Open University)의 디자인 연구 전공 교수이자 기술학부 디자인혁신학과 학과장. 1970년부터 오픈유니버시티의 선두적인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프로그램의 교원으로 재직했으며 디자인 및 테크놀로지에 관한 다양한 과목을 담당한다. 디자인 연구, 특히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인식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한편 엘제비어사이언스(Elsevier Science)가 디자인연구협회와 협력해 발행하는 국제 연구 계간지 《디자인스터디스(Design Studies)》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
이동국
한국의 서(書) 연구자이며 기획자이자 현재 경기도박물관관장을 역임하고 있다. 35년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며 《신화, 생명의 노래 –암각화에서 무신도까지》(1999), 《한국서예이천년》(2000), 《오세창의 전각.서화감식.콜렉션 세계》(2001), 《천명(天命), 다산(茶山)의 하늘》(2012), 《걸레스님 중광(重光) 만행(卍行) 타계 10주기 특별전》(2012), 《한글서 × 라틴타이포그래피》(2016), 《김종영, 붓으로 조각하다》(2017), 《치바이스 목장에서 거장까지》(2017), 《추사 김정희 괴(怪)의 아름다움》(2018), 《판타지아 조선 민화의 아름다움》(2019), 《ㄱ의 순간》(2021) 등을 기획하였다. 주요 저작으로 「추사체의 괴(怪)의 미학」(『추사 김정희와 청조문인의 대화』, 예술의전당, 2020)와 『미술 전시 기획자들의 12가지 이야기』(한길아트, 2004)가 있다. -
김태화
영상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뒤 SBS디지털뉴스랩 작전콘텐츠팀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며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등 다양한 브랜드 및 콘텐츠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친환경 커머스 브랜드 175플래닛의 디자인도 겸하고 있다. -
소피 바이어
소피 바이어는 활자 디자이너이자 덴마크왕립예술대학의 조교수이다. 활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로 영국왕립예술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 오빈크(Ovink), 2017년에 엥겔 뉴(Engel New)와 카를로(Karlo) 등의 활자체를 디자인했고, 첫 저서 『글자 읽기: 가독성을 위한 디자인(Reading Letters: Designing for Legibility)』(2012년)을 비롯해 가독성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
알렉산드라 클로보우크
독일 레겐스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베를린바이센제미술대학교(Weißensee Kunsthochschule Berlin)에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매콤한 소스와 함께하는 이스탄불 여행(Istanbul, mit scharfe Soße?)』 『포르투갈 요리(Die portugiesische Küche-A Cozinha Portuguesa)』와 부흐쿤스트 재단(Stiftung Buchkunst)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Schönsten Deutschen Bücher)’으로 선정한 『플라스틱 바다(Polymeer, eine apokalyptische Utopie)』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이슬람(Der Islam für Kinder und Erwachsene)』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