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폼 표면 아래 숨겨진 파열과 변주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최철용의 《유니 폼: 브로큰 트윌》, 유니폼을 균열의 출발점으로 다시 읽다
이 책 『유니 폼(Uni Form)』은 패션 디자이너이자 현대미술 작가 최철용의 개인전 《유니 폼: 브로큰 트윌(Uni Form: Broken Twill)》(토탈미술관, 2025. 8. 28.–9. 28.)을 기록하고 확장한 전시 도록이다.
『유니 폼』은 ‘유니폼’이라는 제도적 형식을 해체하고, 그 틈에서 발생하는 균열과 저항의 언어를 탐구하는 최철용의 작업 세계를 집약한다. 전시장에서 선보였던 대형 회화, 직조 패턴 연작, 신체와 사회 구조의 긴장을 다룬 작업들이 이미지와 글로 충실히 담겼으며, 이로써 이 책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예술적·철학적 사유의 장으로 자리 잡는다.
전시 제목 유니 폼(uni form)은 단어 ‘uniform’을 ‘uni(하나)’와 ‘form(형식)’으로 분리하여, 동일성과 규율 사이의 틈을 드러내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도록은 이러한 개념을 이미지와 텍스트, 디자인 차원에서 이어받아 유니폼의 표면 아래 숨겨진 파열과 변주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탐구한다.
한편 본서에는 전시의 개념적 토대를 심화하는 미학자 하선규의 글(미학 이론)이 여러 편 실려 있다. 그의 글은 ‘브로큰 트윌(Broken Twill)’이라는 직조 기법을 사회적 규율과 제도의 은유로 확장하며, 균열과 변형이 발생하는 순간을 현대적 주체의 불안정성과 연결해 해석한다. 이 비평적 글들은 보는 이가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고 작품의 의미를 사유하게 만들며, 도록을 단순한 도큐멘테이션을 넘어선 ‘읽는 전시’로 탈바꿈시킨다.
책 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대형 회화 〈기억의 파편이 새기는 푸른 상흔〉으로 유니콘, 권총, 우유 같은 상징적 이미지로 집단적 기억 및 개인적 상흔을 교차시키며 11미터 너비의 장대한 화면 위에 펼쳐 보인다. 그 외 〈질서의 농도〉 연작은 반복과 배열로 구축된 집단 이미지 속에서 개인의 흔적을 포착하며, 〈분절된 시선의 떨림: 굴절된 능직의 시학〉은 검정의 농도와 흔들리는 직조 패턴으로 유니폼이 지닌 이중적 성격을 드러낸다. 〈심연을 향한 은밀한 항해: 12개의 이야기〉는 얼룩, 군복, 퍼레이드 같은 모티프를 통해 개인의 예측 불가능한 일상이 집단적 규율에 맞서는 순간을 탐구한다.
이 책의 북디자인은 패션과 출판의 경계를 실험적으로 다뤘다. 패브릭 원단 위에 실크 인쇄된 라벨을 표지에 실제 미싱으로 봉제하여 부착하는 등 의복의 제작 방식을 출판물의 물리적 형식에 접목시켜보고자 했다. 이 물성은 ‘유니폼’이라는 주제를 시각적·촉각적으로 구현하며, 책 자체를 전시의 연장선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오브제로 만든다.
『유니 폼』은 이처럼 텍스트, 이미지, 디자인이 긴밀하게 결합된 출판 실험을 통해 동일성과 질서의 상징으로 여겨져 온 유니폼을 균열과 변주의 출발점으로 다시 성찰한다. 독자는 책장을 넘기며 전시장에서의 체험을 되새김과 동시에 우리가 입는 의복과 살아가는 세계의 무늬 그리고 그 이면의 틈을 사유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