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타이포그래피 투데이

Typography Today

온라인 판매처

헬무트 슈미트, 그에게 타이포그래피의 오늘을 묻다

“에밀 루더는 내 인생을 바꿔놓았다. 그의 말과 행동은 나에게 영원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독일 잡지 《데어드룩슈피겔(Der Druckspiegel)》에 그가 게재한 신생아 출생 공지문 ‘daniel’의 디자인을 봤을 때, 나는 내가 가야 할 진로를 알게 되었다. 그는 나의 선구자다.” 그는 현 그래픽 디자인 신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은 왠지 모르겠지만 클라이언트의 커미션에 따라 틀이 잡힌다. 나는 현재 디자인 조류에 대해 전혀 특별한 관심이 없지만, 디자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알고 있다. 내 경우에 디자인은 콘텐츠에서 나온다. 즉, 디자인이 콘텐츠 속에 이미 들어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그것을 찾아내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덧붙인다. “우리에게 서체는 더 이상 필요 없다. 타이포그래퍼가 더 필요하다.”

타이포그래피는 시각 해석에 의한 언어 전달이다

읽기만 하는 타이포그래피란 있을 수 없다. 인쇄된 메시지는 모두 시각적이다. 오늘날 시각적 해석은 전에 없이 중요해졌다. 메시지는 단지 받는 사람에게 전달만 되는 것이 아니라 읽혀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의 시각은 오염되었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메시지는 눈에 띄지 않고 읽히지도 않는다. 그래서 메시지는 해석이 필요하다. 글자를 치장하는 해석이 아니라 내용을 평가하는 해석이다. 즉, 본질적인 것에서 부차적인 것 또는 사소한 것으로 분해되는 사고에서 메시지 그 자체를 발견하는 해석이다. 광고에서뿐 아니라 문학에서도, 이상적으로는 저자와 디자이너 사이의 밀접한 협력에서도 마찬가지로 해석이 필요하다.

“화자의 소리가 그의 사고에 이끌려 나오듯이 타이포그래피 조소는 그 시각적 효과를 통해 형태가 된다.” (엘 리시츠키)

외침과 속삭임, 급함과 느슨함, 이 모두가 음성 커뮤니케이션의 표현법이다. 읽을거리 역시 외치고 속삭이고, 달리거나 어슬렁거리며, 미적 체험으로서 조용히 정답게 나타나야 한다. 신문은 책과는 다른 식으로 읽힐 것이다. 광고와 포스터도 다르다. 시각 프레젠테이션의 요건은 이미 그 내용에서 구현된다. 메시지에 중점을 두는 것이 기능적 타이포그래피의 포기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에밀 루더의 질서의 타이포그래피, 세부의 타이포그래피는 시간을 초월한다. 왜냐하면 미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질서를 새로운 질서로 대체하지는 못하지만 형식주의와 표절로 굳어진 질서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을 수는 있다. 기능적 타이포그래피, 메시지를 전달하는 타이포그래피와는 별도로 타이포그래피는 자체의 미적 생명이 있다. 우리는 낱말을 읽고 문장을 읽는다. 그러나 글자가 의미를 이루어 배열되는 한 활자체의 형태적 가치는 알아차리지 못한다. 외국어를 읽거나 생소한 활자체를 보면 곧 형태부터 읽는다. 돌연 원과 직선, 안과 밖의 형태를 읽는다.

우리는 읽는 것이 아니라 본다. 아드리안 프루티거는 일체의 금기를 떠나서 인도어 활자체 데바나가리 뉴 스타일을 디자인했다. 마치 모던 타이포그래피의 개척자들이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타이포그래피의 고착된 형식을 초월한 것처럼. 헬무트 역시 그가 읽을 수 없는 글자로 작업한다. 그에게 일본어 텍스트는 읽는 메시지가 아니라 보는 메시지이다. 그래서 글자의 형태가 강하게 의식된다. 그가 디자인한 일본의 낱내 글자, 가타카나는 ‘본다’는 장점에서 비롯한다. 형태의 판단 기준은 보편적이다. 일본어 텍스트는 원래 보는 것이다. 뜻글자는 시각적으로 읽을 수 있는 메시지를 내포한다. 이에 비해 소리글자는 단지 형태의 존재이다.

타이포그래피는 보고 읽을 수만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니다.

  • 타이포그래피는 들려야 한다 typography needs to be audible
  • 타이포그래피는 느껴져야 한다 typography needs to be felt
  • 타이포그래피는 체험되어야 한다 typography needs to be experienced

오늘날 타이포그래피란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표현하는 타이포그래피를 말한다.

편집자의 글

구성 및 특징

헬무트 그에게 루더의 타이포그래피는 타이포그래피의 귀감이었다. 이 책에서는 그는 타이포그래피를 루더의 시각에서 보여주되 좀 더 국제적인 안목을 가지고 보여주고자 노력했으며, 지난 세기의 타이포그래피 작품들을 기린다는 점에서 ‘20세기 타이포그래피’라 부를 수 있다.

1980년 일본 디자인 잡지 《아이디어》의 특별판으로 출간된 『타이포그래피 투데이』는 이듬해 1981년 단행본으로 나오게 되었다. 그러다가 꽤 오랫동안 절판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2002년 아이디어 매거진의 편집장 무로 기요노리의 제안으로 2003년 다시 제작 출간되었다. 그러나 옵셋 필름이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에 책 전체를 쿽 익스프레스에서 다시 앉혀야 했다. 일본어 텍스트는 무로 기요노리가 전부 다시 썼다. 그는 책 페이지들을 온통 시뻘겋게 교정했다고 한다.

헬무트는 이 기회를 이용해 초판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작품들을 추가했다. 2002년도 판은 2003년, 2005년, 2007년에 다시 찍었고, 새로운 판이 나올 때마다 두드러지게 눈에 띄지는 않지만 개선을 가했다. 제작된 시기를 넘어 오래 가는 타이포그래피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 가운데 일부를 모아 이 책을 내게 되었다.

2007년에는 북경 중앙미술학원 왕쯔유앤의 번역으로 중국어판이 출간되었다. 안상수가 옮긴 한국어판 『타이포그래피 투데이』는 나오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이것은 2007년판을 토대로 번역한 것으로, 원서보다 책 판형을 줄였다. 또한 새 판형에 맞춰 레이아웃을 고치고 한국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포함하여 여러 작품이 추가했다. 여기에는 제작된 시기를 넘어 오래 가는 타이포그래피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 가운데 일부를 모아 이 책이 나오게 되었다.

독자에게 전하는 말

“타이포그래피에 새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전혀! 나는 새로운 방향성을 보고 싶다. 타이포그래피가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타이포그래피를 하는 미치광이들을 보고 싶다.” 볼프강 바인가르트는 1980년 『타이포그래피 투데이』 발행에 부쳐 나에게 이런 글을 보냈다. 그의 바람이 현실로 되는 데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았다.

컴퓨터 덕분에 ‘타이포그래피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인스턴트 디자이너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타이포그래피는 그저 이미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는 것 그 이상이다. 타이포그래피와 타이포그래피를 가르는 것은 세부이다. 타이포그래퍼와 타이포그래퍼를 가르는 것은 전념이다.

타이포그래피에는 두 측면이 있다. 하나는 작업에서 실무적 기능을 요구하는 것, 다른 하나는 예술적 조형에 관계된 것’이라는 에밀 루더의 말은 타이포그래피의 정의와 이 책의 목적을 잘 표현한다. 타이포그래피의 목적은 전달하고 자극하고 활성화하는 것이다. 타이포그래피는 그 배치보다는 메시지에 의해 살아난다.

‘이 세계를 사랑할 때 우리는 여기에서 살아간다고 하겠다.’ 인도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이 아름다운 표현은 현대나 고전 타이포그래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마음을 끄는 타이포그래피에도 또는 무성의한 타이포그래피에도 메시지는 변치 않는다.

진정한 타이포그래퍼는 메시지가 말하게끔 한다. 의지와 말이 세계를 바꿀 수 있다. ‘스무 번 작업 책상으로 다시 가라. 그리고 만족할 때까지 몇 번이고 처음부터 시작하라.’는 앙리 마티스의 말이 생각난다. 타이포그래피는 글꼴과 글자들의 조합과 디테일에서 시작되지만, 무엇보다도 내용에서 시작된다.

한국어판 『타이포그라피 투데이』가 한국 디자이너들에게 그들만의 타이포그래피를 찾아가는 방법과 과정을 찾을 수 있도록 열정과 풍요로움, 그리고 영감을 주었으면 한다. 『타이포그라피 투데이』를 정열과 열정을 가진 모든 한국 디자이너들에게, 한국 타이포그래피에 바친다.

차례

볼프강 바인가르트
나의 형태학적 타입케이스
볼프강 바인가르트의 타이포그래피

빔 크로우웰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와 실험의 필요성
새로운 형태, 새로운 기술
표현적 타이포그래피를 위한 탐색
사이를 넓게 띄운 섹스 타이포그래피
동시적 타이포그래피
시각적인 뜻글자 타이포그래피

스기우라 고헤이
한자와 가나: 공명하는 이중성
우주적 타이포그래피
비언어 타이포그래피
기고자 기고글 타이포그래피 섹션
정보와 실험 타이포그래피
에밀 루더의 타이포그래피

에밀 루더
커뮤니케이션 또는 형태로서의 타이포그래피
율동적 타이포그래피
기능적 타이포그래피

    칼 게스트너의 타이포그래피 
    세리프체 타이포그래피 
    빔 크로우웰의 타이포그래피 
    연속 타이포그래피 
    정보 타이포그래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반복 타이포그래피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 회화 
    움직임 

프랑코 그리냐니
최근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비평
타이포그래피 기호
의도한 또는 눈에 띈 우연
우연 작용 타이포그래피

존 케이지
음악과 무용에 관한 2 쪽, 122 개의 낱말
음악과 무용에 관한 1쪽, 122 개의 낱말
정치적 타이포그래피

헬무트 슈미트
보는 타이포그래피와 읽는 타이포그래피
읽는 한글과 보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개척자들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
다다 운동
쿠르트 슈비터스
엘 리시츠키
얀 치홀트
라슬로 모호이너지
헤르베르트 바이어
요스트 슈미트
피트 즈바르트

헬무트 슈미트
타이포그래피 투데이―오늘
타이포그래피, 한국 디자이너들에게 바치는 글

디자이너 찾아보기

헬무트 슈미트

타이포그래퍼. 1942년 2월 오스트리아에서 독일 국적으로 태어났다. 독일에서 식자공 도제 과정을 마친 후 스위스 바젤디자인학교(Schule für Gestaltung Basel)에서 에밀 루더, 쿠르트 하우어트, 로베르트 뷔흘러의 가르침을 받았고, 그 후 독일,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 활동하며 대표작 〈Katanaka Eru〉를 디자인했다. 일본과 독일 등지에서 『디자인은 태도다』 등 다수의 서적을 출판하고, 오사카에서 정보 전달과 자유 형태라는 이원성에 천착하며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80년 『타이포그라피 투데이』를 편집·디자인했고, 1997년 ‘타이포그라픽 리플렉션’ 시리즈 네 번째로 『바젤로 가는 길』을 출판했다. 일본의 《아이디어》, 영국의 《베이스라인》, 스위스의 《TM》 등의 잡지에 기고했으며 인도 봄베이의 IDC, 일본 고베의 KDU, 한국 서울의 홍익대학교에서 타이포그라피 강의와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2018년 작고했다.

안상수

안상수는 우리 시각 문화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고 있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퍼이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와 같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2년 조기 은퇴 후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을 설립, 현재 날개(교장)로 있다. 2007년 독일 라이프치히시로부터 구텐베르크 상을 받았으며, 베이징 중앙미술학원(CAFA) 특빙교수, 국제그래픽디자인연맹(AGI) 회원이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