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Graphics

커뮤니티 디자인

コミュニティデザイン

Buy

이 책 『커뮤니티 디자인』의 저자, 야마자키 료가 말하는 디자인은 바로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의 디자인이다. 야마자키 료는 지역의 과제를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돕는 일본의 유명 커뮤니티 디자이너이다. 2011년, NHK 〈정열대륙(情熱大陸)〉과 〈클로즈업 현대(クロズアップ現代)〉라는 인기 TV프로그램에서 그의 활동이 방영되고, 같은 해에 『커뮤니티 디자인』이 일본에서 10쇄를 넘기면서 화제가 된 인물이다.

그가 주목받는 이유는 아마도 현존하는 문제에 뿌리를 둔 디자인 활동이 문제 해결 방법의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한다. 사람과 마을이 서로 연결되는 방법을 찾기 위해 탐색하고, 현지 주민의 이야기를 먼저 듣고, 그 분석 데이터와 디자인 제안을 공공사업에 접목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펼친다.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가장 배려 깊고 설득력 있는 디자인적 해결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2010년 ‘무연사회’라는 공포에 떨어야만 했던 일본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이 주목받을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오늘의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가치를 실험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담론을 세우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디자인이 사회 구성에 기여한 사례는 많이 있지만, 이처럼 사회 깊숙이 들어가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사례는 드물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가 요구하는 역할에 따라 산업 도구로만 소비되어 온 디자인이었기에 커뮤니티 디자인이 특히 더 의미 있다. 야마자키 료의 활동은 실제로 지역의 활성화에 효과적이라는 면에서 그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커뮤니티 디자인』에서는 야마자키 료가 펼쳐 온 10여 개가 넘는 프로젝트 안에서 그만의 커뮤니티 디자인 방법론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을과 커뮤니티 만들기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도 디자인의 사회 참여 일환으로서 ‘커뮤니티 디자인’을 주목해 볼 만하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수많은 과제는 당연하게도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일본의 대표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가 사람과 사람을 잇는 방법을 찾아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커뮤니티의 힘으로 돌파구를 찾는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함께’ 어울려 사는 우리의 삶과 보이지 않는 물질 이면을 설계한다.

편집자의 글

**‘만들지 않는’ 디자인

  • 디자인의 사회 참여를 위한 방법**

아름다운 공간을 고심하여 만들어도 쓰이지 않으면 그곳은 더 이상 좋은 장소라고 할 수 없다. 이는 새로운 어떤 것을 만들기보다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한다. ‘만들지 않는’ 디자인으로 디자인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아마자키 료는 일본 사회에 ‘커뮤니티 디자인’을 인식시키는데 성공한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물질(하드웨어)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닌, 일명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는 일이다. 야마자키 료는 사람과 토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공공 공간을 디자인하면서, 동시에 완성된 공간을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잘 활용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 설계 및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해 나가고 있다.

공간이란 그 땅을 사용하는 사람의 삶과 생활이 쌓여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을 디자인하려면 사람과 생활 방식을 알아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단순히 아름다움을 디자인하는 것만으로는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내기 어렵다. 공원을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지역 사람들이 스스로 공원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게 프로그래밍하는 야마자키 료의 역할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야마자키 료는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디자인’의 프로그램으로 공간을 메워야 디자인의 가치를 생산된다는 자신의 생각을 실천으로서 역설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을 잇는’ 디자인

  • 커뮤니티의 힘을 조직하는 디자인**

야마자키 료가 커뮤니티에 흥미를 가지게 된 계기 가운데 하나는 재해 속에서 사람들의 유대의식을 목격한 데에 있다. 야마자키 료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완전히 무너진 재해 현장에서, 모든 것을 잃은 사람들이 함께 식사를 만들고, 아이를 잃은 부부가 부모를 잃은 가족을 위로하는 모습을 목도했다. 이때 야마자키 료는 생활 재건의 싹이 다른 무엇도 아닌 사람과 사람의 관계, 우리의 유대 안에서 피어나고 있음을 느낀다. 야마자키 료가 커뮤니티의 강력한 힘을 깨달은 순간이다.

사회 문제가 발생했을 때 커뮤니티의 힘을 발휘할 수 있으려면 평상시에 커뮤니티를 단단하게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마을 만들기’가 회자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야마자키 료는 이 사실을 일찍이 깨닫고 그만의 방식으로 일본 열도 각지에서 커뮤니티 만들기를 실천해 나간다. PC와 짐 가방 1개로 동분서주하는 365일, 어떤 날은 어촌 마을에서 할아버지들과 물고기를 잡고, 또 어떤 날은 낙도의 젊은이들과 춤추며 마음을 나눈다. 이 모든 활동은 지역 사회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하는 커뮤니티 디자인 방식이며, ‘커뮤니티의 힘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이다.

**‘함께’ 과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 삶의 터전과 사람이 연결되는 길**

커뮤니티 디자인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 가능성에 실마리가 있기 때문이다. 야마자키 료는 ‘상황은 아직 호전될 수 있다’는 희망의 씨앗을 지역 사회 곳곳에 심기 위해 나서고 있다. 지역 주민 가까이서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읽어 낸다. 이런 활동은 마을 조성의 토대를 다져준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커뮤니티’가 주민 스스로 지역의 주인이 될 수 있게 한다. 이 모든 커뮤니티 디자인 활동은 공공기관과 협력하고, 지역 활성화를 모색하는 정책 변화를 유도하면서 빛을 발한다.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 만들기는 지역과 행정 그리고 주민의 끈끈한 유대를 형성한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수많은 과제는 당연하게도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다. 시대가 바뀌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이 변한 지금, 우리는 주변의 모든 것을 새로이 탐색하여 다시 마을 만들기에 착수해야 한다. 이 일은 혼자 시작할 수 있을지언정 결국에는 사람과 사람의 연대 없이는 불가능하다. 기관의 동참이 없어도 성공하기 어렵다. 참여하는 힘이 마을을 구축한다. 야마자키 료는 그 길을 여는 방식과 가능성을 지역 사회와 공유하고 있다.

마을 하나하나가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천천히, 오래도록 연대의식을 뿌리내리는 것이 커뮤니티 디자인의 디자인 방식이자 가능성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 이면의 것을 설계한다. 보이지 않는 유대 관계를 직조하여 공동체와 지역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길을 닦는다. 그런 의미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은 우리가 사는 땅과 만나는 방식을 알려 주는 디자인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추천사

커뮤니티 디자인은 지금 마을 만들기가 한창인 한국 사회에 절실하게 필요한 시대 정신과 닮았다. 이 책은 기존 디자인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디자이너 혹은 공동체를 복원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변화를 만드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박활민 (삶 디자인 활동가)

책 속에서

우리들이 마을에 들어가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외부 사람은 언젠가 그곳을 떠난다. 차라리 그 마을에서 우리와 뜻이 같은 사람들을 찾아내어 그 사람들과 활동의 참맛을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주체를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활동은 스키나 테니스를 즐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마을을 위한’ 봉사가 아니라 ‘마을을 이용해’ 내가 즐기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89쪽

각 팀이 제안한 프로젝트는 실행에 필요한 인원수로 분류하여 정리했다. 1명이 할 수 있는 일은 내일부터라도 곧바로 시작할 수 있다. 10명이 할 수 있는 일은 팀을 꾸려 바로 시작할 수 있다. 100명이 할 수 있는 일과 1,000명이 할 수 있는 일은 행정 기관의 협력이 필요하다. 모든 것을 행정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하고, 어려운 일은 행정과 협력한다.

150쪽

사회적인 과제 앞에서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막연히 생각하고 있던 주제가 이때 명확해졌다. 디자인은 장식이 아니다. 화려하게 꾸미는 것이 디자인이 아니라 과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것을 아름답게 해결하는 것이야말로 디자인이다. 디자인은 design이라고 쓴다. de-sign이란 단순히 기호적인 아름다움을 가진 사인(sign)에서 벗어나(de), 과제의 본질을 해결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리라. 내가 하고 싶은 디자인은 바로 그런 디자인이다. 인구 감소, 저출산, 고령화, 중심 시가지의 쇠퇴, 한계 취락, 삼림 문제, 무연고 사회 등 사회적인 과제를 아름다움과 공감의 힘으로 해결한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과제에 직면한 우리 스스로가 힘을 합치는 것이다. 그 계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커뮤니티 디자인의 임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257쪽

모든 게 쓸모없어진 고베 마을에 사람 사이의 유대감이 남아 있었고 그곳에서 생활 재건의 싹이 자라고 있었다. 커뮤니티의 강력한 힘을 느낀 순간이었다.
이 책의 원고를 다 써 나갈 무렵 거대한 지진이 도호쿠 지방을 덮쳤다. 수많은 생각이 일어 원고를 쓰던 손을 멈추고, 원고 집필보다 내가 해야 하는 일이 있는 것은 아닐까 고민했다. 그러나 다시 마음을 고쳐 먹고 커뮤니티의 힘을 믿기 시작할 무렵의 나를 떠올렸다. 오히려 이럴 때일수록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원고를 완성해야만 한다고 스스로를 다독였다.

「나오는 말」

차례

들어가는 말
프로젝트 맵

‘만들지 않는’ 디자인
공원을 만들지 않는다: 아리마후지공원
혼자 디자인하지 않는다: 놀이 왕국
만드는 방식을 만든다: 유니세프 파크 프로젝트

‘사람을 보는’ 디자인
생활을 디자인한다: 사카이시 환호 지구 현지답사
마을은 사용되고 있다: 랜드스케이프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에 따라 풍경을 디자인한다: 센리재활병원

‘사람과 사람을 잇는’ 커뮤니티 디자인
혼자라도 시작한다: 이에시마 프로젝트
혼자 할 수 없다면 함께한다: 아마초 종합진흥계획
아이가 어른의 진심을 이끌어 낸다: 가사오카 제도 어린이종합진흥계획

‘더 괜찮은’ 가능성의 디자인
커뮤니티 디자인으로 관계를 복원한다: 요노강 댐 프로젝트
커뮤니티 디자인으로 실마리를 찾는다: 맨션 건설 프로젝트

‘스스로’ 가치를 찾는 디자인
사용하는 사람이 스스로 만든다: 이즈미사노구릉 녹지
마을에 없어서는 안 될 공간을 만든다: 마루야가든즈
사람이 모이고 미래를 만든다: 물의 도시 오사카 2009와 히지사이

‘함께’ 과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삼림 문제에 나서다: 호즈미제재소 프로젝트
사회가 직면한 과제에 나서다: +design 프로젝트

나오는 말
옮긴이의 말

Yamazaki Ryo

CEO of studio-L, Social entrepreneur, Community Designer, Professor and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Spatial Design in the Kyoto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Vice President in RIPS, NPO.

Born in Aichi, in 1973. After the university, he worked in SEN, inc., where he developed his skills and knowledge in landscape design advised by Mr. Shosuke Miyake, a founder of this firm. As well, he learnt social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from Dr. Fusayo Asano there.

Then he founded studio-L in 2005 and he has continuously offered the innovative solutions for the local problems by inspiring and leading the local communities. He advocat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Design” which he defined as the empowerment of the locals through design to make them happy. His major projects contain planning workshops, making comprehensive plans, and designing buildings and landscape for revitalizing the local area.

At the same time, one of his major achievements has been that he closely studied some kinds of communities in rural area like a small island and a mountain village, in Hyogo Earthquake Memorial 21st Century Research Institute in 2006-2010.

He has published some books including: Community Design(2011), Social Design Atlas(2012), The era of Community Design(2012), Happiness theory for the local area(2012).

민경욱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했고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레이크사이드』 『외사랑』 『방황하는 칼날』, 이케이도 준의 『샤일록의 아이들』 『하늘을 나는 타이어』, 신카이 마코토의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 디자인』, 마쓰다 미히로의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는가』 등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