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디자인진흥원장과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디자인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상하고 1976년 추천 디자이너로 데뷔했다. 1984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부임해 산업디자인학과의 설립을 주도한 이래로 현재까지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카드, 홈플러스, 롯데건설 등 국내 유수 기업의 디자인 경영 자문위원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1995년부터 4년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의 집행위원을 지냈고 1996년 세계화추진위원회에서 ‘디자인 산업 세계화 방안’을 세웠다. 디자인 전문가로서는 최초로 2000년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원장에 선입되어 코리아디자인센터를 건립하고 세계그래픽디자인협의회.세계산업디자인대회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앞장섰으며, 1999년 대통령 표창에 이어 2003년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지은 책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추천도서이자 디자인 경영 분야의 필독서로 알려진 『디자인 경영』을 비롯해 『정경원의 디자인 경영 이야기』 『디자인과 브랜드, 그리고 경쟁력』 『세계 디자인 기행』 등이 있으며, 2008년 하버드비즈니스퍼블리싱(HBP)에서 출간한 『삼성전자의 디자인 전략(Design Strategy at Samsung Electronics)』은 베스트셀러로 꼽힌다. 『디자인매니지먼트저널(Design Management Journal)』 등 세계적인 디자인 전문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탄탄한 이론과 풍부한 경험을 겸비하고 30여 년간 강단과 현장에서 얻은 통찰을 토대로 디자인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고 혁신을 창조하는지 생각하고 고민한다.
사람들
정경원
다른 사람들
-
토스의 그래픽 디자이너. 토스의 모든 비주얼 영역을 기획하고 제작한다. 이모지 폰트인 ‘토스 페이스’를 기준으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확산하여 토스 그래픽의 시각적 일관성에 집중하고 있다.
-
구모아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책임 연구원이자 팀장. 「산돌 늦봄」, 마루 프로젝트 「마루 부리」, 87MM 브랜드 전용 글꼴 「일상체」등 여러 글자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최정호 스크린〉을 시작으로 화면과 글꼴에 대한 연구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예를 바탕으로 한 글자체 디자인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
박희원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와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공부하고 제품 개발 MD로 근무했다. 이야기를 만지며 살고 싶어 번역 세계에 뛰어들었다. 글밥아카데미 출판번역 과정을 수료하고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바이닐』 『에이스』 『무법의 바다』 『여자만의 책장』이 있다. -
최진영
일상을 관찰하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이야기를 그림으로 옮겨 그린다. 그리기의 즐거움과 건강함이 전달되기를 바라면서 다양한 매체에 그림을 싣는다. 그린 책으로 『어린이 대학: 물리』 『어쩌다 디자인』 『다르면 다를수록』 『여행하는 말들』 등이 있다. -
김현호
《보스토크 매거진》의 편집 동인이자 프레스의 대표. 다양한 출판물을 만들어온 편집자이며 PLATFORM-P의 센터장이기도 하다. 디자인 저널 《양귀비》의 책임 편집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편집장, 사진이론학교와 격월간 《말과활》의 기획 위원 등으로 일했으며 아트인컬처 뉴비전 미술평론상을 받았다. -
최경화
『포르투갈, 시간이 머무는 곳』 『스페인 미술관 산책』을 썼고 프라도미술관 등 스페인의 미술관과 유적지의 한국어 가이드를 번역했다. 현재 포르투갈에서 산다. -
박수지
독립 큐레이터. 큐레토리얼 에이전시 뤄뤼(RARY)를 운영하며, 기획자 플랫폼 웨스(WESS)를 공동 운영한다. 부산의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큐레이터, 미술문화비평지 『비아트』 편집팀장, 《제주비엔날레2017: 투어리즘》 코디네이터, 통의동보안여관 큐레이터, 《2024부산비엔날레: 어둠에서 보기》 협력큐레이터로 일했다. 시대에 따라 예술의 근본 속성에 관한 이해가 변화하는 양상에 관해 질문하며 전시를 기획하고 글을 쓴다. -
마르크 스틱도른
독일 트리어대학(Universität Trier)에서 전략 경영과 마케팅을 공부했다. 관광 산업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데스티너블(Destinable)의 설립자이자 컨설턴트로 유럽 내 다양한 관광 산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8년부터 오스트리아의 인스브루크경영센터(Management Center Innsbruck, MCI)의 기업가 정신 및 관광 산업 석사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강의하고 있다. -
앤드류 해슬램
1987년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을 졸업했다. 이후 런던에서 개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어린이용 과학, 역사, 지리 책을 만들었다. 1994년에 미국 물리학회상 과학저술부문상을 수상하고, 1997년에 그해 지리학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는 지리협회상을 수상했다. 스튜디오의 운영과 영국의 몇몇 대학에서 그래픽 및 타이포그래피 강의를 했으며, 최근에는 약 6년간 런던의 센트럴세인트마틴스칼리지(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아트&디자인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 대학원 과정의 학과장을 역임했다. 필 베인즈(Phil Baines)와 『타입&타이포그래피(Type & Typography)』를 함께 저술했다. -
에이드리언 조지
영국정부아트컬렉션(UK Government Art Collection)의 부관장 겸 선임 큐레이터. 교육, 해설, 공공 프로그램에서 전문적인 예술 행사에 이르는 다양한 출판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부서를 이끌고 있으며, 큐레이팅과 현대미술품 커미셔닝 관련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벨기에, 필리핀, 카타르, 스페인, 영국, 예멘에서 장소특정적 작품을 커미셔닝했으며, 홍콩, 더블린, 런던, 스코페, 뉴욕, 타이베이 등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뉴뮤지엄(New Museum)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
지요건축
김세진이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2015년 설립한 건축사사무소. 종이의 면으로 시작한 건축이 존재의 개별성과 감각의 보편성을 가지고 스스로 깊이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2016 서울시 공공건축가, 서울대학교 설계스튜디오에 출강한 바 있다. 체부동 생활문화센터 지명설계공모 당선, TSK 펠로우십 어워드(TSK Fellowship Award), 한국농촌건축대전 본상, 서울교육공간 디자인혁신 교육감 표창 등을 수상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보존과학자 C의 하루,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폴리전에 참여했다. -
호리 미치히로
도야마현 출신으로 옻 만화가다. 국립다카오카단기대학(高岡短期大学) 옻공예 전공(현 도야마대학교 예술문화학부)과 이시가와현립 와지마옻예기술연수소(石川県立輪島漆芸技術研修所)를 졸업했다. 문화재 복원 회사를 거쳐 옻 공방에서 장인으로 일하며 2003년에 만화가로 데뷔하고, 이후 옻과 만화 분야에서 활동한다. 지은 책으로는 『청춘 우루하시! 우루시부(青春うるはし! うるし部)』 등이 있다. 일본 여러 지역에서 킨츠기 워크숍 ‘킨츠기부(金継ぎ部)’를 진행하며 느긋하고 자유롭게 즐기는 킨츠기 보급에 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