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 그룹

온라인 판매처

50년을 관통하는 실험 정신, 아방가르드(Avant-Garde)와 ‘AG’ 그룹

“전위 예술에의 강한 의식을 전제로 비전 빈곤의 한국 화단에 새로운 조형 질서를 모색, 창조하여 한국 미술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AG’ 선언, 1969)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 그룹』은 2023년 5월에 열린 동명의 전시회 작품집으로, 1969년 결성된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와, 그 이론적 구심점 역할을 했던 미술 비평가 이일(1932-1997)의 활동을 재조명한다. 한국아방가르드협회는 1960년대 후반 비평가 이일을 비롯한 전위적 한국미술가, 비평가가 교감해 만든 그룹으로서 ‘아방가르드(Avant-Garde)’의 약자인 AG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1969년 설립부터 1975년 공식 해체할 때까지 총 3번의 주요 전시를 열고, 1974년 서울 비엔날레를 기획했다. 또한 자체 저널을 발행해 ‘평론가와 작가들이 함께’ 한국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논하고, 해외 미술과의 ‘국제적 동시성’을 모색하기도 했다.

총 5–6년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AG 그룹은 세 번의 주요 전시를 통해 전통 재료부터 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변화하는 재료에 반응하며 실험성을 보여줬다. 이 전시들은 한국 현대미술의 전시사(史) 측면에서도 중요한 큐레토리얼적 가치가 있다. 전시와 출판을 통해 전개한 AG의 활동은 작가와 평론가가 서로의 작품을 이해하는 협업의 관계임을 잘 드러내며, 시대를 관통하는 실험 정신의 원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정연심의 논고 「AG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는 전시, 출판, 기획, 비평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한 AG 그룹의 활동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그 예술사적 의의를 짚는다. AG 그룹 작가 9인(김구림, 박석원, 서승원, 심문섭, 이강소, 이승조, 이승택, 최명영)의 작품을 전시한 2023년 전시 사진과 1970년대 출간한 AG 출판물과 도록, 전시 포스터와 작가들이 소장한 당시 전시 사진 등의 아카이브 자료를 수록했다.

또한 비평가 이일이 AG 저널 및 다양한 매체에 발표한 글과 육필 원고, 이일의 사진 기록과, AG 그룹 활동의 의미와 당시 시대상을 생생하게 증언한 AG 그룹 작가들의 인터뷰 글을 실었다. 이를 통해 한국 미술가들이 한국 현대미술에서 전위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해외 미술(개념 미술, 대지 미술, 프로세스 아트, 현대건축 등)을 이해하고 연구를 시도한 면면을 입체적으로 재조명한다. 1970년대 AG의 작품과 그들의 근작을 담아 과거와 현재의 조응점을 모색하기도 했다.

책 속에서

AG 회원들이 전시에 맞추어 출판한 전시도록은 ‘도록’이라는 출판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시절에 상당히 새로운 시도였다. 총 4회에 걸친 《AG전》 중에서 1971년 제2회 《AG전》 도록은 국립현대미술관(경복궁)에서 전시 이후 설치 장면을 사진으로 찍어 현장감을 최대한 살린 도록이다. 이는 설치미술의 ‘일시성’을 후도록 형식으로 담아낸 최초의 전시 도록이었다. AG 그룹 이전에 한국미술의 실험성과 전위성은 1962년에 결성된 오리진 그룹 및 1967년 《한국청년작가연립전》 등을 통해서 시도되었지만, 비평담론을 중심으로 조금 더 체계적인 시도를 했던 것이 AG 그룹이었다.

정연심, 「AG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 8쪽

당시에는 한국 화단이 국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실험 미술에의 참여는 반제도적인, 국가 차원의 미술 시스템에 대한 거부를 상징했다. 비평지와 작가들의 작업이 반드시 일치한 것은 아니었으나 전위미술이라는 이름 하에서 작가들은 매체적 확장 못지 않게 새로운 예술의 컨텍스트, 작가적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했다. 당시 국전이나 새로 생긴 국립현대미술관조차도 장르별로 범주화했지만, 이들 “젊은 미술가들”은 전통적인 매체가 아니라 상호 교접하는 매체의 혼종성을 자유롭게 시도했으며, 일상성의 연장선 안에서 미술은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고 있다는, 당시 한국 화단에서는 상당히 낯선 인식을 만들기 시작했다.

정연심, 「AG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 30쪽

그러나 어쨌든 예술이 어떠한 강렬한 체험 내지는 필요성이 수반되지 않는 행위를 일삼을 때 그것은 예술에 대한 끈질긴 ‘물음’이라기보다는 찰나적인 자기만족의 행위에 그치고 만다. 그리고 그러한 행위가 무목적으로 되풀이될 때 예술은 바로 스스로의 무덤 앞에 서게 되는 것이다. 설사 전위적인 행위에 있어 그것이 만들어 놓은 결과가 문제가 아니라 그 행위 자체가 문제라고 할 때에도 그 행위는 어디까지나 미래를 향해 크게 열려있는 것이라야 한다. 모든 창조 행위가 이러한 미래에의 투시일 때에 비로소 창조에 있어서의 모든 자유, 모든 실험은 진정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서 전위는 전위로서의 한계, 그 다양성과 시한성(時限性)을 뛰어넘어 가장 풍요한 창조의 원천으로서 작용하며 전위미술이 참된 미술의 왕도로 통하는 길이 열리기도 한다. 사실인즉 예술이 새로운 사회구조와 이에 적응되는 기본적 정신 구조의 가장 합당한 표현일 때 그 예술은 새로운 언어의 창조하는 모든 ‘산 예술’로서 공통된 기본 과제를 추구하며 그 과제인즉슨 모든 형태의 전위의 본질을 규정짓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늘의 참된 미술은 그것이 전위적인 성격을 띤 것이기에 참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참된 미술이기에 그것은 전위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이일, 「전위미술론-그 변혁의 양상과 한계에 대한 시론」, 8쪽

두말할 것도 없이 뛰어난 예술가는 그가 처해 있는 시대 속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다. 또 사실 오늘날에 있어서처럼 미술이 그의 모든 실험과 탐구를 바로 현실과의 ‘치환(置換, transference)’으로 직결시킨 예도 드문 듯이 보인다. 그리하여 오늘의 미술은 현실 또는 오늘의 시대가 지니는 독자적인 모순, 신화, 부조리 — 그 ‘창조적’ 부조리마저 몸소 노출시킨다. 그리고 새롭다는 것, 그 자체가 이미 스스로 속에 이 창조적 부조리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어떠한 새로운 현상, 또는 새로운 작품은 기존의 체계 즉, 역사적인 체계 속에다 위치시키려는 노력은 무의미하다. 새로운 것은 항상 이미 가꾸어진 체계밖에 없거니와 나아가서는 그 체계 자체를 변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일, 「전환의 윤리-오늘의 미술이 서 있는 곳」, 8쪽

1970년도는 정치적으로 모든 것이 자유롭지 못하던 시절이었어요.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굉장히 가난하던 때였고, 재료도 없었고, 자유로운 표현을 하기 위한 물감이나 모든 것을 구하기 굉장히 힘든 때 였어요. 또 살기가 어려운 때였죠. 그때 미술에서 도전한다는 건 극히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런 시절에 현장을 이용해 새로운 미술을 내놓으니까 —예를 들어서 이강소 같은 경우 닭이 움직인다든가, 신문지를 쌓아 놓는다든가, 통 같은 물건을 그대로 둔다든가, 종이를 내걸고 찢어 놓거나 해서—일반인들은 도저히 이해를 할 수가 없었죠. 사람들이 “이게 무슨 미술이냐, 미친 짓 아니냐, 도대체 젊은 애들 이해를 못하겠다”고 했죠. 여태까지 못 보던 것을 보게 된 거니까.
근데 오히려 미쳐야 된다고 봐요, 예술은요. 미친다는 것은 한 번 돌아가서 어떤 도전이라는 것을 실천하면서 남이 안 들어간 경지로 빠져 들어가고 남이 못 하는 것을 해보는 것이죠. 이제껏 없던 것을 우리가 한 번 실현해보겠다는 그 의지가 예술적 정신이라고 저는 보거든요

서승원, 「AG 그룹 작가 인터뷰」, 188쪽

그때 분위기가 상당히 협조적이었고, 동료적이었고, 동료애가 깊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그 작가들과 다른 여러 작가들과 여러 전시회에서 이렇게 함께 활동하고 있고요.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그 당시에 나이에 걸맞지 않는 아주 좋은 조건의 전시장, 전시 조건을 부여받아서 저 스스로 모험적인 작업을 마음껏 할 수 있던 그런 경험은 정말로 쉽게 가질 수 없는 기회죠. 그래서 몇 번의 《AG전》은 상당히 깊은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일 교수님이 ‘탈관념의 세계’ ’확장과 환원의 세계’ 이런 식으로 제목을 쓴 것은 당시 작가들로서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였어요. 하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지금이 또 다른 ‘확장과 환원’의 시대가 아닌가 할 정도로, 그룹 활동 자체가 지금도 의미 있는 어떤 활동으로서 저희 내면에 살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강소, 「AG 그룹 작가 인터뷰」, 198쪽

차례

발간사 (이유진)
AG(Avant-Garde)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 (정연심)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 그룹 (스페이스21)
이일 글 모음
AG 그룹 발행물
AG 그룹 작가 인터뷰 (오광수 서승원 심문섭 이강소 최명영 김구림)
이일 연보 및 자료
참여 작가

정연심

정연심은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이자 미술사학자로, 뉴욕대학교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99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기획한 백남준 회고전의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뉴욕 주립대학교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미술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제12회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2018)의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했으며,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뉴욕대학교 대학원(IFA) 미술사학과에서 방문연구교수이자 풀브라이트 펠로우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대표 저서로는 『현대공간과 설치미술』(에이엔씨, 2015), 『한국의 설치미술』(미진사, 2018),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편저, 미진사, 2013; Les Presses du réel, 2018), 『Lee Bul』(공저, Hayward Gallery, 2018) 등이 있고 2020년에는 저자이자 에디터로 『Korean Art from 1953: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파이돈, 2020)에 참여했다. 2024년 뉴욕 밀러 출판사에서 출간할 김환기, 박서보, 이우환, 김창열에 대한 편지 프로젝트를 맡고 있으며(정도련, 정연심 공동 편저), 런던 파이돈 출판사에서 2025년 단색화와 한국추상에 관해 저술한 책을 출판할 예정이다. 2021년에는 파주, 고성 등지에서 열린 《2021 DMZ Art & Peace Platform》의 예술총감독을 맡았다.

이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술관에서 일반인을 위한 예술 교육과 전시 기획, 출판 활동을 하고 있다. 편저로는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 그룹』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 옮긴 책으로는 『영웅의 탄생』 등이 있다.

이일

이일은 미술 비평가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미술계에 미술비평과 평론이라는 개념을 인식시키고 자리잡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932년 평안남도 강서에서 출생했으며,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재학 중 ‘문리문학회’를 조직하고 시인으로 등단하는 등 문학청년으로 활동했다. 대학을 중퇴한 뒤 1956년 프랑스로 유학, 소르본대학교에서 불문학 미술사학 수료하고 『조선일보』 주불 파리특파원으로 활동했다. 1966년 귀국해 홍익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68년 『동아일보』 미술 전담 집필자로 위촉되었다. 1969년 한국아방가르드협회 창립 멤버로 『AG』를 창간했으며 1970년 《AG전》 전시 서문에서 ‘확장과 환원’이라는 화두를 제시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양상에 명쾌한 해석을 가했는데, 이 용어는 이후 ‘환원과 확산’으로 변경되어 이일 미술비평을 대표하는 개념어가 되었다.
도쿄 《국제 판화 비엔날레》 국제심사위원(1972), 《파리 비엔날레》 한국 커미셔너(1975), 프랑스 《카뉴 국제회화제》 국제심사위원(1977),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커미셔너(1995), 《서울 국제 판화 비엔날레》 《타이베이 국제 판화 비엔날레》 《서울 국제미술제》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1986–1992)을 역임했다. 저서로 『현대미술의 궤적』(동화출판공사, 1974), 『서양미술의 계보』(API, 1992), 『한국미술, 그 오늘의 얼굴』(공간사, 1982), 『현대미술의 시각』(미진사, 1985),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열화당, 1991)이 있으며, 『추상미술의 모험』(미셸 라공 지음, 문화교육출판사, 1965), 『새로운 예술의 탄생』(미셸 라공 지음, 정음사, 1974), 『세계 회화의 역사』(루이 우르티크 지음, 중앙일보출판부, 1974), 『서양미술사』(H. W. 잰슨 지음, 미진사, 1985)를 번역했다. 1986년 계간 『미술평단』(한국미술평론가협회 발행) 창간에 참여했으며 1990년 프랑스 문화성으로부터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1997년 1월 작고했으며, 1999년 보관 문화 훈장, 2014년 국제미술평론가협회(AICA) 특별공로상을 수여받았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