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한국의 화훼영모화

온라인 판매처

꽃과 새, 곤충과 풀, 동물과 풍경을 담은 우리 그림 화훼영모화
한국 미술사의 큰 흐름을 따라 화가의 눈으로 살펴보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사임당 신씨,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조선시대의 인물이라는 것 외에는 언뜻 보기에 전혀 비슷한 점이 없어 보이는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우리의 전통 회화인 화훼영모화를 그린 화가들이라는 점이다.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그동안 화조화라 불려왔던 꽃, 새, 곤충, 풀, 동물을 담은 그림을 ‘화훼영모화’라는 큰 화목으로 재정의하고 고대부터 조선시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상황과 화법 등을 설명하고 대표 작가와 작품을 선별해 소개한다.

편집자의 글

책의 구성만 보면 일반적인 한국 미술사 책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는 다른 미술사 책과는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이 책의 지은이가 미술사를 공부한 학자가 아닌 그림을 전공한 화가라는 점이다. 이 책의 지은이인 전주교육대학교 장지성 교수는 동양화를 전공한 화가이지만 옛 그림을 따라 그리는 임모(臨摸)를 하면서 한국 미술사를 공부하게 되었고 그러면서 생긴 의문과 생각을 화훼영모화를 중심으로 정리했다. 따라서 우리에게 친숙한 사임당 신씨, 겸재 경선, 김홍도 등 다양한 인물, 작품은 물론 전통 회화를 전공한 화가의 관점을 더해 미술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이징, 최북, 신명연 등의 인물과 작품을 담아 비교하고 설명한다. 또한 관련 자료가 없어 지금까지 잘 다뤄지지 않았던 고대와 삼국시대의 화훼영모화의 흔적도 지은이만의 관점으로 정리했다.

이 책에는 화훼영모화의 배경과 화법, 대표 화가와 작품을 설명하는 데 꼭 필요한 그림들이 국립중앙박물관, 간송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 관련 기관의 협조를 받아 풍부하게 실려 있는 한편 화훼영모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국화가 한은경의 모사 작품도 함께 담겨 있다. 이러한 생생한 그림들을 통해 독자는 그 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감정과 사상이 화훼영모화에 어떻게 담겼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기존의 한국 미술사를 ‘화훼영모화’라는 화목을 통해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우리 전통 그림을 앞으로 어떻게 현대에 맞게 계승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임당 신씨, 겸재 정선, 김홍도에서 현대 미술가 천경자, 곽석손까지
시대별로 살펴보는 화훼영모화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화조화와 화훼영모화를 다시 구분해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지은이는 화훼영모화가 동물과 식물을 그린 그림으로, 꽃과 새를 그린 그림을 뜻하는 화조화보다 더 넓은 범위로 해석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화훼영모화 읽기」 장에서는 화훼영모화의 의미와 화조, 초충, 영모, 어해와 같은 등 여덟 가지 그림 소재에 대한 설명과 형식, 표현 기법, 구도, 내용 등을 알아본다.

1장 「고려시대까지」에서는 고대의 유물, 장식품은 물론 삼국시대의 〈수렵도〉 〈천마도〉와 같은 벽화, 통일신라시대의 감상용 화훼영모화, 고려시대 불화와 〈청자철화화훼절지무늬매병〉과 같은 청자 등에서 볼 수 있는 화훼영모화를 살펴본다. 2장 「조선시대 초기」에서는 고려와 중국 송대와 원대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원체화풍 화훼영모화를 당시의 사회상과 화풍과 함께 사임당 신씨의 〈초충도 8폭〉, 안귀생의 〈전 안귀생 화조도〉, 김정의 〈이조화명도〉 등과 같은 대표 작가와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 〈매죽무늬항아리〉와 같은 청화백자를 분석하고 이야기한다. 3장 「조선시대 중기」에서는 성리학의 영향으로 ‘묵죽도’와 ‘묵매도’와 같은 문인화풍이 발달하면서 조선의 고유색이 드러나는 배경을 알아보고 신세림의 〈죽금도〉와 김시의 〈매조문향〉, 조속의 〈노수서작〉과 〈고매서작〉 등 관련 인물과 여러 작품을 살펴본다.

4장 「조선시대 후기」에서는 진경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배경과 함께 윤두서, 겸재 정선, 최북 등의 그림을 보며 화훼영모화에 관해 이야기하고 비교한다. 5장 「조선시대 말기」에서는 남종문인화가 성행하게 되는 흐름과 김정희, 신명연 등의 인물과 그림, 민화 속 화훼영모화를 들여다본다. 6장 「현대 미술 속 화훼영모화」에서는 근대로 넘어오면서 화훼영모화가 현대 문화나 재료와 어떻게 융합해 변모했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천경자의 〈꽃〉, 곽석손의 〈축제〉 등 여러 작가와 작품을 살펴보며 제시한다.

우리의 역사와 함께해온 화훼영모화
전통을 잇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다

화훼영모화는 각 시대마다 당시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감정을 시적으로 담아내고 소망을 우의적으로 표현하며 세상의 이치를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책의 담긴 다양한 화훼영모화의 그림을 따라가다 보면 각각의 시대상을 들여다볼 수 있다. 이는 아직 연구가 덜 되어 있지만 지은이의 눈으로 살펴본 현대의 화훼영모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현대의 화훼영모화는 한지와 비단에 그리던 전통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외부의 변화를 수용하고 융합하는 새로운 실험과 함께 지금 시대에 맞는 화훼영모화의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 미술가 장우성의 〈오염지대〉는 고결한 선비로 비유되어 많이 그려지던 백로를 자연환경 파괴의 희생자로 표현해 지치고 힘이 빠진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홍용선의 〈스티로폼에서 오는 봄-홍도〉는 스티로폼과 아크릴 채색이라는 재료를 사용해 전통 화훼영모화와는 전혀 다른 방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 작품에 담긴 정서는 여느 화훼영모화보다 전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우리 그림 화훼영모화가 과거와 마찬가지로 우리 삶과 깊게 연관된 소재와 사회 문제를 그림에 반영해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현대의 화훼영모화에 속하는 그림들은 어떻게 보면 전혀 다른 방식의 새로운 그림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전통의 흔적이 미약하게나마 남아 있고 전통과 현대가 융합되어 새롭게 나타나는 작품이야말로 지금 시대에 맞게 새롭게 등장하는 전통 아닐까.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시대별로 화훼영모화를 들여다보면서 지금 우리가 화훼영모화를 어떻게 계승해야 할지에 대해 화두를 던지는 책이다. 새로운 형태로 우리 삶에 녹아들어 현재에도 살아 숨 쉬는 화훼영모화를 통해서 앞으로의 전통 계승 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추천사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얼핏 화조화의 역사를 기술한 책처럼 보이지만, 글 밑에 흐르는 숨과 결은 여느 미술사 책과는 사뭇 다르다. 때로는 냉철하고 치밀하게 분석하고 때로는 작품의 미묘한 울림과 교감하며 깊은 멋과 맛을 전해주기도 한다. 마치 문인화가가 이성과 감성의 영역을 넘나들며 오랜 고심 끝에 그려낸 한 폭의 그림과도 같은 책이다. 좋은 그림의 가치와 감동이 사람을 가리지 않듯 좋은 책도 그렇다.

백인산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미술사학자)

책 속에서

이 책 『한국의 화훼영모화』는 한국 미술사 전체의 흐름 안에서 화훼영모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시대를 나눈 뒤 각 시대를 대표할 화훼영모화를 선정하여 내용과 형식을 자세하게 분석하는 방식을 취했다. 작품 선정은 오로지 필자의 주관에 따라 이루어졌으나,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화단의 경향을 고려하여 시대성이 분명한 것들 위주로 선택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미술사에서 잘 다루지 않는 작품이라도 그 의의가 크다고 생각되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고, 또 시대의 대표작이라고 인정되는 작품은 기존의 해석에서 나아가 실기 전공자의 입장에서 분석을 더하고자 했다.

「우리의 삶과 미적 정서가 녹아 있는 화훼영모화」, 6쪽

화훼영모화에서 상징과 우의를 살펴보는 것은 작품 해석의 주요한 요소이지만, 유의할 점이 있다. 현재 우리는 전통 문화와 단절되면서 조선시대의 문화적 코드를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다. 당시로 치면 숨겨진 의도라고 할 수 없는 것도 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지금 사람들에게는 숨겨진 의도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나 소재가 우의하는 것은 당시 사람들에게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기에, 소재의 길상적 의미보다 이를 얼마나 자연스럽고 시정 넘치게 그렸는지가 더 중요할 수 있다.

「화훼영모화 읽기」, 38쪽

화훼는 영모의 표현과 마찬가지로 고구려 벽화 곳곳에 나타난다. 다만 사생적인 모습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도안적으로 벽면을 장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주로 당초문, 연화문 등이 표현되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그나마 생동감 있게 표현된 식물은 평안남도 남포시 중화군 진파리(眞坡里)1호분의 〈소나무〉이다. 인동문 형태로 표현한 바람에 휘날리고 있는 소나무를 율동감 있는 곡선으로 표현했다. 이런 소나무의 형태는 중국 동진(東晉) 화가 고개지(顧愷之, 334–406경)가 그린 〈낙신부도권(洛神賦圖卷)〉에서 보이는 나무와 비슷한 부분이 있어 고대의 수목 표현의 공통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동식물의 모습을 엿볼 수 있던 것과 달리, 백제나 신라 고분에는 벽화가 별로 없고, 그나마도 고구려의 표현 수준에 미치지 못해 당시 화훼영모의 모습을 살피기가 어렵다.

「고려시대까지 – 통일신라시대 이전」, 71쪽

화훼영모화와 관련해 살펴볼 수 있는 청화백자는 ‘매죽무늬항아리(梅竹文壺)’와 ‘매조죽무늬항아리(梅鳥竹文壺)’이다. 매죽무늬가 먼저 시작되었으나 점차 매조죽무늬로 발전하여 15-16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되었다. 사인 취향의 매죽무늬가 그려지다가 표현 소재가 확장되면서 매화가지에 새를 앉히는 방식으로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구도적으로 연결성은 적으나 대나무나 국화 등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어 독특한 청화백자의 시문 양식이 등장한다. 매죽무늬항아리의 대표 작품은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청화백자매죽무늬항아리(靑華白磁梅竹文壺)〉이다. 이 작품은 1480-149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공교하고 섬세한 원체화풍과 묵희적인 문인화풍이 공존하고 있어 점차 사대부 취향의 화풍이 화원들에게도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초기 – 15–16세기 청화백자」, 140쪽

조선 중기 회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아마도 ‘묵죽도(墨竹圖)’와 ‘묵매도(墨梅圖)’의 번성일 것이다. 성리학적 세계를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소재인 매화나 대나무는 이 시대의 많은 사대부 화가의 사랑을 받았다. 그중에 탄은 이정(灘隱 李霆, 1554–1626)은 원대 묵죽화의 전통을 흡수하고 명대 화풍을 가미한 후 사생을 통해 조선의 묵죽화를 탄생시켰다. 또한 설곡 어몽룡(雪谷 魚夢龍, 1566–미상)의 묵매화는 품위 있는 절제가 돋보이는 우리 묵매화의 전형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송시열 초상(宋時烈肖像)〉과 같은 전신사조(傳神寫照)를 이룩한 초상화, 조속으로 대표되는 문인 취향의 간결한 수묵 화훼영모화, 한시각(韓時覺, 1621–미상)의 〈북새선은도(北塞宣恩圖)〉나 〈북관실경도첩(北關實景圖帖)〉 같은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가 출현하여 화단을 풍성하게 했다.

「조선시대 중기 – 조선시대 중기의 흐름」, 151쪽

이러한 김홍도의 화훼영모화를 가장 잘 대변하는 작품이 1796년에 그린 『병진년화첩(丙辰年畫帖)』이다. 이 화첩에는 단원 특유의 따뜻한 서정이 살아 있는 보석 같은 작품 스무 점이 실려 있는데, 그중 열한 점이 산수화이고 나머지 아홉 점이 화훼영모화이다. 이 화첩에 실린 산수화도 좋지만, 화훼영모화는 더 좋다. 그리 크지 않은 화폭에 표현된 꿩, 백로, 해오라기, 독수리, 팔가조(까마귀), 까치, 오리에 이름 모를 산새까지 어느 것 하나 정교하고 묘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 정묘함도 고도의 치밀함에서 왔다기보다는 편해 보이는 붓질로 이루어진 것을 보면, 강세황의 표현대로 그는 무소불위(無所不爲)의 신묘한 경지에 오른 듯하다.

「조선시대 후기 – 김홍도」, 317쪽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된 작가 미상의 〈화조도 초본〉은 이 시기 민화가 얼마나 형식화되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전통 회화에서 사용하는 한지나 비단은 보통 반투명하기에 선묘만 그린 초본을 따로 만들고 그 위에 비단이나 한지를 올려놓고 그린다. 그렇기에 구륵전채법을 많이 활용하는 채색공필 화훼영모화에는 자세히 표현된 초본이 필요하며, 초본이 정확할수록 생동감 있고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화조도 초본〉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엉성한 면이 없지 않다. 꽃과 잎의 정확한 형태가 나타나 있지 않으며 하늘을 날고 있는 새의 형태도 매우 도식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화고는 자연을 사생하여 수없이 많은 수정을 거쳐 만들어진 화고가 아니라, 아마도 원래 있는 화조화를 그대로 본떠 만들었거나 몇몇 화조화를 짜깁기해 만들었을 것이다. 따라서 모방한 것을 다시 모방하면서 형태가 왜곡되거나 변형되었는데 이를 다시 본으로 놓고 그림을 그렸으니, 이런 화고를 이용해 그리는 화훼영모화는 당연히 솜씨가 없어 보이고 도안화된 모습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조선시대 말기 – 민화 속 화훼영모화」, 378쪽

화훼영모화에서 재료의 실험은 수묵과 아크릴처럼 혼용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홍용선(洪勇善, 1943–현재)의 〈스티로폼에서 오는 봄 – 홍도〉는 그 좋은 예이다. 그의 소재는 분명 화훼영모이다. 활짝 핀 꽃나무에 산새가 한 마리 날고 있으니 영락없는 봄날의 서정을 표현한 채색 화조화이다. 그런데 이 그림은 종이에 붓으로 그린 그림이 아니라 스티로폼에 전기인두를 사용해 나무를 표현했으며, 그 위에 아크릴로 채색했다. 이런 재료 표현은 매우 개인적이며 비전통적인 방식이다. 재료의 보존성이나 제작 효과에 대한 문제를 떠나 화훼영모화의 전통적 표현 방식에서 매우 벗어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시정은 역설적으로 다른 어떤 현대 화훼영모화보다 전통적이다. 현대의 화훼영모화에서는 이처럼 규정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작품은 전통과 제법 많이 떨어져 보이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런 현대 미술 속의 화훼영모화는 결국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우리 그림이다.

「현대 미술과 화훼영모화 – 현대 미술로 이어지는 화훼영모화」, 406쪽

차례

우리의 삶과 미적 정서가 녹아 있는 화훼영모화

화훼영모화 읽기
화훼영모화의 의미
화훼영모화의 형식
화훼영모화의 내용

고려시대까지
통일신라시대 이전
고려시대

조선시대 초기
조선시대 초기의 흐름
신잠
안귀생
김정
이암
사임당 신씨
15–16세기 청화백자

조선시대 중기
조선시대 중기의 흐름
신세림과 김시
이경윤
이영윤
김식
이징
조속
조지운

조선시대 후기
조선시대 후기의 흐름
윤두서
정선
심사정
강세황
최북
변상벽
김홍도

조선시대 말기
조선시대 말기의 흐름
김정희와 제자들
신명연과 남계우
장승업과 제자들
민화 속 화훼영모화

현대 미술과 화훼영모화
현대 미술로 이어지는 화훼영모화

참고 문헌
소장처별 도판 목록
작가별 도판 목록
작품 및 사진 저작권 소장처

장지성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동국대학교 인문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현재 전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간송미술관 객원 연구위원을 맡고 있다. 2009년,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미술교과서, 수십 여 편의 전통 미술 및 교육 관련 논문, 누리 사업의 일환으로 출판된 대학 교재 『우리 그림 배우기』 『전통미술 감상』 등을 집필했다. 또한 조선 후기 전통화풍을 근간으로 한 임모와 사생을 중심으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꾸준히 진행한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