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라픽스

활자 기술: 라틴 활자 디자인을 위한 실천 지침

Type Tricks: Your Personal Guide to Type Design

온라인 판매처

나만의 활자 만들기 흐름 속에서 제시하는 라틴 활자 디자인 매뉴얼

2018년 한글날, 한 일간지 특집 기사로 한글 타이포그래퍼들에 관한 이야기가 실렸다. 오직 글자와 그 디자인 자체에 집중한 기사는 여느 때의 한글날 소식과는 사뭇 달랐다. 서체, 즉 ‘활자’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는 방증이었다. 노은유의 옵티크, 류양희의 윌로우, 양장점의 펜바탕 등 몇몇 활자는 이제 더 이상 타이포그래피 전문가만 아는 활자체가 아니다. 활자 디자인 또는 편집 디자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지 않았어도, 많은 디자이너가 자신의 활자를 하나쯤은 만들어 갖고 싶어 하는 것이 최근 디자인계의 흐름이다. 더 이상 누군가 만들어 놓은 활자체로는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활자 기술: 라틴 활자 디자인을 위한 실천 지침』은 그러한 변화 속에서 초보 활자 디자이너가 혼자서도 작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국내와 해외를 막론하고 여태까지의 활자 디자인 도서들은 견본만 많고 자세한 설명은 없는 경우가 흔했다. 유명 활자 디자이너나 활자에 관한 이야기, 활자 디자인의 역사만 언급할 뿐 정작 실기를 돕는 책들은 좀처럼 찾아볼 수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반면 이 책은 실제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지침만을 보다 더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다루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한국 디자이너에게도 필요한 라틴 활자 디자인 연습

한국의 활자 디자이너에게는 라틴 문자보다는 한글이 훨씬 더 중요하지 않을까? 활자 디자인 입문자가 흔히 가질 수 있는 의문이다. 그러나 실제 국내 활자 디자이너들은 한글이 아닌 라틴 문자로 활자 디자인 세계를 접하게 된다. 한글과 달리 라틴 문자는 겹자음과 겹모음, 합자 원리가 없는 간결한 이용 방식 덕분에 디자인을 배우기가 훨씬 편리한 까닭이다. 국내 디자이너들 중 직접 영문 활자를 디자인한 경우는 많아도 본인의 한글 활자를 가진 사람은 드문 이유 역시 그 때문이다. 라틴 활자 디자인은 한글 활자 디자인의 전 단계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활자 기술: 라틴 활자 디자인을 위한 실천 지침』은 활자 디자인에 관심을 가진 한국의 디자이너도 매우 요긴하게 참고할 수 있는 책이다.

150여 가지 활자 디자인 팁과 현업 디자이너가 제시하는 정보와 해설

『활자 기술: 라틴 활자 디자인을 위한 실천 지침』은 덴마크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자 디자이너이자 교수 소피 바이어가 쓴 책이다.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활자 카를로 오픈(Karlo Open, 2017년)을 비롯해 여러 활자체를 디자인한 그녀는 본인의 경험과 직접 만든 수업 자료를 바탕으로 한 권의 책을 엮었다. 소피 바이어는 활자 디자인 입문자가 어떤 부분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또 어떻게 하면 그것을 빨리 뛰어넘을 수 있는지 가장 잘 아는 사람들 중 하나다. 각각 1–2쪽에 걸쳐 핵심만 서술된 154가지의 활자 디자인 팁들이 그를 증명한다. 이 책을 한국어로 옮기고 디자인까지 한 김병조 역시 한국과 미국에서 디자인을 공부하고, 벰비(Bemby, 2017년)와 글립스 산스(Glyphs Sans, 2018년) 등의 활자를 직접 디자인했다. 실제로 작업 과정에서 이 책을 통해 많은 도움을 얻었다고 하는 그는, 그럼에도 독자들에게 설명이 조금 부족한 부분에서는 옮긴이 주를 달아 부연 설명했다. 내지 디자인 역시 원서를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적절히 수정하여 독자들이 보고 이해하기 더욱 편하도록 도왔다. 책의 뒷날개에는 김병조가 디자이너에게 추천하는 타이포그래피 도서들이 안내되어 있다. 책 속에는 김병조의 글립스 산스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코드도 숨겨져 있다.

글립스 산스 내려받기

책 속에서

미국의 재즈 음악가 찰리 파커(Charlie Parker)는 즉흥 연주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먼저 악기를 익힌 뒤 음악을 공부하고 그런 다음 배운 모든 것을 잊고 그냥 연주해라.” 이 책은 활자 디자인에서 즉흥 연주를 하기 전 익혀야 하는 여러 규칙들을 엮은 것이다. 또한 포지티브 형태와 네거티브 형태를 보는 방식과 의도한 대로 형태가 보일 수 있게 조정하는 기술을 다룬다. 이 기술들을 배우면 배울수록 당신은 그것들을 잊고 자신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구사하게 될 것이다.

「서문」, 5쪽

활자체를 디자인하다 보면 안정적인 리듬을 만들기 위해 문자의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서 착시의 게임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기술이 있지만 모든 규칙에는 예외가 있다. 똑같은 수정도 활자체의 비율, 두께, 대비에 따라 글자꼴에 다른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절대적 규칙이란 없다. 수학적 정확성보다 글자꼴에 관한 자신만의 지각적 판단을 언제나 우선시해야 한다.

「3. 시각 보정」, 46쪽

활자 디자인은 낱말 디자인과 같다. 글자를 함께 배열했을 때 어울리지 않으면 그 활자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 글자는 다른 글자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더욱 빛나야 한다. 각 글자의 역할과 그 무리에 요구되는 자질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한 글자를 수정하면 그것이 다른 글자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연계된 모든 글자를 수정해야 한다. 언제나 전체를 위해 아끼는 부분도 포기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4. 글자에서 단어로」, 102쪽

초기 인쇄 시대에는 이탤릭이 로만 활자와 완전히 별개였지만 이제는 그런 사례를 찾아볼 수 없다. 오늘날 대부분의 이탤릭은 긴 글의 짧은 단락이나 일부 단어를 강조하는 로만 활자체의 동반자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사실상 로만 활자체의 가족으로 디자인된다.

「7. 이탤릭과 슬랜티드 글자」, 172쪽

새로운 활자를 디자인하기 전에 다양한 활자 계통과 각각 연관된 전통적인 특징들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활자 분류는 생각처럼 쉽지 않다. 많은 새로운 활자체가 어떤 계통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분류법은 헤릿 노르트제이처럼 필기구를 따르거나, ‘복스 활자 분류법’과 ‘영국 표준’처럼 역사적 발전을 따르는 방식이다.

「부록: 활자체 분류」, 196쪽

차례

  1. 구상
  2. 스케치
  3. 시각 보정
  4. 글자에서 단어로
  5. 벡터
  6. 간격
  7. 이탤릭과 슬랜티드 글자
  8. 두께

부록

활자체 분류
활자체 목록

소피 바이어

소피 바이어는 활자 디자이너이자 덴마크왕립예술대학의 조교수이다. 활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로 영국왕립예술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 오빈크(Ovink), 2017년에 엥겔 뉴(Engel New)와 카를로(Karlo) 등의 활자체를 디자인했고, 첫 저서 『글자 읽기: 가독성을 위한 디자인(Reading Letters: Designing for Legibility)』(2012년)을 비롯해 가독성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김병조

고 김병조는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홍익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예일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홍익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에 안그라픽스에서 나온 『타이포그래피 사전』의 공동 저자이며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기술적 문제」(2016년) 등을 발표했고 2017년에 벰비(Bemby), 2018년에 글립스 산스(Glyphs Sans) 등의 활자체를 디자인했다. 2021년 세상을 떠났다.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