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책 형태에 관한 책

The Form of the Book Book

온라인 판매처

책과 그 형태의 역사, 현재, 그리고 가능한 미래

2009년 1월 30일, 영국 런던의 세인트브라이드 도서관에서 ‘책의 형태’ 콘퍼런스가 열렸다. 콘퍼런스 제목은 물론 얀 치홀트의 1975년 책 『책의 형태와 타이포그래피에 관하여』의 오마주다. 젊은 디자이너부터 중견 디자인 역사가에 이르기까지, 대화부터 회고에 이르기까지 책의 형태를 둘러싼 다양한 목소리와 풍부한 이야기가 오갔다. 발표자들은 각기 다른 주제를 다뤘으나, 그들의 말에는 공통적으로 “비평적인 자기반성”과 “교류를 담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책을 향한 관심”이 있었다. 이들의 관점은 책 디자인의 역사를 짚고 현재를 바라보며, 미래까지도 가늠하게 한다. 이 책 『책 형태에 관한 책』은 그때의 담화를 ‘책의 형태’로 만든 것이다.

편집자의 글

그 어떤 형태라도 책이 될 수 있다면
디자이너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왜 오늘날의 책 디자인을 말하는데 얀 치홀트와 그의 책이 다시 불려 왔는가. 그의 책이 나온 이후 여러 분야에 기술적인 변화가 있었음에도 “치홀트가 명료하게 분석했던 근본적인 요소들, 즉 ‘텍스트’와 ‘이미지’는 여전히 그대로”다. 결국 진정한 고전이란 어느 시대에든 시의적이기 마련이다. “책의 형태는 수 세기에 걸쳐 크게 변하지 않았”고 여타 디자이너가 말하듯 그의 관점은 현대에도 유효하다. 다만 “무엇을 하든 모든 책은 결국 책처럼 보”인다는 건, 반대로 그 어떤 형태라도 결국 책이 될 수 있다는 말로도 읽힌다. 실제로 많은 디자이너가 ‘책의 형태’에 도전했으나 책은 그 결과물이 좋든 나쁘든 여전히 책이었다. 이제 책 디자인의 기본으로 돌아가 치홀트의 그 책을 향한 관심을 다시 촉발하고 싶은, 동시에 최근 디자인계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이들이 모인 게 ‘책의 형태’ 콘퍼런스다.

카트린 드 스메는 르코르뷔지에를 건축가가 아닌 ‘책 디자이너’로서 살펴본다. 르코르뷔지에는 대략 서른다섯 권의 책을 만들었고 집필만 한 게 아니라 전반적인 디자인과 제작까지 주도했다. 현대 건축의 거장이 책 디자인에는 어떻게 접근했는지, 책 작업을 통해 구현하려 한 현대성을 어떤 관점에서 봐야 할지 논의한다. 제임스 고긴은 주로 예술가의 책을 다루는 디자이너가 주어진 재료를 해석할 때 빠지는 ‘해석의 유혹’을 말한다. 이상적인 사례가 바로 미국 예술가 고든 마타클락에 관한 책들이다. 어디까지가 참조고, 어디까지가 모방인가? 그 자신을 포함한 현대 디자이너에 대한 재치 있는 비판에, 사려 깊은 결론이 이어진다. 예니 에네크비스트, 롤랑 프뤼, 코리나 노이엔슈반더는 1946년, 1947년, 1948년의 ‘가장 아름다운 스위스 책’을 다시 제시한다. 모종의 이유로 공모전이 열리지 못했던 이 기간은 스위스 책 디자인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였다. 저자들은 열 명의 전문가를 초청했고, 심사 위원들은 각자의 기준과 범주를 설정해 사라진 기간의 가장 아름다운 책을 선정했다.

리처드 홀리스는 책의 기능에 관한 기요르기 케페스의 말로 시작해 ‘다른 방식으로’, 즉 도구로서의 책을 본다. 너무 크고 무거운,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일치시키기 위해 앞뒤로 힘겹게 저글링 해야 하는 책들은 어떻게 다뤄야 하나? 책이라는 도구의 이상적인 기능과 책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을 상기하게 된다. 사라 고틀리브는 ‘책의미래 연구소’ 밥 스타인과 책의 새로운 형태에 관해 대화한다. 블로그 같은 디지털 시대의 책을 책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우리는 그런 형태의 책을 만드는 시도의 성패를 단정할 수 없는 과도기에 있지만 그 모든 실험은 분명 책의 범주와 미래를 넓힌다. 크리시 찰턴의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자 허버트 스펜서와 함께 일한 경험이나, 아르만트 메비스의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공감할 내용과 함께 ‘자기 아이디어’의 중요성에 이르는 일련의 메모는 이제 일을 시작하는 신입 디자이너는 물론 작업에 정체감이나 회의감이 온 경력 디자이너에게도 도움 될 것이다.

모든 이야기를 에세이로 다시 쓰고 책의 형태로 만들어야 했던 이유는, 엮은이인 사라 드 본트와 프레이저 머거리지의 「들어가는 말」에서 그 무엇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우리 연구의 초기에 초청 연사에게서 편지를 받았다. ‘저는 실제로 강의를 하지 않습니다. 저는 글로써 요점을 더욱 뚜렷하고 간결하게 드러낼 수 있습니다. 책을 읽는 게 최선입니다. … 강의를 듣는 것도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책이 훨씬 더 좋은 형태의 소통입니다.’” 일곱 편의 에세이 중 특별히 더 마음에 드는, 지금의 나에게 필요했던 말이 있을지도 모른다. 자꾸만 떠오르는 특정 문장을 자기만의 기조 내지는 강령으로 삼게 될 수도 있다. 그렇게 생각날 때마다 펼쳐 읽을 수 있도록, 어디에든 들고 다닐 만큼 가볍게 만들었다. “우리는 여러분이 이제 이렇게 책의 형태로 나온 담화를 즐겼으면 한다.”

책 속에서

우선 현대 건축에서 유명한 인물의 그래픽 결과물은 그 자체로 연구 가치가 있다. 두 번째로, 르코르뷔지에의 작품 세계에서 책 작업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대략 서른다섯 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집필만 한 게 아니라 일러스트레이션을 넣고 레이아웃을 잡고 판형과 종이까지 결정했다. 끝으로 1910년대 말 르코르뷔지에가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천국이자 그의 모국인 스위스를 등지고 프랑스로 이주했다는 사실이 두드러진다.

카트린 드 스메, 「책 디자이너 르코르뷔지에: 프랑스식으로 구현한 세미모더니티」, 10쪽

예술가를 다루는 책의 디자인은 종종 특정한 모티프 혹은 작가의 작업을 참고해 작업한다. 표지에 특정한 재료, 본문에 특정 서체를 쓰는 식이다. 나도 이런 방식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고백한다. 그런 장치들이 예술가의 작업에 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마타클락에 관한 책은 디자인이 미술을 얼마나 참조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이상적인 사례 연구를 제시한다.

제임스 고긴, 「마타클락 콤플렉스: 재료, 해석, 디자이너」, 33쪽

그들은 공모전에서 기본적인 질문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느꼈다. ‘아름다움’이라는 보편적인 개념이 존재하는가? 몇 권이나 시상해야 하는가? 심사 위원들은 다른 유형의 책에 동일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그리고 심사 위원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이해관계와 무관해야 하는가?

예니 에네크비스트, 롤랑 프뤼, 코리나 노이엔슈반더, 「1946, 1947, 1948: 가장 아름다운 스위스 책을 회고하다」, 47쪽

책의 형태는 수 세기에 걸쳐 크게 변하지 않았다. 종이 양면에 인쇄해 접지하고 세 모서리를 다듬어 네 번째 모서리에 표지와 함께 고정한 것이 책이다. 한때 공예였던 책 만들기는 산업 공정이 되었다. 오늘날 염가판 문고본까지도 속표지를 넣고 차례를 장으로 나누는 관습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런 형태로 인쇄하는 텍스트가 표준화에 성공하고, 서사를 전달하고 구조와 시퀀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점은 디자이너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준다. 여기에는 새로운 발명의 여지가 거의 없다.

리처드 홀리스, 「다른 방식으로 책 보기」, 66쪽

우리는 이제 광범위한 사물을 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가끔 사람들은 과거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미래를 엿봅니다. 예를 들어 전자책 단말기는 2차원의 책 경험을 모방합니다. 이게 독서의 미래라고 생각하는 건 실수입니다. 우리는 과거를 재발명함으로써 미래를 발명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는 아마 그것과 거리가 멀 것입니다.

사라 고틀리브, 「책의미래 연구소 밥 스타인과의 대화」, 82쪽

나는 런던의 혼지예술대학(Hornsey College of Art)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한 후 1971년부터 1976년까지 스펜서의 조수로 일했다. 그는 학교의 외부 자문이었고, 놀랍게도 나에게 일자리를 제안했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나의 접근 방식은 다소 ‘사이키델릭’ 풍이었고 기법에 대한 지식은 미미했다.

크리시 찰턴, 「허버트 스펜서와 함께 일하기: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자」, 90쪽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믿는지 분명히 하고 다른 사람이 되려고 하지 말라. 당신의 아이디어들을 고수하고 포용하라. 아무리 충동적이고 직관적이더라도, 그 아이디어들은 여러분의 보물이다. 자기가 찾는 게 효과가 있고 그게 옳을 거라는 내면의 느낌에 의지하라. 아직 존재하지 않는 책을 만들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라. 그 책이 당신이 만든 최고의 책이 될 수도 있다.

아르만트 메비스, 「모든 책은 아이디어에서 시작된다: 디자이너를 위한 메모」, 112쪽

차례

들어가는 말
사라 드 본트, 프레이저 머거리지

책 디자이너 르코르뷔지에: 프랑스식으로 구현한 세미모더니티
카트린 드 스메

마타클락 콤플렉스: 재료, 해석, 디자이너
제임스 고긴

1946, 1947, 1948: 가장 아름다운 스위스 책을 회고하다
예니 에네크비스트, 롤랑 프뤼, 코리나 노이엔슈반더

다른 방식으로 책 보기
리처드 홀리스

책의미래 연구소 밥 스타인과의 대화
사라 고틀리브

허버트 스펜서와 함께 일하기: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자
크리시 찰턴

모든 책은 아이디어에서 시작된다: 디자이너를 위한 메모
아르만트 메비스

지은이
엮은이
옮긴이
감사의 글
출처

사라 드 본트

벨기에의 겐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교수, 출판인이다. 영국의 여러 대학과 국제 무대에서 가르치고 강연을 해왔다. 2009년에는 프레이저 머거리지와 함께 런던의 세인트브라이드 도서관에서 ‘책의 형태(Form of the Book)’ 콘퍼런스를 조직했으며, 『마스터 빌더: 켄 브릭스와의 대화(The Master Builder: Talking with Ken Briggs)』(오케이셔널 페이퍼Occasional Papers)를 공동 편집했다.

프레이저 머거리지

영국 런던에서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영국의 여러 대학과 국제 무대에서 가르치고 강연을 해왔다. 2009년에는 사라 드 본트와 함께 런던의 세인트브라이드도서관에서 ‘책의 형태(Form of the Book)’ 콘퍼런스를 조직했으며, 『마스터 빌더: 켄 브릭스와의 대화(The Master Builder: Talking with Ken Briggs)』(오케이셔널 페이퍼Occasional Papers, 2009)를 공동 편집했다.

김현경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일하며 다양한 책을 편집했다. 현재 프리랜서 번역자로 국내 주요 미술관과 기업을 위해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책 형태에 관한 책』 『빅게임: 매일의 사물들』 『타이포그래피 첫 원칙』 『100권의 디자인 잡지』 『디자이너, 디자이너 훔쳐보기』 『그래픽 디자인 도서관』 『걸작의 공간』 등이 있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