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디자인진흥원장과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디자인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상하고 1976년 추천 디자이너로 데뷔했다. 1984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부임해 산업디자인학과의 설립을 주도한 이래로 현재까지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카드, 홈플러스, 롯데건설 등 국내 유수 기업의 디자인 경영 자문위원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1995년부터 4년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의 집행위원을 지냈고 1996년 세계화추진위원회에서 ‘디자인 산업 세계화 방안’을 세웠다. 디자인 전문가로서는 최초로 2000년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원장에 선입되어 코리아디자인센터를 건립하고 세계그래픽디자인협의회.세계산업디자인대회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앞장섰으며, 1999년 대통령 표창에 이어 2003년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지은 책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추천도서이자 디자인 경영 분야의 필독서로 알려진 『디자인 경영』을 비롯해 『정경원의 디자인 경영 이야기』 『디자인과 브랜드, 그리고 경쟁력』 『세계 디자인 기행』 등이 있으며, 2008년 하버드비즈니스퍼블리싱(HBP)에서 출간한 『삼성전자의 디자인 전략(Design Strategy at Samsung Electronics)』은 베스트셀러로 꼽힌다. 『디자인매니지먼트저널(Design Management Journal)』 등 세계적인 디자인 전문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탄탄한 이론과 풍부한 경험을 겸비하고 30여 년간 강단과 현장에서 얻은 통찰을 토대로 디자인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고 혁신을 창조하는지 생각하고 고민한다.
사람들
정경원
다른 사람들
-
최철용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섬유 미술과 패션 디자인을 공부했으며, 밀라노 도무스 아카데미에서 디자인과 아트의 경계에 관해 연구했다. 이탈리아 멜팅팟(Meltin’pot), 벨기에 랭글러블루벨(Wrangler Blue Bell), 이탈리아 마르텔리(Marteli) 등 유럽의 패션 브랜드에서 패션 디자이너 및 아트 디렉터로 활동한 뒤, 2009년 귀국해 본인의 브랜드 Cy Choi(씨와이초이)를 론칭했다. Cy Choi는 파리에서 18회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서울패션위크에 10회 참가했으며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를 2회 수상했다. 2014년 《아레나(Arena)》 선정 올해의 패션 디자이너, 2010년 이탈리아 《보그(Vogue)》 선정 주목할 만한 신인으로 뽑히기도 했다. 현재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교수 및 Cy Choi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 중이다.
-
최정호
한글 디자이너이자 서체 연구가이다. 일본으로 건너가 인쇄소에 취직해 다양한 인쇄 기술을 습득했고 요도바시미술학원에서 수학했다. 1957년 ‘동아출판사체’를 개발해 큰 호평을 받았으며 1970년대 초반 일본 사진식자기 제조사 샤켄(寫硏)과 모리사와(モリサワ)로부터 의뢰받아 한글 서체를 개발했다. 말년에는 한글 디자인 철학과 원리에 대한 기고를 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세명조, 중명조, 중고딕, 태고딕, 견출고딕 등 한글 본문 서체뿐 아니라 변형체들을 개발했다. -
탁현규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사임당의 뜰』 『그림소담』 『고화정담』 『조선 시대 삼장탱화 연구』 등이 있다. 현재 간송미술관 연구원으로 있으며 서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
안도 다다오
1941년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권투 선수로 활약하다 건축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세계를 여행하며 수많은 건축물을 눈에 담았고 독학으로 건축을 공부했다. 28세에 안도 다다오 건축 연구소를 설립했다. 대표작으로 ‘빛의 교회’, ‘퓰리처 미술관’, ‘지추 미술관’ 등이 있다. ‘스미 요시 연립주택’으로 일본건축학회상,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다. 단순하고 아름다운 콘크리트의 선, 빛과 그늘이 자아내는 풍부한 표정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자연과 공생하는 건축을 다수 설계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쓰레기 매립지를 숲으로 만드는 ‘바다의 숲 프로젝트’나 오사카 나무 심기 ‘벚꽃길’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했다. -
모모세 히로유키
도쿄조형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쓰쿠바대학 대학원 종합조형과를 졸업했다. 한국, 중국, 일본의 디자인 및 기초조형교육에 관심을 갖고 2005년부터 한국에서 디자인교육을 시작해 현재 상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후쿠다 시게오의 디자인 재유기』가 있다. -
히라노 고가
무사시노미술대학 시각전달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다카시마야 홍보부를 거쳐 프리랜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60년대부터 언더그라운드 연극에 참여하며 포스터를 다수 제작한다.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쇼분사(晶文社) 북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거의 모든 책 장정을 담당하며 고단샤출판문화상 북디자인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Kouga Grotesque 06’ 서체를 개발했다. -
수와
라이브 아트 일러스트레이터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개인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패션의 독특한 관점에 매료되어 전 세계 패션위크에 참석하며 눈길을 끄는 사람들을 길거리 현장에서 그리는 작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뉴욕 파슨스스쿨오브디자인에서 패션 디자인을 전공한 후 마이클 코어스, 타미 힐피거 등 여러 패션 브랜드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후 일러스트레이터로서 활동 범위를 넓혀왔고, 에디토리얼 일러스트레이션, 브랜드 캠페인, 라이브 페인팅 이벤트 등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학에서 패션 드로잉을 가르치고 있으며, 저서로 컬러링북 『HERS』와 『LOOK』이 있다. -
심준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제품의 국제제품 매니저다. 글로벌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면서 생산적인 제품을 만들고자 힘쓰며, 20년 넘게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을 제공해왔다. 그중에서도 한국을 역점으로 중국어·일본어·한국어(CJK) 시장에 초점을 둔다. -
니콜 미노자
어도비 타입앤폰트 그룹의 제품팀을 이끈다. 약 20년 동안 어도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크리에이티브 제품 사용자들을 위해 일해왔다. -
배수현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몬트레이 국제대학원 번역학과를 졸업하고 수년 동안 정부 기관 및 기업에서 통번역사로 근무했다. 현재 문화, 창작, 기술 관련 번역가 겸 크리에이티브커먼즈 아시아태평양 코디네이터로 일한다. -
이경민
시카고예술대학교(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Design)을 공부했다.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선정한 차세대 디자인 리더로 선정되었으며, 국제우수디자인어워드IDEA (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 국제포럼디자인(iF International Forum Design), UX디자인어워드(UX Design Award), 레드닷디자인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등에서 수상했다. 지금은 LG전자에서 UX 디자이너로 일한다. 처음엔 얼떨결에 UX 디자이너가 되었지만 이내 자부심과 재미를 느끼며 잘 살고 있다.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디지털 노마드가 되길 꿈꾸며, 열심히 사는 것과 되는대로 사는 것 사이에서 늘 고민한다. -
송명민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에서 시각디자인을, 동 예술·디자인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했다. ㈜홍디자인 등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했으며, 상명대학교, 한남대학교, 경기대학교, 충북대학교, 평택대학교 등에서 타이포그래피 및 편집디자인 관련 교과목을 강의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경기디자인협회 등에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 디자인 전공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회사 ‘생각하는 디자인’의 실장이다. 지은 책으로 『디자인 문법』 『타이포그래피 사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