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의 뜰 속에 숨겨진 생명들을
간송미술관 연구원 탁현규가 오감으로 찾아내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화가인 사임당, 그녀가 남긴 작품들 가운데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작품인 초충도는 이름 그대로 뜰에 사는 풀과 벌레를 소재로 한 그림을 말한다. 따라서 사임당의 그림은 사람과 가장 가까운 자연인 뜰이 주 무대였다. 『사임당의 뜰』은 그동안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자 현모양처로 알려졌던 사임당의 생애를 말하는 대신에 화가이자 예술가로서 사임당이 남긴 화첩 속 그림이 전하는 생명의 메시지를 이야기한다.
이 책의 지은이 탁현규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간송미술관의 연구원으로 옛 그림들을 소개하는 『그림소담』 『고화정담』 등을 집필했다. 오랫동안 옛 그림을 보아온 지은이가 생각하는 초충도의 진짜 매력은 무엇일까? 오늘날에도 사임당이 크게 회자되고 초충도가 주목을 받는 이유를 “살아있는 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있기 때문”이라 밝힌다.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덮여 풀 한 포기 자라지 못하는 땅에서 풀벌레와 어울리는 삶은 돈을 내고 경험하는 행위가 되어버렸지만, 생명체보다 사람의 감각을 더 크게 자극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시대가 지나도 초충도의 의미는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사임당의 뜰』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사임당의 화첩〉과 〈매창의 화첩〉은 사임당의 그림 스물여섯 점과 매창의 그림 네 점을 소개한다. 책에 수록한 사임당 초충도는 사임당에게 전칭되는 작품들 가운데 간송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 오죽헌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초충도는 사임당 그림과 함께 여러 문인의 글과 시가 전해지는 중요 작이기도 하다. 또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임당의 큰딸인 매창의 화조도를 함께 실었는데 ‘작은 사임당’이라 불렸던 매창은 사임당과는 달리 먹으로 매화와 대나무 등을 그렸다. 사군자의 시초를 지은이는 매창의 화조도에서 발견한다. 2부 〈함께 이야기 나누며〉에서는 그동안 사임당에게 궁금했으나 물을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가상의 대화를 통해 묻고 답한다. 매창, 율곡, 사임당과의 대화를 통해서 ‘어머니로서 사임당’뿐 아니라 글을 짓고 그림을 그리는 ‘여성 예술가 사임당’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