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취리히에서 출생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취리히에서 졸업하고 식자공 직업교육을 마친 후 파리에서 유학했고, 파리스위스산업회Cercle Commercial Suisse de Paris에서 프랑스어 학위를 받았다. 이후 취리히 출판사에서 광고 인쇄 책임자로 일했다. 취리히예술산업학교Kunstgewerbeschule Zürich의 조판 및 활판인쇄 주간반을 다녔으며 알프레드 빌리만Alfred Willimann(1900–1957)과 발터 케흐Walter Käh(1901–1970)로부터
타이포그래피를 배운다. 1942년 바젤산업학교(AGS Basel)의 상임 타이포그래피 전공 교사로 임명되었다. 1947년 같은 학교의 제3부(예술산업 직업교육부)에 활판인쇄 전문반을 개설, 이곳의 책임자가 된다. 1948년 스위스공예협회(SWB)의 바젤 지부장을 맡았다. 1956년 스위스 산업 박람회의 「Die gute Form(좋은 형태)」 심사위원이었으며, 스위스공예협회의 중앙이사회 회원으로 (게오르크 슈미트의 뒤를 이어) 선출되었다. 같은 협회의 운영위원회 회원으로도 일했다. 1959년 ATypI(국제타이포그래피협회) 스위스 대표로 활동했다. 1961년 스위스 응용예술연방위원회에서 (베르흐톨트 폰 그뤼니겐의 뒤를 이어) 위원이 됐으며, 스위스 우편전신전화국의 우표 제작부 예술 고문으로 활동했다. 1962년 뉴욕 ‘국제타이포그래피예술센터(ICTA)’을 공동 설립하고, 1965년 바젤산업학교 교장 및 산업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1966년 스위스공예협회의 두 번째 회장이 됐다.
1967년 스위스의 니끌리 출판사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출간하고, 1968년 바젤산업학교 그래픽 디자인 고등과정을 아르민 호프만과 함께 창설했다. 1970년 바젤에서 눈을 감았다.
사람들
에밀 루더
Emil Ruder
다른 사람들
-
1947년 독일의 하노버 근교에서 태어났다. 스스로를 활자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픽 디자이너라고 부른다.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예술사를 전공했으며 집 지하실에 인쇄소를 차려 놓고 금속 활자를 조판하는 일로 학비를 벌었다. 7년 동안 런던에서 프리랜스 디자이너로 일한 다음 1979년에 베를린으로 돌아갔다. 그래서 설립한 것이 메타디자인(Meta Design)으로, 2000년경에는 200명 이상의 직원을 거느린 독일 최대의 디자인 회사로 성장했다. 1992년에 동업자 빌 힐(Bill Hill), 테리 어윈(Terry Irwin)과 함께 메타디자인 샌프란시스코 지사를 세웠고, 1995년에는 런던 지사를 오픈했다. 어도비시스템즈, 애플, 아우디, 베를린트랜지트, 뒤셀도르프국제공항, IBM, 나이키, 스코다, 렉서스, 하이델베르그프린팅머신스, 폭스바겐 등 전 세계에 클라이언트를 두었다. 활자 디자인에 발을 담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에 버트홀드도서관의 옛 주조활자체들을 재도안하면서부터다. …
-
악셀 에발트
독일 알라누스미술학교에서 조각과 미술 교육을 전공하고 독일, 영국, 미국, 이스라엘에서 20년 이상 조각, 드로잉, 괴테 관찰 및 미술사를 가르쳤다. 영국 에머슨대학에서 5년 동안 교직원으로 재직했다. 조각가이자 인지학, 괴테 과학, 생태학의 영향을 받은 환경 예술가로 독일, 영국, 이스라엘에서 전시회를 열었고, 마거릿 커훈과 함께 영국에서 괴테 과학 및 예술 강좌를 개발했다. 이스라엘의 키부츠 하르두프에 거주하며 시각 예술 교육 과정 ‘예술의 길’을 설립하고 지역 사회에서 예술을 활성화하는 일인 사회적 조각에 전념한다. -
히라노 고가
무사시노미술대학 시각전달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다카시마야 홍보부를 거쳐 프리랜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60년대부터 언더그라운드 연극에 참여하며 포스터를 다수 제작한다.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쇼분사(晶文社) 북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거의 모든 책 장정을 담당하며 고단샤출판문화상 북디자인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Kouga Grotesque 06’ 서체를 개발했다. -
김민지
1983년 한국 출생. 다마미술대학 대학원 그래픽 디자인 전공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9년 ‘톰즈박스 그림책 워크숍’의 교육 과정을 수료했다. 2010년 《일러스트 노트(イラストノート)》(세이분도신코샤)의 〈노트(ノート)〉 전에서 아트디렉터 모리모토 지에(森本千絵)의 심사위원상을 수상하고, 2014년 이탈리아의 ‘볼로냐 국제 아동 도서전(La Fiera del Libroper Ragazzi di Bologna)’에서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i Selezionati)’로 선정되었다.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일러스트레이터 ‘MERRY-MJ’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 『구구와 빨간 단추(ググさんとあかいボタン)』(에혼주쿠슛판, 2013), 공저로 『今、何してる?지금 뭐 해요?』(popotame, 2021)가 있다. -
건축공방
건축공방은 심희준, 박수정이 2013년 설립한 건축사사무소다. 심희준은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에서 에라스무스 교환학생으로 공부한 뒤 독일 슈투트가르트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유럽의 건축설계사무실인 베니쉬건축사사무소, 메카누건축사사무소와 한국의 오이코스코리아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새건축사협의회 정책 위원, 서울시 공공 건축가로 위촉되어 활동하고 있다. 박수정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에서 교환 학생으로 공부한 뒤 독일 슈투트가르트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유럽의 건축 설계 사무실인 렌초피아노건축사무소, 헤르조그앤드드뫼롱건축사무소, 라쉬앤드브라다취 건축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겸임 교수와 새건축사협의회 정책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상의 건축을 생각하고 짓고 공유하고자 하며 건축,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오공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했다. 대중문화 평론가와 출판사 외서 기획자를 거쳐 지금은 독일어와 영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디자인 소사』 『내 안의 돼지개 길들이기』 『현실주의자의 심리학 산책』 『별빛부터 이슬까지』 『과학편집광의 비밀 서재』 등이 있다. -
사이먼 가필드
자유로운 글쓰기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인문학자이자 논픽션 작가다. 1960년 런던에서 태어나 영국 〈라디오타임스〉와 〈BBC 라디오 다큐멘터리〉에서 작가로 활동했으며, 《인디펜던트》 《옵저버》 등에 글을 기고하며 저널리스트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당신이 찾는 서체가 없네요』와 『지도 위의 인문학』을 비롯해 『레슬링』 『모브』 『숨은 삶』 『전쟁터에서』 『사적인 투쟁』 『잘못된 세계』 『미니』 『거의 모든 시간의 역사』 등 열일곱 권의 논픽션을 써내 영국에서 대중적 사랑을 받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그 명성을 높였다. 영국의 에이즈에 대한 연구인 『순수의 종말』로 서머싯몸상을 받았다. -
레나테 레케
독일의 어린이책 작가이자 아동문학 평론가다. IBBY 독일 지부의 회장과 부회장을 역임했고, 지금은 IBBY 유럽 지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 BIB, 볼로냐 아동도서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독일아동청소년문학상, 트로이스도르프 그림책상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
김수정
베를린예술대학교(Universitat der Kunste Berlin)에서 시각 디자인을, 라이프치히그래픽서적예술대학(Hochschule fur Grafik und Buchkunst Leipzig)에서 타이포그래피와 북 디자인을 공부했다. 디자인과 출판을 하는 스튜디오 정제소를 운영하며 타이포그래피와 북 디자인 강의를 한다. -
박재용
주로 한국 서울에서 활동하는 필자, 통·번역가, 큐레이터다. 장서광으로, 동시대 미술과 이론 서가인 ‘서울리딩룸’(@seoulreadingroom)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리서치 밴드 NHRB(@nhrb.space)에서 허영균과 함께 프론트맨으로 활동하고, 정성은, 김수지와 함께 스탠드업 코미디 모임인 ‘서촌코미디클럽’(@westvilalgecomedyclub)을 운영한다. 『마지막 혁명은 없다: 1980년 이후, 그 정치적 상상력의 예술』(현실문화연구, 2012), 『동시대-미술-비즈니스: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질서들』(부산현대미술관, 2021), 『현대미술,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부커스, 2022) 등을 번역했다. -
김미자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동 산업미술대학원에서 포장 디자인을 전공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했다. 현재 영산대학교에서 디자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김현호
《보스토크 매거진》의 편집 동인이자 프레스의 대표. 다양한 출판물을 만들어온 편집자이며 PLATFORM-P의 센터장이기도 하다. 디자인 저널 《양귀비》의 책임 편집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편집장, 사진이론학교와 격월간 《말과활》의 기획 위원 등으로 일했으며 아트인컬처 뉴비전 미술평론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