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신묘한 우리 멋

온라인 판매처

한국인의 멋, 흥, 얼의 뿌리를 찾아서

『신묘한 우리 멋』은 출간 20주년을 기념해 새롭게 개정되어 독자 앞에 섰다. 이 책은 하버드 대학원 출신 건축가이자 민예 운동가인 저자 조자용이 우리의 모태와 원류를 찾기까지의 과정과 거기에서 얻은 우리 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에세이 형식으로 엮은 책이다. 이 책이 던지는 ‘우리 문화의 뿌리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여전히 유효하다. 과연 저자가 찾고자 한 우리 문화의 모태는 무엇일까?

“한국 사람의 멋을 알려면 먼저 한국 도깨비와 호랑이를 사귀어야 하고, 한반도의 신비를 깨달으려면 금강산과 백두산을 찾아야 하고, 동방군자 나라의 믿음을 살피려면 산신령님과 칠성님 곁으로 가야 하고, 한국 예술의 극치를 맛보려면 무당과 기생과 막걸리 술맛을 알아야 한다.”

저자가 설명하는 한국인의 전통문화는 평범하고 소박하다. 그러나 우리 문화는 조용히 당당한 모습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절 한편에 자리 잡은 산신각, 우리네 할아버지처럼 친근한 모습을 한 산신령 탱화, 무섭고 신성한 존재지만 기꺼이 감동 받고 눈물을 흘릴 수 있는 도깨비 조각상처럼 우리 곁에서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알려준다.

아직 우리 민속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차리지 못해 기와를 조각 내 그릇을 닦고 벽화를 지워버리던 그 시절, 저자는 엿장수에게 넘어간 기와 조각까지 발로 뛰며 찾아 나서고 인사동 거리에서 까치호랑이 민화를 수집해 보호한다. 이처럼 저자의 우리 문화에 대한 솔직하고 신선한 시각은 우리가 진정한 생부모 문화를 발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책 속에서

사람이 살아 움직이는 곳에는 율동과 춤이 있고, 언어를 가진 민족에게는 고유의 소리며 노래의 버릇이 있다. 오천 년 역사를 통하여 무르익은 한국의 멋은 과연 어디에서 찾아야 그 본연의 원액을 만날 수 있을까? 멋은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를 훌륭하게 대변한다.

「과객의 멋」, 18쪽

엄격하게 말해서 우리나라 예술사의 주체는 소수의 전문가가 아니라 민중이다. 다시 말해 예술은 예술만을 위한 예술가의 역사가 아닌 민중의 광범위한 참여로 키워온 예술의 역사다. 음악이나 춤이나 노래나 글이나 그림을 지금은 예술이라고 부르지만 우리 조상은 그것을 ‘가락’이라고 불렀다.

「한가락의 멋」, 39쪽

어느 종교나 철학을 절대시하는 권위적인 면이 있고 한편에서는 얌전하게 기도하는 신앙적인 면이 있다. 그리고 모든 종교는 철학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기도의 경우, 대상이 다르고 형식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민간 신앙도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종교에 마땅히 포함된다. 또 여러 종교를 민교의 관점에서 보면 불교에는 민불교, 도교에는 민도교, 유교에는 민유교, 신교에는 민신교가 엄연히 담겨 있으며, 이 모두는 울트라 신앙을 공통분모로 삼고 있다.

「수복 미술의 웃음」, 50쪽

기우제 때 화룡을 걸었다는 기록은 보았지만, 그 실물을 찾을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여기 소개하는 이 「운용도」를 얻었을 대 참으로 감개무량했었다. 이 그림은 현대화를 능가하여 추상성이나 환상성을 드러낸 작품이다. 돋보이는 점은 그것이 분석을 통하여 조작된 것이 아니라 용신과 신통한 세계에서 이루어진 신묘한 작품이라는 느낌이다. 사람이 즐거울 때 춤을 추게 되는 것 같이 그림도 극치에 도달하면 춤기가 감돌게 마련이다. 이 그림을 걸고 용신에게 빌면 정말 비가 쏟아져 내릴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패서디나의 한국 민화전이 우리 기우제로서 개막된다는 소문이 사방에 퍼졌다.

「캘리포니아 기우제」, 77쪽

절간을 찾았을 때는 대웅전을 우회하여 뒤쪽에 조용히 앉아있는 산신각이나 칠성각을 찾게 되었다. 연화문 기왓장 대신에 도깨비 기와 수집에 정열을 쏟게 되었고, 석탑 대신 돌 거북 쪽으로 발길을 돌렸다. 1969년부터는 단군 유적을 찾아다니면서 단군학 공부도 열심히 했다. 종교적 사대주의를 쳐부숴 버려야겠다고 생각하면서 무당도 찾아다녔다. 문화적 권위주의를 초월해야겠다는 신념을 다지면서 민족 민예의 세계로 들어갔다.

「양부모 문화와 생부모 문화」, 104쪽

비나이다, 비나이다.
문화적 고아는 드디어 자기 생부모 문화를 찾았고, 평범한 문화 가운데서 가장 특별한 안방 문화를 찾았다.

「조물주의 만물초」, 128쪽

한국 사람의 멋을 알려면 먼저 한국 도깨비와 호랑이를 사귀어야 하고, 한반도의 신비를 깨달으려면 금강산과 백두산을 찾아야 하고, 동방군자 나라의 믿음을 살펴보려면 산신령님과 칠성님 곁으로 가야 하고, 한국 예술의 극치를 맛보려면 무당과 기생과 막걸리 술맛을 알아야 한다.

「도깨비의 멋」, 139쪽

우리 민화에는 뜻이 없는 그림이 없다. 절간 벽에다 호랑이 그림을 그리는 것도 뜻이 있기 때문이다.

「토끼호랑이 민화」, 175쪽

나는 삼신할머니가 특별히 두 번 점지해 주셨다. 이 책은 첫 점지 인생 50년간의 체험을 글과 사진으로 정리한 것인데 마흔다섯 살 때 쓴 에세이가 주축이다. 전공 분야가 무엇이든 사람은 자기 민족문화의 바탕을 알아야 한다.

「민족문화의 모태를 찾아서」, 252쪽

차례

풍류인생과 기층 문화 운동

우리 문화의 멋을 찾아서
 우리 민중의 멋
 과객의 멋
 니나니 장타령과 원제이
 기생의 멋
 무당의 신바람
 옹기쟁이의 신기
 주대화
 벙어리 멍석쟁이
 서양 나그네의 멋
 참여 예술의 시발
 우리 민예미술의 멋
 예술 속의 웃음
 한가락의 멋
 장난기와 웃음의 멋
 음양 미술의 멋
 호랑이계 미술의 웃음
 도깨비계 미술의 웃음
 수복 미술의 웃음
 우리 건축미술의 멋
 일주문의 신기
 다보탑의 조립구조
 춤추는 백제탑
 신라삼일탑
 석굴암의 조립식 돔 구조
 와열
 공우탑
 미인폭포의 처녀 귀신
 서양이 반한 우리의 멋
 호랑이사절단
 금강산에서 온 보물
 캘리포니아 기우제
 시애틀의 백두산 산신제
 빈털터리 박물관의 민화전
 무당의 미주 상륙
 그레이트 스모키 산의 산신제
 시각장애인에게 보여주는 민화전
 워싱턴 에밀레박물관
 우리 문화 지킴이, 조자용 선생
 
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전통을 찾아서
 양부모 문화와 생부모 문화
 안방 문화와 사랑방 문화
 성덕대왕신종 종소리
 까치부처님
 돌덩어리의 불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토착탕
 삼신과 단군
 산 아이의 생부모 문화
 금강산 구경
 불교의 본고장
 도교의 신선경
 안방 문화의 산신령님
 조물주의 만물초
 단단탈탈가
 조자용 선생님을 기리며
 
민족문화의 상징
 도깨비
 도깨비의 멋
 도깨비 기와에 미쳐
 코주부 도깨비
 일본 오니가와라를 찾아서
 도깨비 방망이
 돌 도깨비의 눈물
 거북이
 거북이 아저씨
 거북이의 덕으로 살아난 사람들
 거북을 사랑하는 민족
 거북 공예
 거북선의 창조
 구선창
 호랑이
 자수성가한 스라소니
 토끼호랑이 민화
 까치호랑이 민화
 스라소니 환상미술
 호랑이 화신의 설교
 산신령님 품 안으로
 호돌이 만세
 
 용하고 친해지는 길
 신흥사에서 만난 무던한 석용
 용 잡으러 가던 이야기
 용꿈 그림
 건축가, 겨레문화연구가 조자용
 
우리 문화의 모태를 찾아서
 민학운동
 문화의 뿌리와 모태
 민학운동의 발동
 민중박물관운동의 결실
 신불교의 마애불
 신교의 마애신
 비나이다, 비나이다
 에밀레박물관 신화
 캠프 미니왕카
 어머니의 잉어꿈
 왕몽각의 꿈
 에밀레 하우스 개관의 날
 에밀레 최고의 해 1970
 잊힌 건축가, 조자용에 대해서

맺음말
 민족문화의 모태를 찾아서
 도판
 소장처별 도판 목록
 본문 출처

조자용

황해도 황주 출생으로 18세에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로 잠시 근무했다. 해방 후 월남해 미군의 하우스보이를 거쳐 22세에 미국으로 유학, 웨슬리언전문대학과 벤더빌트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 대학원에서 구조공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54년 귀국해 건축 사업을 진행하면서 도깨비기와와 민화를 본격적으로 수집했다. 건축가로서 그는 대구 경북대 본관, 계명대 본관, 동산병원, 세종대학 박물관을 등을 지었으며 한옥양식으로 지은 하비브하우스는 건물은 전 세계에 미국대사관저 중 주재국 양식으로 지은 유일한 건물이며, 아름다운 건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저술서로는 『한국 민화의 멋』 『한호의 예술』 『한일의 미술』, 영어판 『Humour of the Korean Tiger』 『Spirit of the Korean Tiger』, 일어판 『李朝の美』 『李朝民畵の心』 등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