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사물에 수작 부리기: 손과 기술의 감각, 제작 문화를 말하다

Buy

손과 기술의 감각, 제작 문화를 말하다

날로 발전해가는 기술혁명의 쓰나미 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미래에 대한 우리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기술을 부릴 통제 능력과 조작 능력이 점점 퇴화하면서 오히려 기술 소외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 책 『사물에 수작 부리기: 손과 기술의 감각, 제작 문화를 말하다』는 ‘제작 문화’에서 그 해법을 찾고자 한다. 즉 ‘제작’ 혹은 ‘수작’을 통해 기술 과잉의 시대에서 잃어버린 인간의 자율 감각을 되찾고 첨단기술에 대응하는 성찰적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이는 기계와 인간의 공존, 공유의 지식 운동, 대안 기술 공동체, 사물에 대한 상상력 그리고 실천하는 삶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허상과 암흑상자black box처럼 밀봉된 과학기술의 강요된 전망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요컨대 제작 문화는 현대인의 생존 가이드이자 사물과 기술 공생의 방법임을 제안하고 있다. 제작이란 인간이 이룬 기술 문명을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그 원리를 이해해 지혜에 이르는 최선의 방도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제작’이라는 화두로 엮은 한 권의 생생한 콜로키움이다. 제작 문화와 관련해 다양한 일선에 종사하는 전문가 8인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다층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제작 문화의 현주소를 바라보며 담론을 벌인다.

편집자의 글

기술 과잉의 시대에 수작의 의미를 묻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매일 넘쳐나는 기술에 압도당하고 있다. 가면 갈수록 평범한 삶과 멀어지는 거대 기술의 진화 방향 때문에 사물의 원리나 설계에 대한 이해 없이 맹목적인 소비만을 강요당하기 일쑤다. 당장 우리는 가까운 미래를 알아보는 눈조차 잃어가고 있다. 결국 이렇게 차고 넘치는 기술은, 미래에 대한 투명성과 권능을 부여하기보다는 우리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저 멀리 어두컴컴한 ‘암흑상자’ 같은 밀봉된 미래로 인도할 뿐이다.

이 책은 자본주의 기술을 사료 삼아 먹고 자라 탐색과 자율 감각을 잃은 현대인의 기괴한 모습에서 과감히 벗어나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저항을 촉구할 것을 제안한다. 그것은 바로 ‘제작 문화’를 통해 사물의 설계와 원리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책 제목이기도 한 ‘사물에 수작 부리기’는 이렇듯 기술 소외로 퇴화하는 현대인에 대한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대응이자 미래 생존과 공생의 해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작’은 손과 몸으로 기계와 사물을 더듬어 지혜에 이르는 ‘수작手作’ 부리는 행위이기도 하고, 그 사물의 질서에 비판적 딴죽을 거는 ‘수작酬酌’질이기도 하다. 요컨대 이 책에서 말하는 수작이란 줄곧 스스럼없이 받아들이고 오로지 쓰는 데만 익숙한 채 사물과 기술의 질서를 대하는 우리 현대인의 안이함과 무기력함을 일깨우기 위한, 손과 몸을 매개한 인간의 적극적인 실천과 개입이라 볼 수 있겠다.

이 책은 기존 과학기술의 성장, 발전, 승자독식 개념을 공동체적 공생의 ‘수작과 제작’이란 프레임으로 재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4차 산업혁명의 허상에서 기술 경제성장의 동력을 찾으려 헤매기보다는, 이제 조금 느리더라도 주어진 환경에 맞춰 움직이려는 제작 문화를 구상하자고 제안한다. 이는 기계와 인간의 공존을 찾는 ‘기술과 몸의 앙상블’이란 문명의 지혜에 다가서는 길이기도 하다.

제작 문화의 [심], 미학적 가치와 담론을 그리다

이 책에 참여한 8인의 필진은 제작 문화와 관련해 꾸준히 연구하며 대안의 교육 설계, 문화 실천 그리고 예술 현장에서 활동하며 가치 찾기를 시도해온 사람들이다. 그런 만큼 제작 문화를 대하는 사회 감각과 현장 배경도 매우 다채로운데, 이 책에서는 각자의 색깔을 유지하되 방향성에 따라 크게 두 묶음으로 나누었다. 먼저 1부 제작의 ‘심’에서는 주로 제작의 미학적 가치와 철학, 역사, 담론을, 2부 제작의 ‘꼴’에서는 그것의 구체적 양상과 실천 방법을 논한다. 1부 네 편의 글은 주로 수작과 제작 관련 이론에 방점을 두어 오늘날 제작 문화의 위상학적 지형을 그려내고 이로부터 대안 구성까지 논의하고 있다.

1부 제작의 ‘심’을 여는 첫 글에서 이광석은 제작 문화를 동시대 기술 환경뿐 아니라 우리 주위를 둘러싼 모든 사물에 대한 성찰적이고 공생의 관계론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사물을 꿰뚫어보는 제작의 힘이란, 사물을 요리조리 뜯어보고 다시 고쳐 쓰면서 현대 자본주의가 강제하는 몸 감각의 퇴화를 유보하고 사물의 이치를 간파할 때 생성된다고 말한다. 이때 제작하는 감각을 단순히 개인 차원이 아닌 ‘사람과 사람’의 호혜적 관계 속에서 사물에 대한 공통 감각을 개발해 상생과 공존의 삶을 도모하는 구체적 실천으로 확장하자고 제안한다. 이어지는 장훈교의 글은 우리가 사는 도시의 미래 설계와 제작 문화 전망과 비전을 연결하고 있다. 특히 탈성장 운동과 제작자 운동의 융합을 도모해 시장 발전주의적 지향을 털어내고 ‘성장 이후’의 구체적 미래를 구상한다. 그는 이 둘의 운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과 사물의 관계를 재정립하길 요청하면서, 소비를 줄여 하나의 상품을 고쳐 쓰는 ‘절제’의 방법과 자본주의 상품 의존을 줄이는 대안 제작 방법을 모색한다. 아울러 새로운 도시의 자유를 탐구하는 ‘시민제작도시’를 규정하고, 분산제작 시스템의 도입과 확산을 통해 일상생활의 필요를 충족하는 대안 제작의 기술을 시민에게 접속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최혁규는 국내 제작 문화에 대한 논의를 크게 세 가지로 살피고 있다. 중앙정부에 따른 경제주의 담론, 서울시와 관련 정부 연구기관들을 통한 사회혁신 담론, 문화와 예술 현장을 둘러싼 비판적 제작 담론이다. 그의 글은 제작 담론의 지형을 살피는 목적을 지니지만, 동시에 국내 제작 문화의 역사적 전통과 맥락, 이미 국내 제작 문화의 주류가 된 ‘메이커 운동’의 확산 의도, 창작·제작 담론들의 상호 관계 등을 이해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1부를 마무리하는 신현우의 글은 주류화된 메이커 문화의 질서 속에서 궁극적으로 제작 문화의 대안 찾기에 대해 되묻고 있다. 그는 ‘DIY(자가제작 운동)’의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전사를 통해 제작 문화의 옛 계보를 따지는 한편, 현재 진행 중이나 비판적 태도에서 벗어난 ‘메이커 운동’의 자본주의적 포획을 크게 우려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마르크스의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개념을 가져와 자본주의적 노동과 생산의 굴레로부터 해방된 개인들의 연대와 상호 공동체를 만들어 기술사회적 지평의 확장을 꾀할 것을 제안한다.

제작 문화의 [꼴], 구체적 양상과 실천 방법을 제안하다

2부 제작의 ‘꼴’에서 만나는 네 편의 글은 현실에서 관찰되는 제작 문화의 실제 모습을 비판적으로 전달한다. 좀 더 현장의 목소리에 가까운 경험과 통찰을 담아 제작 문화를 통한 사물 탐색과 공생의 실천에 깊이 닿아 있다. 그 포문을 여는 박소현은 ‘크리티컬 메이킹(비판적 제작 문화)’이라는 서구에서 시작된 제작 문화의 주요 개념적 논의를 정리한다. 예컨대 ‘만들기making’와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를 통합적으로 사유하는 제작 문화의 근원, 주류화된 ‘메이커 문화’에 대비되는 제작 문화의 비판 정신 그리고 제작 행위를 통한 문화정치적 저항과 개입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는 서구 제작 문화의 비판적 전통과 달리, 이미 국가 주도형 사업이 되어 다양한 시민사회의 공적 가치 개입이 요원해진 국내 4차 산업혁명의 과잉을 현실 개혁의 대상으로 삼아 접근할 것을 요청한다. 이어지는 세 편의 글은 그들 스스로 창작과 제작을 몸으로 직접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물이다.

먼저 언메이크랩 최빛나, 송수연 듀오의 글은 사물로서 ‘키트’를 매개해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내 제작 문화의 역사를 살핀다. 이들은 키트에 대해 그 사물이 닫힌 완제품의 기술이라기보다 이용자의 해석과 다른 사물과의 접합으로 무한히 열린 과정적·매개적·수행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이는 두 사람이 키트를 상업화된 기술의 ‘암흑상자’라 간주하기보다 사물의 원리를 이해하며 구축하는 ‘회색상자’로 보고 접근하는 태도와 맞닿아 있다. 다음은 ‘오토마타Automata’ 예술을 행하는 전승일 작가로,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 시작된 오토마타, 즉 자동인형기계의 동서양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자본주의 자동기계와 오토마타의 다른 점을, 인간의 미학적 이상과 감성이 이입된 자동인형의 운동성과 생동성에서 찾고 있다. 그는 자본주의의 표준화된 기계와 사물의 꽉 짜인 시장 질서가 주는 지루함이 아니라, 자동으로 반복해 움직이지만 인간의 감성과 상상력이 응축되고 스며들어 내적으로 결합된 사물이 우리에게 주는 감정적 희열을 높이 산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정리하는 글을 쓴 생활기술 실천가 김성원은 몸소 경험한 자전적 수작론을 펼치고 있다. 오랫동안 생활기술이자 적정기술의 일환으로 삼고 흙, 실, 철, 석조, 볏짚, 목공 작업을 하며 손과 몸의 감각을 익힌 그는, 이를 통해 사물의 원리를 이해하고 삶을 재조직할 수 있었음을 강조한다. 김성원은 동시대 제작자 운동이 불붙은 경위에 전 세계 자본주의 금융과 발전 위기가 가로놓여 있다고 서술한다. 그리고 각자도생의 방안으로 시작된 오늘의 제작자 운동을 잘 보듬어 인간 삶을 이해하고 풍요롭게 하는 촉매로 적극 견인해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책을 관통하는 주요한 메시지이자 제작 문화를 이루는 모두가 견지해야 할 태도이다.

책 속에서

사물 대부분이 암흑상자가 되어버린 오늘날 첨단 자본주의 세계에서는 더욱 사물의 원리와 설계를 살피는 노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인간 몸 밖에 있던 외부 사물과 기계 환경이 점차 신체로 파고드는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가 도래해 그 암흑상자를 아예 우리 몸 깊숙이 끌어들일 확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 결국 우리를 둘러싸거나 우리 신체에 이미 도킹한 사물과 기계를 부대끼며 그 원리에 접근하려는 수행성을 향상하는 쪽으로 문명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이렇게 사물과 기술 설계에 직접 참여해 느꼈던 ‘생산’과 ‘제작’ 미학의 유쾌한 경험을 널리 공유하고 사회적으로 기술 대안을 찾는 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광석, 「제작 문화, 사물 탐색과 공생의 실천」, 27–28쪽

탈성장 운동은 제작자 운동의 산업화를 통한 또 다른 발전전략으로의 귀결에 비판적인 시선을 제공하는 동시에 제작자 운동을 탈성장이라는 전환 프로젝트로 통합하는 경로를 열어준다. 또한 제작자 운동은 탈성장 운동에 현실 속 구체적 장소를 제공하며, 이행을 위한 도구와 기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지평의 융합이 발생할 때, 우리는 기존과 다르게 시민과 제작이 융합되는 방식으로 자유를 정의하고 접근하는 조건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장훈교, 「시민제작도시, 도시의 전환을 위한 탈성장·제작자 운동」, 65–66쪽

메이커 운동이 형성한 지식 담론은 경영학적 지식과 미래학적 지식이 상동성을 갖고 전개되며, 메이커 주체와의 문제, 산업구조 혁명의 문제에서 신자유주의적 경영 이데올로기와 기술혁신의 이데올로기가 혼재되어 쟁점으로 드러난다. 이 둘은 글로벌한 신자유주의의 위기와 저성장이라는 맥락에서 상호 결합된 ‘기술혁신경영 이데올로기’로 등장해 수사학적 전략을 펼치고 있다.

최혁규, 「메이커 문화의 담론적지형」, 89쪽

인간은 물질계에서 고독한 개인이 아니며, 모든 것을 혼자 만들 수도 소유할 수도 없다. 물질 생산의 새로운 어소시에이션이라는 상상 속에서 모든 종류의 생산기술과 정보기술이 동원되어야만 한다. 자유로운 개인들이 스스로 질료와 형상을 변형시키는 작업 과정을 기획하고 통제하고 실천하는 손의 감각과 그것에 내재된 기술의 사회적인 지평의 연대라는 점에서, 그 소유와 공유의 변증법적 관계 속에 국가가 아닌 공동체가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신현우, 「자본의 메이커 문화 속 어소시에이션 상상하기」, 114쪽

이때 중요한 것은 혼자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 모든 과정을 공유하며 수행한다는 것이다. 크리티컬 메이킹은 어디까지나 집단적이고collective 협력적인collaborative 방법론으로 고안된 것이었다. 이 세계 속에서 아직 사회문제로 인식되거나 규정되지 못한 다양한 문제를 찾아내 정의하고, 그 해결을 위한 집단적 틀을 개발하는 과정은 고독한 학자나 기술자의 역량을 넘어서기 때문이었다.

박소현「4차 산업혁명 신드롬이 말하지 않는 것, 크리티컬 메이킹이 말하려는 것」, 164쪽

메타적 성격의 키트에서 중요한 요소는 이용자의 능동적 수행 가능성이다. 메타적 키트는 키트라는 사물이나 재료의 사용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통해 주어진 용도를 넘어서거나 변형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기존 키트의 기능인 메커니즘의 구축, 전기·전자적인 회로의 이해, 과학의 원리를 이해하기 등을 넘어서 키트가 가질 수 있는 다층적 곧 과학적·공학적·기술적·예술적 접근 방법으로 메타적 사물과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리고 이런 연결 고리는 개인 층위에서 일어나는 제작 활동, 오픈소스 문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활동과 교류를 통해 촉발되고 있다.

언메이크랩, 「제작 문화와 회색상자로서의 키트」, 190쪽

예술의 관점에서 오토마타를 말할 때, 그것은 과학과 예술 및 엔지니어링과 감성적 상상력의 ‘변증법적 통합성’을 전제로 한다. 기계장치 운동의 일반적 원리와 예술적 상상력의 결합은 서로 단순하게 양적·물리적 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성과 미적 이상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개별적인 화학적 결합과 증폭을 필요로 한다. 중요한 것은 양자 간 ‘융합의 밀도’이다.

전승일, 「오토마타의 역사와 현대 오토마타 예술」, 203쪽

돌이켜보면, 오랜 인류 역사 동안 사람들은 자기 삶에 필요한 물건을 구매해서 쓰거나 타인에게 맡기는 경우가 없었다. 왕족이나 귀족을 제외한 대다수는 먹거리를 위해 농사를 짓고, 요리를 하고, 삶에 필요한 도구들을 직접 만드는 노동으로 채워졌다. 지금과 같은 생활 방식은 기형적이다. 인공지능, 로봇이 발달해도 인간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직접 뭔가를 제작하는 욕구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제작’이란 개념을 “판매할 물건을 만드는 생산 활동”에서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만드는 행위”로 재정립해야 한다.

김성원,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손의 감각과 적정기술」, 217쪽

차례

기술로 수작하다

제작의 심
이광석 | 제작 문화, 사물 탐색과 공생의 실천
장훈교 | 시민제작도시, 도시의 전환을 위한 탈성장·제작자 운동
최혁규 | 메이커 문화의 담론적 지형
신현우 | 자본의 메이커 문화 속 어소시에이션 상상하기

제작의 꼴
박소현 | 4차 산업혁명 신드롬이 말하지 않는 것, 크리티컬 메이킹이 말하려는 것
언메이크랩 | 제작 문화와 회색상자로서의 키트
전승일 | 오토마타의 역사와 현대 오토마타 예술
김성원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손의 감각과 적정기술

찾아보기
도판 출처

Lee Kwang-suk

Lee Kwang-suk is a professor of digital culture policy at the Graduate School of IT Polic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criticism, writing, and field activities with a critical interest in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society, and culture.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technocultural studies, media and art activism, information commons studies, youth surplus culture and technology studies, and he is currently focusing on archival studies of online activism and participatory art, critical hand-made culture studies, digital humanities criticism, and socio-cultural history of the early Internet. He is the author of Betrayal of the Digital, Aesthetics of Data Society, Critique of Data Society, New Art Activism, Cyvantgarde , Digital Savagery, Rooftop Aesthetics Notes, Impure Technology, Forks in Contemporary Technology and Media Philosophy, and Tinkering with Things.

Jang Hun-gyo

A full-time researcher at the Research Center for Common Resources and Sustainable Societ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he dreams of running a small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name Democracy for All. She is the author of The Miryang War: A Radical Democracy Project Based on Common Resources and is currently working on her next book.

Choi Hyuk-kyoo

A member of the steering committee at the Center for Cultural Society and a former activist with the Cultural Action. Currently works in the field of cultural education. Maintains a steady interest in technology, culture, and labor while studying cultural theory and social sciences.

Shin Hyun-woo

A digital culture researcher specializing in critiques of information capitalism, game studies, and technology and information cultur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writing projects. Co-authored the book Mario, Born in 1981.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전공 교수. 「전쟁의 기억과 문화국가론」 「박물관의 윤리적 미래-박물관 행동주의의 계보를 중심으로」 「문화정책의 인구정치학적 전환과 예술가의 정책적 위상」 「이중섭 신화의 또 다른 경로(매체)들-1970년대의 이중섭 평전과 영화를 중심으로」 「미술사의 소비」를 저술했다. 지은 책으로 『모두의 학교-더 빌리지 프로젝트』(공저) 『한국현대미술 읽기』(공저) 『아시아 이벤트-서로 다른 아시아들의 경합』(공저)이 있다.

Unmake Lab

Unmake Lab turns algorithmic obsessions into irony, allegory, and a form of humor using machine perception in an unconventional manner. Specifically, they superimpose the historical context of developmentalism with the resource extraction aspect of machine learning to shed light on contemporary socio-political and ecological situations. In recent times, their narratives have been constructed upon elements such as Generic Nature, disaster, datasets, and computer vision. Besides their artistic approach, education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their methodology. They actively engage in discourse and research through participation in events such as Forking Room.

Chon Seung-il

An adjunc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patial Production a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and an automata artist. As the director of Studio Mimesis and Automata Workshop, he is actively involved in animation, automata, and kinetic art through education, exhibitions, and various projects.

He co-authored the book Automata Workshop and has showcased his work in notable exhibitions such as ‹Chon Seung-il’s Thinking Automata› (2017), ‹Goguryeo Mural Automata› (2017), ‹Friends of the Sky World› (2017), ‹Scotland Moving Toy Special Exhibition› (2017), SICAF ‹Chon Seung-il Automata Invitational Exhibition› (2016), and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to Hwaseong› (2016).

Kim Seong-won

Director of the Play AT Institute. He teaches young people at the Kurikindi center. He is the author of “An Earthbag House with Neighbors, The Return of the Fire Pit, The Age of the Woodstove, and “My Hands Are Tired.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