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세계 초고층 빌딩: How to Build a Skyscraper

온라인 판매처

도시의 상징, 높이의 역사
세계의 초고층 빌딩은 어떻게 지었나

오늘날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바꾼 고층 건물은 누가, 왜 그리고 어떻게 지은 것일까? 『세계 초고층 빌딩』은 2020년이면 최고층 건물 자리에서 물러날 두바이 부르즈할리파를 비롯해 전 세계의 대표적인 초고층 빌딩을 다룬다. 각 건물의 형태와 구조를 재현한 삽화와 단면도, 시공 정보는 물론 이고 건물과 관련된 주요 날짜와 수치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착공에서 완공까지 수많은 사람의 수고와 기대로 지어 올린 하나의 건물은,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다. 이 책은 19세기 말 고층 건물의 등장으로 시작된 변화와 그 치열한 현장을 기록하며, 초고층 빌딩이라는 상징적인 매개를 통해 근현대 건축의 면면을 들여다본다. 도시의 랜드마크이자 누군가의 일터이고 집이기도 한 초고층 빌딩은, 지금 이 순간에도 높이의 한계에 도전하고 있다.

편집자의 글

초고층 빌딩이 높기만 한 건 아니다?
높이만큼 흥미로운 건축 이야기

도심에서 고개를 들면 하늘에 닿을 만큼 크고 높은 빌딩이 줄지어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이 300미터 이상인 건물을 뜻하는 ‘초고층 빌딩’은 도시 풍경뿐 아니라 사회문화와 경제 흐름까지 바꿔 놓는다. 황무지에 우뚝 선 빌딩 한 채가 새로운 도시를 형성하기도 한다. 더 높이 오르고 싶은 인류의 바람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하지만 욕망으로 점철되어 결국 무너지고 마는 전설 속 탑과는 달리, 현시대 고층 빌딩은 구체적인 목적과 다양한 효용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도시를 둘러싼 환경을 진단하여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탄탄한 시공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기획 단계부터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민하여 단지 도시 풍경을 누리는 데 그치지 않고 가꾸는 데 일조한다. 자연 환기 비율이 80퍼센트에 이르는 독일 코메르츠방크타워의 환기 시스템이나, 녹지 대체 비율 1100퍼센트를 기록한 싱가포르 오아시아호텔의 하늘공원, 옛 선박 건조장 터를 재개발하는 프로젝트의 구심점이 된 스웨덴 터닝토르소의 복합단지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사회와 구성원을 위해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갖추는 일이 빌딩의 주요 과제이지만, 존재만으로도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건물도 있다. 뉴욕의 원월드트레이드센터와 런던의 30세인트메리액스처럼 비극적인 사건을 딛고 건립된 경우다. 아픈 기억을 고스란히 안고 재탄생한 공간에 하나둘 사람들이 드나들기 시작하면, 도시와 사람 그리고 건축의 유기적인 관계가 한층 견고해진다. 결국 무너진 삶을 세우기 위해 건물도 다시 세워져야 한다.

어제와 오늘의 교차점
도시가 남긴 성실한 기록들

지은이 존 힐은 성실한 기록자이자 건축 리서처다. 그는 매일 자신의 레이더망에 걸린 건축물에 관한 자료를 모아 블로그에 공유한다. 이 책은 그의 기록 중에서도 도시설계와 건축, 건설,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한 세계 초고층 빌딩 46채에 관한 탐구 결과다. 건물의 외형과 내부적인 특징은 물론, 착공하여 완공되기까지의 과정, 매각이나 계약 분쟁이 일어난 부분도 놓치지 않고 있다. 이런 자료를 기반으로 지난 100년 동안 도시가 어떻게 변화했으며, 초고층 빌딩이 왜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는지 소개한다. 내용에 자주 등장하는 시공 과정과 건축 용어는 전문적인 영역이지만, 잘 요약된 정보와 간단한 수치, 정교한 일러스트가 건축과 무관한 독자에게도 재미와 영감을 준다.

역사와 문화를 담은 건축물
그리고 거장들의 향연

초고층 빌딩은 도시의 상징이다. 그런 만큼 건물을 지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지은이는 자연, 경제성, 기술, 심미성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제시하며, 초고층 빌딩이 주변 환경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지켜보길 권한다. 그 저변에는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람이 있다. 이 책은 여러 도시를 넘나들며 저마다 개성 있는 자태로 시선을 압도하는 초고층 빌딩을 소개하는가 하면, 장 누벨과 렌조 피아노, 지오 폰티, 렘 콜하스, 단게 겐조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치열하게 작업하던 현장으로 독자들을 인도한다. 박물관 사료들이 지난 역사와 문화를 대변한다면, 초고층 빌딩은 늘 입체적이고 생생한 존재로서 동시대 역사와 문화를 말한다. 이제 그 풍경을 직접 눈에 담아보자. 이 책이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책 속에서

샌프란시스코는 지질 활동이 활발한 곳이지만, 이 건물은 피라미드 형태 덕분에 무게 중심이 낮아서 구조가 안정적이다. 트랜스아메리카피라미드는 도시의 다른 고층 건물들처럼 진도 8.3의 지진을 견디도록 설계되었다. 정사각형인 건물 하부에는 횡력과 비틀림에 안정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구조체가 확연히 드러난다. 구조 성능이 시험대에 오른 것은 1989년 진도 7.1을 기록한 로마 프리에타Loma Prieta 지진이 일어났을 때였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트랜스아메리카피라미드는 약 1분 동안 최대 30cm까지 흔들렸지만 아무런 손상 없이 버텼다.

「트랜스아메리카피라미드」, 10쪽

프랑스 건축가 장 누벨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바로셀로나수자원공사 사옥인 토레아그바르를 ‘타워나 고층 건물이 아니라 솟아오르는 기이한 존재… 간헐 온천처럼 땅을 뚫고 샘솟는 유체’라고 표현했다. 이 타원형 건물은 누가 봐도 고층 건물이지만, 토레아그바르가 바르셀로나 지역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회사라는 점을 생각하면 장 누벨의 비유에도 일리가 있다. 아그바르는 2015년 사옥을 이전하면서 2017년 초에 이 건물을 매각했다. 하지만 토레아그바르는 형태와 구조, 색채 표현으로 여전히 특별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토레아그바르」, 68쪽

독립을 맞은 뒤 폴란드 정부는 ‘스탈린의 손가락(Stalin’s Finger)’이라 불리는 문화과학궁전을 철거할지 보존할지 고민에 빠졌다. 부정적인 수식어가 따라붙기는 하지만 이 궁전은 인상적이고 탁월하며 쓰임새가 많아서 보존하는 쪽이 더 합리적이었다. 2000년대 들어 첨탑에 시계를 부착하면서 건물을 보존하기로 했고, 문화과학궁전은 세상에서 가장 높은 시계탑이라는 칭호를 누렸다.

「문화과학궁전」, 106쪽

이렇게 하늘을 찌를 듯한 극초고층 빌딩을 설계할 때는 건축학과 구조 공학이 똑같이 중요하다. 하지만 에이드리언 스미스는 자연과 역사에서 설계 아이디어를 얻었다. 부르즈할리파의 Y자형 평면은 사막 꽃인 히메노칼리스(Hymenocallis)의 형태에서 따온 것이고, 계단형 외관을 따라 베이 윈도처럼 설치한 창문은 정통 이슬람 건축 양식을 표현한 것이다.

「부르즈할리파」, 134쪽

일반적인 고층 건물에 반하는 ‘anti-skyscraper’ 고층 건물이 있다면 그건 바로 CCTV 사옥이다. 로테르담에 OMA를 설립한 렘 콜하스(Rem Koolhass)는 2002년 CCTV가 개최한 설계 공모전에 출품하면서 고층 건물은 따분하고 1972년 뉴욕에 쌍둥이 빌딩을 지은 이후로 별다른 발전이 없다고 평했다. 콜하스는 베이징 중심 업무 지구에 우뚝 솟은 단일 건물을 지어서 기록을 세우기보다 방송 제작과 과정의 편의성을 높이자고 제안했다. 두 건물은 지상 200m 37층에서 길이 75m 캔딜레버를 내밀며 만나는 형태로, 두꺼운 뫼비우스띠를 닮은 닫힌 고리 모양이었다.

「CCTV 사옥」, 160쪽

롯데월드타워의 외부 형태는 공기역학적으로 단순하지만 내부는 외부와 달리 단순하지 않다. 12종이 넘는 시설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롯데월드타워의 정사각 평면은 업무 시설 상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올라오다가 그 뒤로는 지붕 위로 뻗은 조명탑에 이를 때까지 점차 좁아진다. 조명탑 아래 움푹 들어간 부위가 끝나는 곳에는 전망대가 튀어나와 있다. 아찔한 광경이 펼쳐지는 이 전망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유리 바닥 전망대다.

「롯데월드타워」, 176쪽

차례

도시, 상징을 짓다

북아메리카
트랜스아메리카피라미드 | 샌프란시스코
레이니어타워 | 시애틀
파운틴플레이스 | 댈러스
트리뷴타워 | 시카고
존핸콕센터 | 시카고
윌리스타워 | 시카고
터미널타워 | 클리블랜드
PPG플레이스 | 피츠버그
앱솔루트타워 | 미시소가
플랫아이언빌딩 | 뉴욕
울워스빌딩 | 뉴욕
크라이슬러빌딩 |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 | 뉴욕
원월드트레이드센터 | 뉴욕

중남미
토레코스타네라 | 산티아고

유럽
토레아그바르 | 바르셀로나
토레세프사 | 마드리드
센터포인트 | 런던
로이즈빌딩 | 런던
30세인트메리액스 | 런던
더샤드 | 런던
코메르츠방크타워 | 프랑크푸르트
피렐리타워 | 밀라노
터닝토르소 | 말뫼
문화과학궁전 | 바르샤바
이스탄불사파이어 | 이스탄불
에볼루션타워 | 모스크바

아시아
바레인세계무역센터 | 마나마
알바하르타워 | 아부다비
킹덤센터 | 리야드
부르즈알아랍 | 두바이
O-14 | 두바이
부르즈할리파 | 두바이
마하나콘 | 방콕
페트로나스트윈타워 | 쿠알라룸푸르
오아시아호텔 | 싱가포르
비텍스코파이낸셜타워 | 호찌민
광저우타워 | 광저우
중국은행타워 | 홍콩
CCTV사옥 | 베이징
상하이세계금융센터 | 상하이
상하이타워 | 상하이
타이베이101 | 타이베이
롯데월드타워 | 서울
모드학원코쿤타워 | 도쿄

오세아니아
Q1타워 | 골드코스트

용어 해설
찾아보기
감사의 글, 도판 출처

존 힐

건축에 관한 대중적인 글쓰기로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한 작가이자 저술가. 뉴욕에 거주하며 건축 블로그 ‘날마다 건축(A Daily Dose of Architecture)’을 운영한다. 또 월드아키텍츠닷컴(World-Architects.com)의 편집자로 일하며 미국 지부가 수여하는 올해의 건물상을 감독한다. 지은 책으로『뉴욕의 현대 건축 가이드(Guide to Contemporary New York City Architecture and 100 Years, 100 Buildings)』가 있다.

배상규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하고 건설사에서 일했다. 글밥아카데미 영어출판과정을 수료한 뒤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일본식 소형 주택』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