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그라픽스
책
사람들
소개
En
사람들
엄소영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국내 자동차 기업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과 서비스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다른 사람들
유카
원문의 뉘앙스를 잘 살린 감각 있는 번역을 지향한다. 재미와 의미를 두루 갖춘 중국어권 책을 계속 소개해나갈 예정이다.
박지수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교수. 1991년 카이스트 산업공학과 석사과정에서 UI 디자인을 공부하기 시작한 우리나라 1세대 UI 디자이너. 같은 대학원에서 UI 디자인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자인연구소에서 디자이너들과 협력하여 제품 UI 디자인 업무를 수행하였고, 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한 감성공학기반기술개발사업 연구책임자를 맡아 차세대 감성제품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국 요크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원을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디자인과 교수로 6년간 재직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문화기술 R&D 과제 기획에 참여하였고 함평나비축제 문화프로그램 기획 및 실경 공연 제작 등 디자인의 영역을 문화 콘텐츠 분야로 확장하는 데 앞장섰다. 2010년부터 SK플래닛에서 운영하는 T아카데미에서 ‘모바일 UX/UI 기획 및 설계’를 강의하였고, 2012년에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에서 주관한 ‘UX 디자인 스쿨’에서 UX 기획 과정을 강의하는 등 …
양옥금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예술대학에서 퍼포먼스 디자인을 전공하고, 킹스턴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과 공간(큐레이팅)으로 석사를 마쳤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뮤지엄 스터디스 수료 과정을 마쳤다. 미국 MIT 대학교 리스트 비주얼 아트센터에서 인턴십을 시작해 갤러리 쌈지 큐레이터, 한솔문화재단(현 뮤지엄 SAN) 학예실장, 현대카드 수석 큐레이터를 거쳐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재직 중이다. 기획한 대표 전시로는 〈바우하우스의 무대실험: 인간–공간–기계〉(공동기획) 〈황규백–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리처드 해밀턴: 연속적 강박〉 등이 있다.
정재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정병규출판디자인과 민음사출판그룹에서 북 디자이너로 일했다. 거리 글자에 관심을 가지고 2008년부터 개인전 〈글자풍경〉을 네 차례 열었으며, 2018년에는 전시 〈정재완 북 디자인전〉, 2019년 지역 시각 문화를 기반으로 한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를 열었다. 함께 지은 책으로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 『전집 디자인』 『아파트 글자』 『디자인된 문제들』 등이 있으며 디자인한 책 『산업의 자연사』가 1회 한솔 인스퍼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작업의 방식』이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에 선정되었다. 현재 영남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이자 AGI 회원, 한국디자인사학회 회원,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 북 디자인을 도맡고 있다.
최호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국무총리상 등을 수상하고 같은 기관 초대디자이너,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시각디자이너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고등학교 시각디자인』 기초/응용 등이 있다. 강남대학교 예술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교수이자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소장으로 일한다.
문은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과 환경디자인을 전공했다. 그리고 1995년 (재)한국색채연구소에서 근무하며 색채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자신의 연구소인 문은배색채디자인에서 색채연구에 몰입했다. 주요 연구로는 감성기반 「디지털색채팔레트 연구」 「수출형 색채배색 소프트웨어 연구」 「한국 지역색 추출 및 표준감성 연구」 「색각이상을 위한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 「한국의 전통색 프로그램 개발연구」 등 전문 연구를 수행했다. 지은 책으로는 『색채디자인 교과서』 『한국의 전통색』이 있으며 (사)색채학회 추천으로 컬러리스트 도서를 저술했다. 현재 청운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임석재
건축사학자이자 건축가. 196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프랑스 계몽주의 건축에 관한 연구로 건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에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를 창설하며 1호 교수로 부임한 이래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건축을 소재로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폭 넓고 깊이 있는 연구로 다수의 저술 활동을 이어왔다. 탄탄한 종합화 능력과 날카로운 분석력 그리고 자신만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건축을 인문학, 예술 등과 연계하고 융합시키며 독특한 학문 세계를 일구었다. 주 전공인 건축 역사와 건축 이론 분야에서 시공간을 넘나드는 폭넓은 주제를 다뤄왔으며, 현실 건축 문제에 대한 비판도 피력했다. 연구와 집필에 머물지 않고 그동안 공부하면서 깨달은 내용과 떠오른 아이디어를 실제 설계에 응용하는 작업도 병행해 왔다. 대표 저서로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의 서양건축사』 『‘예(禮)’로 지은 경복궁』 『한국 건축과 도덕 정신』 …
나카 도시하루
도쿄대학원 공학계연구과 건축학전공을 수료했고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야마모토리켄설계공장에서 근무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요코하마국립대학원 Y-GSA의 설계 조수로 활동했으며 2012년에 나카건축설계스튜디오를 설립했다. 2016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 일본관에 출품했으며 주요 작품은 SCOP TOYAMA, 가나자와미술공예대학(공동 설계), 식당이 딸린 아파트, 가즈사키보노사토오무카이상 등으로, 지역 커뮤니티를 의식한 작품을 다수 설계했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2014년에 굿디자인 금상, 2016년에 일본건축학회 신인상, 2024년에 도야마현 건축문화상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 『두 개의 순환(2つの循環)』 『마음을 연결하는 집』(공저)이 있다.
정경원
디자인 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디자인진흥원장과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디자인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상하고 1976년 추천 디자이너로 데뷔했다. 1984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부임해 산업디자인학과의 설립을 주도한 이래로 현재까지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카드, 홈플러스, 롯데건설 등 국내 유수 기업의 디자인 경영 자문위원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1995년부터 4년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의 집행위원을 지냈고 1996년 세계화추진위원회에서 ‘디자인 산업 세계화 방안’을 세웠다. 디자인 전문가로서는 최초로 2000년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원장에 선입되어 코리아디자인센터를 건립하고 …
박창현
서울을 기반으로 건축, 공간, 가구를 디자인하는 건축가다. 2013년 에이라운드건축을 설립하여 건축의 사회적 관점에 관심을 두며 작업한다. 공용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람과 사람의 연결, 건물과 건물의 접점을 통해 동네의 연결을 공간적으로 제안한다. 최근 완공작으로 공동주택인 써드플레이스 시리즈와 정발산 주택 등이 있으며 2002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건축을 가르쳤다. 2013년부터는 국내외 건축가 80여 명의 인터뷰와 언형세미나Language and Form를 통해 건축계의 독자적인 지도를 그려나가고 있다. 에이라운드건축은 2013년에 서울시건축상을, 2014년에 김수근프리뷰건축상을, 2019년에 독일 아이코닉어워드를, 2020년과 2024년에 일본 굿디자인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다.
전나현
이화여자대학교 섬유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산타바바라 브룩스인스티튜트(Brooks Institute)에서 모션 픽처스(Motion Pictures)를 수학했다. 샌프란시스코 AAU(Academy of Art University)에서 컴퓨터아트 석사를 취득했고,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크로스미디어크리에이티브랩(Cross Media Creative Lab)에서 미디어디자인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계원예술대학교 영상디자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표현명
KT 사장. 2004년 KTF 마케팅 부사장 재직 당시 국내 최초로 서비스디자인을 기업 경영과 마케팅 활동에 도입한 주역이다. Have a good time(2005), SHOW(2007), QOOK(2009)에 이어 최고의 감탄사 olleh(2010)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기업 경영자로서의 생생한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KT의 혁신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했고, 국내 디자인 발전에 큰 획을 그었다. 또한 국내 통신시장의 혁신적 성장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산업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공학박사 출신으로서 기술 개발뿐 아니라 마케팅, 경영에 이르기까지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쳐 입사 25년 만에 KT 사장이 되었다. 현재 트위터(@hmpyo)에서 6만 5,000명에 육박하는 팔로워와 소통하는 젊은 브레인이다. 지은 책으로 『서비스디자인 시대』가 있다.
안
팎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안
팎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