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모노크롬: 이해할 수 없고 짜증 나는, 혹은 명백하게 단순한

The Simple Truth : The Monochrome in Modern Art

온라인 판매처

예술가들은 왜 캔버스에 한 가지 색만 칠했는가
현대 미술의 ‘단순한 진리’ 모노크롬에 대하여

“이미지는 없고 물감만 가득 칠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현실의 부정이나 새로운 종류의 사실주의로 해석할 수도 있다. 모노크롬은 가장 보편적인 요소인 색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가장 난해한 의미를 담기 일쑤다. 모노크롬은 누구나 만들어낼 수 있지만, 가장 지적으로 탐구하고 도전하는 예술가들의 영역이기도 하다.”

모노크롬은 누군가에게는 ‘가장 이해할 수 없고 짜증 나는 모든 것의 상징’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가장 순수하고 절대적이며 본질적인 예술이다. 『모노크롬: 이해할 수 없고 짜증 나는, 혹은 명백하게 단순한』의 저자 사이먼 몰리는 그 자신이 모노크롬을 그리는 미술가이기도 하다. 이 책은 모노크롬이 탄생한 배경부터 수용되는 과정, 그 전성기, 그리고 오늘날 모노크롬의 역할을 풀어낸다. 서론과 결론을 제한 17장은 모노크롬에 있어 주요한 테마로 각자 묶였지만, 책 속의 시간은 선형적으로 흐르고 테마는 모노크롬의 연대기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식이다.

등장하는 작품은 모노크롬과 ‘이상적인 모노크롬에서 벗어난 연속체’인 모노크로매틱과 덜 본질적인 모노크롬의 예도 포함하며, 회화뿐 아니라 조각, 설치 작품, 영화, 사진, 레디메이드까지 확장된다. 저자는 모노크롬의 ‘세계적’ 역사를 담고자 했으나 서양에 치우친 점을 인정하면서도, 남미와 동아시아의 모노크롬에 관한 논의로 이런 편향을 상쇄하고자 노력했다. 특기할 만한 건 한국의 모노크롬 회화 작품인 ‘단색화’에 온전히 한 장을 할애했다는 점이다. “내가 서양의 회화 장르라고 여겼던 모노크롬이 사실 전 세계적인 현상이거나, 적어도 머나먼 한국까지 확대된 현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다.” 이 또한 저자가 한국에 살기 때문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편집자의 글

‘하하, 이게 무엇을 나타내는 거지?’ 이제 그림이 대답할 차례다. ‘넌 무엇을 나타내는 거지?’

인물도 풍경도 아무런 형상도 없이 측면까지 단 하나의 색으로 빼곡한 캔버스, 또는 텅 빈 것처럼 보이는 면에 그저 커다란 단색의 점 한두 개가 찍힌 그림. 아마도 대다수는 뭘 그렸다는 건지 알 수 없는 이런 그림들을 보며 ‘역시 현대 미술은 난해하다’는 기존의 인식을 한층 강화하고 ‘외부자들’을 자처할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내부자들’의 열광적인 찬사를 받고 경매에서 수천만 원, 심지어 수억 원을 호가하며 연일 거래액을 갱신한다. 현대 예술 작품인 모노크롬을 향한 반응은 이렇듯 극명하게 갈린다. 그럼 ‘내부자들’은 처음부터 모노크롬의 가치를 알아보았을까?

미술계가 처음부터 모노크롬을 수용한 것은 아니다. 최초의 모노크롬 작품인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과 ‹흰색 위의 흰색›이 등장했을 때 “대중과 마찬가지로 평론가들도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것이 온데간데없다. 눈앞에 있는 것은 흰색 프레임 안의 검은 사각형’이라고 비난했”으며, 이브 클랭이 당시의 진보적인 전람회에 출품한 무광의 주황색 대형 모노크롬 작품은 “단 하나의 균일한 색이라니, 있을 수 없다. 정말 그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예술계의 ‘최첨단’에게도 모노크롬은 지나치게 충격적이고 공격적이고 도저히 예술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

예술가들은 왜 캔버스에 한 가지 색만 칠하게 되었는가? 비평가들은 모노크롬 작품을 어떻게 해석해왔는가? 또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어쩌면 예술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소양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미적 관념”이라는 것은 약간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얼마든지 갖출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사이먼 몰리의 이 명료한 글을 읽어보는 정도의 노력 말이다. 더욱이 “시각적인 단순함에 매진하는 예술의 광범위한 ‘치유적’ 잠재력의 중요성”을 믿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이 단순해 보이는 그림이 우리 시대에 필수불가결한 ‘단순한 진리(The Simple Truth)’라는 것 또한 깨달을 수 있다.

‘단순한 진리’는 이 책 원서의 제목이기도 하다. 한국어판의 만듦새 또한 간결하고 담백해야 했다. 책의 표면은 원서의 덧싸개와 같은, 즉 이브 클랭이 애용한 ‘인터내셔널 클랭 블루’와 흡사한 파란색이다. 표지 종이의 경우 멀리서는 매끈하게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빼곡한 질감이 있는 색지다. 표지뿐 아니라 책머리, 책배, 책발까지 삼방 배면 인쇄를 통해 파란색으로 완전히 뒤덮었다. 뒷표지는 소개문도 추천사도 없이 비워두었다. 이로써 클랭의 ‹파란색 모노크롬›, 또는 도널드 저드의 ‘특수한 사물들’과 같은 하나의 모노크롬 작품처럼 보이도록 의도했다.

비록 지금은 “모노크롬 회화에 어떤 식으로든 충격을 주거나 도전을 제기할 힘이 남아 있지 않다는 인식이 퍼져 있”더라도, 모노크롬에는 여전히 유효한 힘이 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건 이 그림들이 보기에 ‘단순하다’는 것이다. “모노크롬은 미리 확정된 것이 아니라 관조(contemplation)라는 행위를 통해서 실천된다.” 예술에서 단순함만이 유일 가치가 아닐지언정, “복잡함과 무질서 속을 헤매고” “엄청난 주의 간섭, 주의 산만, 조작이 점점 더 일반화되는 세상”에 사는 현대인에게는 분명히 값진 것이다.

책 속에서

모노크롬은 최소한의 또는 최대한의 가능성, 시작이자 끝, 하나로 통합되는 수렴점 또는 거기서부터 출발하거나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원점으로서 세상에 등장했다. 이는 그저 제멋대로고 시각적으로 의미가 없다고 여기던 걸 ‘예술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예술’의 지위에 올려놓았다. 모노크롬은 정신적이고 관조적인 의식을 탐구한 결과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필적하는 전적으로 경험적이고 즉물적인 의식을 탐구한 결과일 수도 있다. 이는 가장 미묘하고 초감각적인 경험, 그리고 가장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추구해 탄생했다.

21–22쪽

흑백으로 이루어진 모든 작품, 즉 소묘, 수묵화, 판화, 사진, 그리자유(grisailles) 등 르네상스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아주 흔했던 회색 또는 회색조로 그려진 그림은 모노크롬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리스어로 단독, 단일 또는 하나를 뜻하는 단어 모노(mono)와, 색 또는 색조를 뜻하는 단어 크로마(chroma)가 결합된 이 용어는 현대 예술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에서 특히 하나의 색이 지속적인 주목의 대상이 되는 예술의 한 형태를 나타낸다.

23–24쪽

어떤 관람자는 모노크롬이 평면적인 2차원의 대상이라고 여기지만, 같은 작품이 다른 관람자에게는 무한히 깊어 보일 수도 있다. 이미지는 없고 물감만 가득 칠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현실의 부정이나 새로운 종류의 사실주의로 해석할 수도 있다. 모노크롬은 가장 보편적인 요소인 색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가장 난해한 의미를 담기 일쑤다. 모노크롬은 누구나 만들어낼 수 있지만, 가장 지적으로 탐구하고 도전하는 예술가들의 영역이기도 하다.

30쪽

10대 시절 처음으로 화집에서 마크 로스코의 작품을 보고, 곧바로 사기나 농담 따위로 치부해버렸던 기억이 있다. 추상 미술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을 뿐 아니라, 진짜 로스코의 작품을 본 적도 없었고 대체로 추상 미술의 어떤 예도 거의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 그림에 대한 실질적 기억과 거기서 비롯되는 상상적 추론 과정을 거치지 못한 결과, 컬러와 흑백으로 흐릿한 형태를 담은 작은 사진으로 내 경험을 확장할 수 없었다.

50쪽

클랭의 작품과의 만남이 그 그림을 눈앞에 두었을 때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끼는 감정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면 어떻게 될까? 단순히 수동적인 촉발 장치가 아니라 능동적인 동인이라면? 각 모노크롬이 각기 다른 연상과 기억을 불러일으킨다면 어떻게 될까? 적어도 클랭의 그림을 보고 열린 일종의 개념적 공간이 그 그림을 사진으로 보고 열린 공간과 질적으로 다르다면? 그렇다면 실제 만남이 어땠는지 말로 되새길 필요도 없다. 그런 경험들은 말로 해석되길 거부하기 때문이다.

55쪽

현대 미술은 지적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게 되었다. 이 사실만으로도 대다수의 삶에서 배제된다. 보통 이렇게 현대 미술을 멀리할 가능성은, 문학과 달리 미술은 시각 양식을 사용하므로 모든 사람이 보는 세상을 표현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전제가 있다는 사실로 인해 더 커진다. 그러므로 모노크롬을 특히 더 까다로운 시각 예술의 하나로 여기는 원인은 모노크롬이 알아볼 수 있는 종류의 표현으로서 기능하기를 명백히 거부한다는 사실이다.

64쪽

최초의 모노크롬 작품인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과 ‹흰색 위의 흰색›이 등장했을 때, 구상적인 레퍼런스의 결여와 구성의 복잡성은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말레비치의 의도로 인해 불가피하게 모노크롬은 예술의 정체성에 대한 부정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이를 본 모든 사람에게 예술에 대한 전례 없는 공격으로 여겨졌고 눈을 어지럽히는 행위에 가까워 보였을 것이다. “대중과 마찬가지로 평론가들도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것이 온데간데없다. 눈앞에 있는 것은 흰색 프레임 안의 검은 사각형’이라고 비난했다.” 말레비치는 처음으로 ‹검은 사각형›을 선보이고 나서 몇 년이 지나 사뭇 만족한 듯이 이렇게 밝혔다.

68–69쪽

라인하르트는 1950년대에 그린 한 풍자만화를 통해 새로운 약속에서 무엇이 쟁점이 되는지 보여준다. 그는 같은 추상화를 두 번 그린다. 위의 그림에 등장하는 중절모자를 쓴 남자는 비웃음을 띤 채 그림을 가리키며 ‘하하, 이게 무엇을 나타내는 거지?’라고 말한다. 아래 그림에서는 이제 그림이 대답할 차례다. 화면 속 몇 개의 선이 따지는 표정의 얼굴로 바뀌고 팔다리가 생겨난 그림이 이렇게 말하며 어안이 벙벙해진 남자에게 삿대질을 한다. ‘넌 무엇을 나타내는 거지?’

77쪽

클랭이 아름다운 파란색으로 표면을 덮는 데만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클랭은 하나의 색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지배적인 문화 위계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선과 색의 싸움에 대한 통찰을 통해 그는 색이 예술의 창작에 있어 중요함에도 그 위상은 언제나 폄하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었으며, 하나의 대결이라는 그의 생각은 오랜 역사 속에서 그 존재를 인정받는다.

88쪽

색을 받아들이면서 회화도 어떤 기호화된 언어보다 더 심오하고 더 많은 것을 포함했기에, 가장 표현적이고 완전한 예술로 여기던 음악에 더 가깝게 바뀌었다. 음악은 번역할 수 없지만, 그와 동시에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율적이면서도 외견상으로는 의미를 알기 쉽다는 사실로 인해 음악은 새로운 회화 유형의 본보기가 되었고 이 목적을 달성하고자 색이 가장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 지명되었다.

91쪽

서구 본질주의 버전의 ‘선’은 이해를 크게 단순화하고 왜곡했다. ‘선 열풍’이 일었던 이 수십 년 동안 선은 본질적으로 가르침의 통합체이자 궁극적인 세계 종교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사실 시대를 초월한 지혜로 묘사된 가르침은 19세기 이래 세계의 양쪽에서 ‘동양’과 ‘서양’에 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친, 좀 더 우연한 지정학적, 지적, 정신적 요인을 반영한 것이었다.

196쪽

완성된 상태이기도 하고 그 정반대이기도 한 한국의 모노크롬은 이 책의 주제와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모노크롬이 만남과 겹침에 관한 것이면서 그런 만남과 겹침이 단절되는 장소에도 관계하고 있음을 상기하게 한다. 한국 작가들은 서양의 발전을 인식하고 이에 의지하는 한편, 외국의 경향을 지역에서 전개되는 고유의 관심사와 융합해 재해석하고 전용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해석하려면 이전에 서구 모노크롬에 적용되었던 틀과는 다른 개념적 틀이 필요하다. 게다가 우리가 서구를 넘어 생각해 보면서 서구 모노크롬에 관해 이미 안다고 생각했던 점들을 문제화할 수도 있다.

309쪽

엘리아슨은 ‘모노크롬은 난해하고 함부로 접근할 수 없고 심지어 신비적이어서(카지미르 말레비치를 생각해보라), 종종 배타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여겨진다’고 말한다. 하지만 엘리아슨은 모노크롬이라는 매체가 모더니즘의 상징으로서 점점 약해지는 자기 역할로부터 비로소 해방될 때 결국 진가를 발휘할 것이며 ‘포용의 예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29쪽

예술에서 단순함은 분명 존재할 나름의 여지가 있다. 어쩌면 오늘날에는 그 어느 때보다 시각적인 단순함에 매진하는 예술의 광범위한 ‘치유적’ 잠재력의 중요성을 너무 성급하게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어쨌든 우리는 1960년대 못지않게 ‘복잡함과 무질서 속을 헤매고’ 있으며, 한때 현대 예술을 지탱했던 이념적 의제 대부분이 신뢰성을 잃었다. 사실 ‘치유적’이 ‘치료제나 치료법으로 질병이나 장애를 치료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정의될 때, 치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예술 작품의 잠재력은 이른바 ‘피로사회’에서 특히 중요해 보인다.

337–338쪽

관상은 우리 문화의 지배적인 특징인 주의 분산에 대항해 내면의 완전한 상태에 기반 둔, 상상을 위한 공간과 시간을 제공한다. 이런 의미에서 모노크롬의 명백한 단순함은 점점 더 우리를 에워싸고 우리 의식을 침범해 분산시키는 힘을 막아내는 관상의 공간에 접근할 특히 효과적인 수단으로 경험될 수 있다.

339쪽

차례

한국어판에 부쳐

서론
1 배경
2 수용
3 색
4 바탕
5 정신적인 것
6 형언할 수 없는 것
7 무
8 경험
9 선
10 물질
11 형식
12 기호
13 개념
14 알레고리
15 뉴미디어
16 단색화
17 컨템포러리
결론

미주
참고 문헌
도판 출처

감사의 말

사이먼 몰리

미술가이자 작가다. 지은 책으로는 『불길한 징조: 현대 미술 속 언어와 이미지(Writing on the Wall: Word and Image in Modern Art)』(2001), 『세븐키: 일곱 가지 시선으로 바라본 현대미술』(안그라픽스, 2019), 『다른 이름으로: 장미의 문화사(By Any Other Name: A Cultural History of the Rose)』(2021) 등이 있으며 2023년 『현대 회화: 간결한 역사(Modern Painting: A Concise History)』를 출간할 예정이다. 『숭고미: 현대 미술의 기록(The Sublime: Documents in Contemporary Art)』 편집에 참여하기도 했다. 수년에 걸쳐 영국의 여러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강의와 투어 가이드를 했으며, 신문과 잡지에도 정기적으로 기고한다. 2010년부터 한국에 거주하며 단국대학교 미술대학의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 또한 모노크롬을 그린다.

정연심

정연심은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이자 미술사학자로, 뉴욕대학교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99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기획한 백남준 회고전의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뉴욕 주립대학교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미술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제12회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2018)의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했으며,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뉴욕대학교 대학원(IFA) 미술사학과에서 방문연구교수이자 풀브라이트 펠로우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대표 저서로는 『현대공간과 설치미술』(에이엔씨, 2015), 『한국의 설치미술』(미진사, 2018),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편저, 미진사, 2013; Les Presses du réel, 2018), 『Lee Bul』(공저, Hayward Gallery, 2018) 등이 있고 2020년에는 저자이자 에디터로 『Korean Art from 1953: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파이돈, 2020)에 참여했다. 2024년 뉴욕 밀러 출판사에서 출간할 김환기, 박서보, 이우환, 김창열에 대한 편지 프로젝트를 맡고 있으며(정도련, 정연심 공동 편저), 런던 파이돈 출판사에서 2025년 단색화와 한국추상에 관해 저술한 책을 출판할 예정이다. 2021년에는 파주, 고성 등지에서 열린 《2021 DMZ Art & Peace Platform》의 예술총감독을 맡았다.

손부경

홍익대학교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미니멀리즘과 뉴미디어 아트의 공간체험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꼭 읽어야 할 예술이론과 비평 40선』 『미디어 비평용어 21』 『포스트프로덕션』 등을 공역하고 「제프리 쇼Jeffrey Shaw의 뉴미디어 설치미술」 「Medial Turns in Korean Avant Garde」 「빙햄턴 편지: 백남준의 실험텔레비전센터(ETC) 활동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립대학교 빙햄턴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논문을 집필 중이다. 주로 환경과 미디어, 기술의 문제를 바탕으로 전후 미술의 전개 과정과 작동 방식을 분석하는 데 관심 있다.

황희경

홍익대학교에서 섬유미술을 전공하고 영국 브루넬대학교 디자인전략/혁신 과정 석사학위를 받았다. 의류 대기업 및 컨설팅 회사에서 패션 정보 기획, 트렌드 분석 리서처로 근무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며, 옮긴 책으로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특강』 『신발, 스타일의 문화사』가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