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그라픽스
책
사람들
소개
En
사람들
배상규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하고 건설사에서 일했다. 글밥아카데미 영어출판과정을 수료한 뒤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일본식 소형 주택』이 있다.
배상규의 책
다른 사람들
고봉석
홍익대학고 동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브랜드디자인학희 회원이다. 현재 ㈜어거스트 브랜드 대표로 있다. 『브랜드네이밍 개발법칙』을 편역하고 『중국어 브랜드네이밍』을 번역했다.
김황
디자이너. 2006년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안그라픽스에서 UX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후 영국 런던 왕립예술학교(RCA)에서 석사를 취득했으며, 싱가포르/네덜란드 필립스헬스케어에서 UX 디자인 디렉터로 일한 다음 귀국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학과에 합류했다. UNIST 부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OND Lab을 설립해 다수의 디자인 연구와 실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 학회의 이사로 활동한다. 디지털 제품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 전략, 그리고 의료 UX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아울러 RCA에서의 인연으로 동시대 여러 비평적 디자이너와 연대한다. 〈CCTV 샹들리에〉 〈모두를 위한 피자〉 등의 대표작은 런던 바비칸센터, 예루살렘 이스라엘뮤지엄, 서울 페스티벌 봄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공연, 전시 및 상영했다. OND Lab과 함께 디자인 정의에 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며, 디자인 역할의 확장을 추구한다. 급변하는 동시대 삶에 다른 …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해 동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공부했고,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42년 동안 서울시립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의 공동성(共同性, commonness)에 기초한 건축의장과 건축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대한건축학회 부회장, 한국건축학교육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공동건축학교 교장으로 있다. 한국건축가협회상(1997, 2008), 가톨릭미술상 본상(2005), 대한건축학회상(2002), 서울대학교 훌륭한 공대 교수상(2012), 대한민국 생태환경건축대상(2013)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주택: 토지에 새겨진 주거』(1991),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2014), 『건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건축형태의 원리』(1989), 『루이스 칸: 학생과의 대화』(2001), 『건축의장강의』(2008) 등이 있다.
마거릿 커훈
1947–2017년. 괴테주의 생물학자이자 환경 문제를 다루는 교육 자선 단체로 스코틀랜드 이스트로디언의 람머뮤어힐스 기슭에 위치한 생명과학신탁 핏원튼 프로젝트의 창립 이사였다. 1960년대 에든버러대학교에서 동물학과 유전학을 전공하고 1970년대에는 인구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에 관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에도 분류학과 진화의 실체와 관계에 의문을 품고 독일 외쉘브론의 칼구스타프카루스연구소와 스위스 도르나흐의 괴테아눔 자연과학부에서 4년간 괴테 과학 방법론을 배웠다. 예술과 과학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고 조경, 약용 식물 및 동물 진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으며, 잉글랜드 데번의 슈마허칼리지에서 괴테 과학을 활용해 광범위하게 가르치고 연구했다.
LG전자 브랜드북 제작소
1958년부터 지금까지 모두가 더 나은 삶을 누려야 한다는 신념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넘어, 하는 모든 일에 인간 중심의 혁신과 미소를 담아온 LG전자 사람들. LG전자 브랜드북 제작소는 LG전자 사람들의 수많은 경험담 중에 아직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모아 한 권의 책에 소중히 담았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담대하게 삶을 낙관하는 이들이 더 나은 삶의 경험을 만들기 위해 끝없이 도전하며 지켜온 신념이자 약속인 Life’s Good을 브랜드북을 통해 더 널리, 더 깊이 세상에 전하고자 한다.
후카사와 나오토
1956년 일본 야마나시에서 출생했으며, 1980년 다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學)을 졸업했다. 세이코엡손사(Seiko Epson)에 입사해 시계 및 기타 마이크로 전자제품들의 선행 디자인을 담당했고, 1989년에 아이디오(IDEO)의 전신인 샌프란시스코의 제품 디자인 회사 아이디투(ID Two)에 입사했다. 1996년에는 일본으로 돌아가 아이디오 도쿄 지사를 출범시키고 총괄했으며, 2003년에는 나오토후카사와디자인(naoto fukasawa design)을 설립했다. 2001부터 무지(MUJI)의 디자인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며, 2003년에는 ±0(PLUSMINUSZERO)를 출시했다. B&B이탈리아(B&B Italia), 드리아데(Driade), 마지스(Magis), 아르떼미데(Artemide), 대니스(Danese), 보피(Boffi), 삼성 등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회사에서 주문을 받아 디자인하고 있다.
플러 왓슨
RMIT 대학교 건축 및 디자인 학부의 부교수이며 협력적 큐레토리얼을 실천하는 스튜디오 섬싱 투게더(Something Together)의 창립 이사다. 비영리 조직 오픈하우스멜버른의 사무국장 겸 수석 큐레이터를 지냈으며 현재 이사회 임원이다. RMIT 디자인허브갤러리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며 디자인 실험, 프로세스, 리서치에 대한 전시 프로그램을 공동 감독하기도 했다. 리옹하우스뮤지엄갤러리의 창립 수석 큐레이터, 빅토리아국립미술관에서 열린 〈멜버른 나우〉의 초청 건축 큐레이터, 유럽 문화 수도(슬로베니아 마리보르, 2012)의 프로그램 큐레이터(건축) 등 오스트레일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책임 큐레이터를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언리미티드: 아시아–태평양을 위한 디자인’, 스테이트 오브 디자인 페스티벌을 비롯한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며 독립 갤러리 핀업아키텍처&디자인프로젝트스페이스를 공동 창립했다. 《모뉴먼트》의 전 편집장을 지냈으며 에드먼드&코리건의 『희망의 도시: …
이주명
서울대학교에서 산업 디자인, 영국 레스터폴리테크닉에서 디자인경영을 공부했다. 금성사로 불리던 시절 LG 전자에 입사하여 9년이 좀 넘는 기간 동안 기획과 제품 디자인 실무 경험을 쌓았다. 인제대학교를 거쳐 지금은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에서 제품 디자인, 디자인방법, 디자인경영 등을 가르친다. 오래전부터 디자인의 질적 특성에 주목해 왔으며, 사회적, 기술적 변화 속에서 생존 가능한 디자인의 특성, 작동 방식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김태화
영상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뒤 SBS디지털뉴스랩 작전콘텐츠팀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며 〈스브스뉴스〉 〈문명특급〉 등 다양한 브랜드 및 콘텐츠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친환경 커머스 브랜드 175플래닛의 디자인도 겸하고 있다.
푸하하하프렌즈
푸하하하프렌즈는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세 명의 소장과 여섯 명의 동료로 구성된 건축설계 사무소다. 윤한진, 한승재, 한양규 셋은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dmp)에서 만나 동료로서 인연을 맺었으며 2013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도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작업을 보여준다. ‘2019 젊은건축가’로 선정되었다.
양예규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시각 디자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 패션인스티튜트테크놀로지(Fashion Institute Technology, F.I.T)에서 웹 디자인 과정을 수료했다. 광고대행사 ㈜한컴의 전신인 ㈜삼희기획 광고제작팀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하고 동덕여자대학교 시각 디자인학과에서 CI와 컴퓨터그래픽을 강의했다. 현재 ㈜뉴트리션웨이브 디자인실 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정민주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산업 디자인과 국제 경영을 공부한 뒤 제품 디자이너로서 의료기기 및 다양한 가전제품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이후 브루넬대학교에서 디자인과 브랜딩 전략(Design and Branding Strategy)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최근에는 플랫폼 전략과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